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1일 (목)
(음 4월 4일, 庚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난중일기(亂中日記)
•
이상(李箱)
•
서울 특별시
•
제주특별자치도
•
날개(-)
•
이순신(李舜臣)
•
시경(詩經)
•
조용조(租庸調)
•
만복사저포기
•
겸재정선미술관
•
설화(說話)
•
김기림(金起林)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통도사(通度寺)
•
옥소전(玉簫傳)
•
오륜가(五倫歌)
•
박태원(朴泰遠)
•
용부가(庸婦歌)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고전 문학 (古典文學)
바로가기
옛 문학 가운데서 그 예술적 가치가 후세에 길이 남을 만한 문학 작품. 우리 나라의 경우, 갑오개혁 이전에 나온 모든 훌륭한 문학 작품을 두루 이른다.
지식
:
어학 > 문학
옛 문학 가운데서 그 예술적 가치가 후세에 길이 남을 만한 문학 작품. 우리 나라의 경우,
갑오개혁
이전에 나온 모든 훌륭한 문학 작품을 두루 이른다.
고전 문학 분류
1. 시
1)
고대시가
(古代詩歌)
2)
향가
3)
고려가요
4)
경기체가
2.
시조
(詩調)
3.
가사
(歌辭)
4.
고대 소설
(古代小說)
5.
고대 수필
(古代隨筆)
[숨기기]
고전 문학
(古典文學)
한국 문학
갑오개혁 이전 훌륭한 작품
시 :
고대시가
,
향가
,
고려가요
,
경기체가
시조
,
가사
고대 소설
,
고대 수필
◈ 지식지도
관계
고전 문학
(古典文學)
가사
(歌辭)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대 소설
(古代小說)
고대 수필
(古代隨筆)
고려 가요
(高麗歌謠)
시조
(時調)
한국 문학
(韓國文學)
향가
(鄕歌)
고대 가요
(古代歌謠)
개화기 문학
국문학사
(國文學史)
동반자 문학
불교 문학
신소설
(新小說)
아동 문학
(兒童文學)
엇시조
(--時調)
여류 문학
(女流文學)
절충주의 문학
패관 문학
(稗官文學)
현대 소설
(現代小說)
유배 가사
(流配歌辭)
연시조
(連時調)
1894
동학 운동
(東學運動)
1320
나옹
(懶翁)
1369
변계량
(卞季良)
1401
정극인
(丁克仁)
1435
김시습
(金時習)
1532
권호문
(權好文)
1536
정철
(鄭澈)
1561
박인로
(朴仁老)
1903
이은상
(李殷相)
고금가곡
(古今歌曲)
공무도하가
도산십이곡
상저가
(相杵歌)
상춘곡
(賞春曲)
서동요
(薯童謠)
악장가사
(樂章歌詞)
임진록
(壬辰錄)
제망매가
(祭亡妹歌)
최고운전
(崔孤雲傳)
춘향전
(春香傳)
풍요
(風謠)
황조가
(黃鳥歌)
1281
삼국유사
(三國遺事)
1425
화산별곡
(華山別曲)
1493
악학궤범
(樂學軌範)
1588
사미인곡
(思美人曲)
1763
해동가요
(海東歌謠)
700
모죽지랑가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1884
갑신정변
(甲申政變)
1895
을미개혁
(乙未改革)
정읍사
(井邑詞)
•
역옹패설(櫟翁稗說)
•
납씨가(納氏歌)
•
주생전(周生傳)
•
원가(怨歌)
•
도솔가(兜率歌)
•
삼대목(三代目)
•
황계사(黃鷄詞)
•
악장(樂章)
•
어부가(漁父歌)
•
강호가도(江湖歌道)
•
가시리(-)
•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
구지가(龜旨歌)
•
도천수관음가
•
독락팔곡(獨樂八曲)
•
매화가(梅花歌)
•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
사모곡(思母曲)
•
서포만필(西浦漫筆)
•
지수정가(止水亭歌)
•
적성의전(狄成義傳)
•
정석가(鄭石歌)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처용가(處容歌)
•
청산별곡(靑山別曲)
•
혜성가(彗星歌)
•
안민가(安民歌)
•
정동방곡(靖東方曲)
•
한거십팔곡(閑居十八曲)
•
유림가(儒林歌)
•
신도가(新都歌)
•
위경천전(韋敬天傳)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