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가사(歌辭)
•
대한민국 대통령
•
숙향전(淑香傳)
•
대운하(大運河)
•
중용(中庸)
•
무정(無情)
•
베르길리우스
•
종로구(鍾路區)
•
경천사 10층 석탑
•
1516년
•
이승만(李承晩)
•
안후이성(安徽省)
•
혜경궁 홍씨
•
아프로디테(Aphrodite)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초당문답가(草堂問答歌)
•
김동리(金東里)
•
반고(班固)
▣
김약연 (金躍淵)
바로가기
[1868 ~ 1942] 독립 운동가·교육자. 호는 규암(圭巖)이다. 1963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로 대통령 표창, 1977년에 건국 훈장 국민장을 받았다.
인물
:
인물 > 한국
[1868 ~ 1942] 독립 운동가·교육자. 호는 규암(圭巖)이다.
함북 회령에서 태어나 1899년(광무 3년)에 간도로 가서 동포들의 자치 활동을 위한 단체인 규암재를 세워 교육 사업에 힘썼다.
1908년
에
명동 서숙
을 세워 스스로 숙감이 되어 돌보는 한편, 크리스트교에 입교하여 명동 교회를 세웠다.
1919년에 임시 정부의 초청으로 상하이로 가던 중 중국 관헌에게 붙잡혀 2년 동안 옥살이를 하고, 석방된 뒤 계속 교육 사업에 힘썼다. 1929년에 평양 신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 목사가 되었다.
1963년에 대한민국 건국공로로 대통령 표창, 1977년에 건국 훈장 국민장을 받았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김약연
(金躍淵)
1868
한국의 독립운동
흠정헌법대강
간도
(間島)
명동촌
(明東村)
1908년
20세기
(20世紀)
1900년대
1900년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1906년
1907년
1909년
1835
서태후
(西太后)
1862
이인직
(李人稙)
1871
광서제
(光緖帝)
1873
이동휘
(李東輝)
1877
장인환
(張仁煥)
1878
안창호
(安昌浩)
1883
프란츠 카프카
1884
전명운
(田明雲)
1890
최남선
(崔南善)
1908
선통제
(宣統帝)
1908
명동학교
1906
서전 서숙
1908
대성 학교
(大成學校)
1908
소년
(少年)
1908
원각사
(圓覺社)
1908
은세계
(銀世界)
•
구춘선(具春先)
•
북간도 국민회
•
간도국민회(間島國民會)
◈ 최근등록순
이일걸의 지식창고
>
이일걸(蘇山)의 우리 땅 간도 대륙
2020.03.01
◈
간도개척과 항일투쟁의 중심지 용정을 가다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만주국 영역은 중국 한족 땅이 아니라 ‘한민족의 통치영역’
0
|
간도
,
김약연
,
백두산 정계비
,
룽징 시
,
명동학교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명동촌 개척과 명동학교 개교 - 영상한국사 (164)
[역사 > 한국역사] (0)
간민회, 간도 거주 한인 교육과 반일민족활동 - 영상한국사 (33)
[역사 > 한국역사] (0)
명동촌 개척과 명동학교 개교 - 영상한국사 (32)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