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무오연행록 (戊午燕行錄) ◈
◇ 권1 ◇
카탈로그   목차 (총 : 6권)     처음◀ 1권 다음
1798년 (정조 22)
서유문(徐有聞)
1
무오(戊午) 팔월 쵸구일 졍(丁巳)
2
의 샤은(謝恩) 겸 (兼)동지(冬至使) 셔장관(書狀官)을 슈망(首望)으로 낙졈(落點)신지라 이역(異域)의 멀니 나기 당니 견마(犬馬)의 미셩(微誠)이 지극경결(至極耿結)  아니라  냥친(兩親)이 년셰 놉흐시고 당(慈堂) 병환(病患)이 즈시니 인(人子)의 졍(私情)이 엇지 졀박지 아니리오마 감히 (辭謝) 니지 못믄 고인(古人)의 니 배오 왕미고(王事靡盬) 인신(人臣)의 직분(職分)이라 믈며 연경(燕京)은 텬의 도읍이니 문믈이 비록 다나 산쳔은 의구(依舊)고 의관(衣冠)이 비록 변여시나 인믈은 고금이 업니 엇지  번 몸을 니혀 텬하의 크믈 보지 아니며 내 나히 졀멋고 다이 태평무(太平無事) 시(時) 당야  번 먼니 놀미  남의 쾌(快事ㅣ) 아니리오
3
드여 길을 뎡니 (拜表ㅣ) 슈월은 격(隔)지라 이에 급급히 치(治行)고 십뉵일식 후에 졍판 즁츄뷰(正使判 中樞府使) 니조원(李肇源)과 부사(副使) 호조참판 김면쥬(金勉柱)로 가지로 모든역관을 모도와역원(司譯院) 녈쳔누(列泉樓) 우셔 회동좌긔(會同坐起) 니 역원은 역관의 마을이오녈쳔누 시뎐(詩傳)에 닐너시 녈피하쳔(洌彼下泉)이라 니 시인(詩人)이쥬(周)나라흘 각고 새음을 쳐 감창(感愴) 으로 지은 배니 이 쳥(淸)의 됴공(朝貢)나 대명(大明)을 각 이오 회동좌기(會同坐起) 삼신(三司臣)이 님(臨幸)야 셔로 모드여 샹면(相面)고 길일(吉日)을 의논믈 위미라 인야 셰폐미(歲幣米) 여 밧고 샹(潛商)을 별반통금(別般通禁)며 방믈(方物) 시 의 이젼치 소흘이 거치 못 쥴노경긔도황도평안도의 관(關子)니 셰폐미(歲幣米) 마다 진공(進貢) 이오 샹(潛商)은 금(金)과 인과 돈피(豚皮) 등믈이니 본 드려가게  믈화(物貨) 장들이 만니 드러가 니(利) 니 국법의 금믈(禁物)이 잡히이면 압녹강(鴨綠江) 두에셔 효시(梟示) 법이로 니(利)예 탐야 혹법을 범니 이시매 뎐지(傳旨)여 관 엄히 니라
4
념일일(念一日) 정(丁巳) 에 헌부(司憲府) 장녕(掌令) 계하(啓下)여 념이일(念二日) 샤은(謝恩)니셔장관은 이 즁 어(御使)지라 직픔(職品)로 감(大監) 겸(兼帶)홈이 곳 젼례(前例)러라
 
5
십월 초 뉵일
6
호조(戶曹)의셔 셰폐(歲幣) 봉과(封裹) 호조판셔 됴진관(趙鎭寬)이 부(副使)와 더브러 간검(看檢)니 졍(正使)와 셔장(書狀)은 젼례의 참예 일이 업더라
 
7
십뉵일
8
졍부(政府)의셔 방믈(方物)을 봉과(封裹) 좌의졍 니병모(李秉模) 참판 니치즁(李致重) 니조판셔 김문슌(金文淳) 호조판셔 됴진관(趙鎭寬)병조판셔 니시슈(李時秀) 형조판셔 박종갑(朴宗甲) 공조참의 박규슌(朴奎淳) 승지 신기(申耆)와 부셔장((副使書狀)이 가지로 참예여 믄져 사(査對) 니 사 태상황(太上皇)과 황뎨(皇帝)  표문(表文)과 대국녜부(禮府)의 뎡(呈) 문(咨文)이니 각각 졍본(正本) 부본(副本)과  초본(草本)이 이시니 글은승문원(承文院)의셔 글고 글시샤관(寫字官)이 지라 혹 그 거시 이시며 글 진 거시 이실가 야셔울셔븟터 사(査對)야 난 후 참참(站站)이 믁을 제마다 삼신(三司臣)이사관(査對官)과역관(譯官)을 리고 샹고 법이러라
9
문에 대국의셔 내여 보 인(印)을 쳣시니 은됴션(朝鮮)국왕지인(國王之印)이라 여시니 금으로 글고 거복뉴(紐) 안쳐시며 우편(右便)의 전(篆字)로 고 좌편의만쥬(滿洲)글로 시니만 한(汗)의 니러난 지방이라
10
대국법의 금으로 근 인의 거복뉴(紐) 친왕(親王)을 쥬 인(印)이오 친왕(親王)은 황뎨의 형뎨와 황(皇子) 일 일홈이라
11
안남국(安南國) 뉴구국(琉球國)튼 나라흔 다 은(銀)으로 근 인(印)의 탁타뉴(橐駝紐) 안쳣시니 일노 보와도 우리나라 졉 거시 외국(外國)의 비 배 업 쥴을 가히 알너라
12
이날 나 졍본(正本)을 보고 부(府使) 부본(副本)을 보고 역관(譯官)으로 여금 초본(草本)을 닑히며 좌의졍은 병조판셔로 더브러 문(咨文)을 샹고니라
13
방믈(方物)은 어람(御覽)시고 도로 리오시믈 기려 인야 봉과(封裹) 즁(行中) 역관(譯官)을 분부야 각각 분야 짐을 인 후셔쟝의 인(印)으로 낫낫치 인봉(印封)야방믈채원(方物採使員)양쳔현령(陽川縣令)님홍원(林弘遠)을 맛져  여금 각별이 됴검(照檢)여 직희라 니 믈읫 뉵십 (駄)라 이날 졍(政事) 참예치 아니니  젼례(前例)러라
 
14
십구일
15
은 표(拜表) 날이라 가국(家國) 날 쥴을 미리 아 일이언마 이날을 당니 새스러운 졍회(情懷) 엇지 다 측냥리오 긴 밤을 겨오 지고 계명후(鷄鳴後) 냥당(兩堂)의 하직고 쳐 위로며 인여 궐하(闕下)의 나아가니 이날상(上)이경모궁(景慕宮)의 젼(展拜)실 신 등을 명야 친히 슉단(肅拜單子) 옥교(玉橋) 알 드리라 시니 신 등이 례로 슉단(肅拜單子) 드리고인의(引儀)챵(唱) 소 와 온 후상이 명샤 압흐로 나아오라 샤 삼신(三司臣)이 례로 츄창(趨蹌)야 나오니 하교(下敎)샤 샤 경 등이 만니 야 이역(異域)의 가지라 엇지 창연(愴然)치 아니리오 시고 샹(上使) 특별이 어의(御衣) 쥬시고 인여 이엄(耳掩)과 호쵸단목(胡椒丹木)과 밋 각죵 납약(臘藥)을 리오시고역관도 각각  쥬시니 신 등이 제복(齊伏)야 밧와 이엄(耳掩)은 사모(紗帽) 우 쓰고 례로 믈너나오니 쟝 이국(異國)의 손이 되여 경필(勁筆)이 묘연지라  번 우러러 텬안(天顔)을 뵈오매 젹이 미셩(微誠)을 펴고져 오나 견마(犬馬)의 각이 깁오매  졋기 온지라 블감(不敢)와 드여 믈너 나와 일이 졍원(政院)의 모이여 환궁(還宮)시기 기려 인졍뎐(仁政殿)의셔 표(拜表)고 표(表) 문(咨文)을 뫼시고모화관(慕華館)의 나와 (査對) 후 삼신(三司臣)이 례로 발(發行)야 십니 여 져녁의 고양군(高陽郡)의 니니 군슈(郡守) 윤직(尹行直)과 방믈 채원(方物採使員) 양쳔현령(陽川縣令) 님홍원(林弘遠)과 부채원(副使採使員)평구찰방(平丘察訪) 한응 공장(公狀) 드리고 뵈다
 
16
이십일
17
샤뎨(舍弟) 쥰슈(駿秀)와 종뎨(從弟) 윤슈[중](允中)와 모든 종족(宗族)으로 작별고 나니 거류지졍(去留之情)이 사이 견지 못너라
18
파쥬(坡州)  니러 션산(先山)의 쇼분(掃墳)고 파쥬참(坡州站)의 듀달(奏達)야 슉소(宿所)다
 
19
이십일일
20
댱단(長湍)십니의 니니부(府使)됴희진이 와 보고 즁화(中火) 후 숑도(松都) 십니의 니러 슉소니 뉴슈(留守) 니면공[긍](李勉兢)과 경녁(經歷) 니진이 와 보니라
 
21
이십이일
22
평명(平明)의 발야 쳥셕동(靑石洞)슈십니 댱곡(長谷)을 지날 비록 각읍의 지풍비(地帶豊備)고 위의(行次威儀) 혁연(赫然)나 도혀 각니 만니(萬里) 이역(異域)의 (行色)이 고단(孤單)며 반년 가국(家國)의 음신(音信)이 묘연(渺然)지라 의(意思ㅣ) 초연(焦然)야 연경(燕京) 장관(壯觀)이 도혀 예(例事ㅣ)라
23
칠십니  참(站)을 야 금쳔군(金川郡)의 니니 어덧 경긔(京畿)지방이 진(盡)고 이 황도 초경(初境)이라  거름을 옴기매 두 거름이 멀어지니 인졍이 진실노 견기 어렵더라
24
경긔 삼방(三方)의 역마(驛馬) 연셔역(延暑驛)으로 닙파(入把)더니 황도 쳥단역(靑丹驛)이 거지라 을 밧고와 쟝 젼진(前進)군슈(郡守)홍병덕과채원(採使員) 평산부(平山府使) 니인경과 부채원(副使採使員)쳥단찰방(靑丹察訪)김영면과방믈채원(方物採使員)금교찰방(金郊察訪)니한와 보더라
25
금쳔(金川)은 곳 가친(家親)이 오(四五) 삭(朔) 거관(居官) 고을이라 니민(吏民)이 다담(茶啖)을 초와 드리거 즁건량(行中乾糧) 바든 거로 답다
 
26
져녁의평산(平山)삼십니의 니러 슉소(宿所)니라
 
27
이십삼일
28
춍슈(蔥秀) 삼십니 중화(中火)고 셔흥(瑞興) 오십니 슉소니 부 님셩윤이 와 보다
 
29
이십일
30
검슈(劒水) 십니 중화고 봉산(鳳山) 삼십니 슉소니 군슈(郡守) 됴화셕 댱연현감(長淵縣監) 니노 와 보다
 
31
이십오일
32
황쥬(黃州) 십니 슉소니 병(兵使) 니격과 목(牧使)윤치셩(尹致性)이 와 보다 병(兵使) 니격이 부 와 볼 밧문의셔븟터 방의 들 졔지 여러 번 우 알외오 소며 안즐 젹 삼중석(三重席)을 초고 안자 셔로 인 후의부(副使ㅣ) 안변부(安邊府使)로 이실 제븍병(北兵使)로 샹하관(上下官) 지던 말을 며 졉지 아니 모양이 만흐니 부(副使ㅣ) 됴뎡 톄뫼(朝廷體貌ㅣ) 이러치 아닌 쥴노병방비쟝(兵房裨將)을 잡아드려 분부여 믈리치고병영슈장교(兵營首將校)  잡아드리라 니 이 결곤(決棍)코져 미라병(兵使ㅣ)실녜(失禮) 일이 업노라 고 잡혀 보내지 아니매 여러 번 왕복다가 부장계(狀啓)야 병(兵使) 논죄(論罪)니라
 
33
이십뉵일
34
황(黃州)머므다 부로 더브러 뎨안당(齊安堂) 졍의 나아가 사(査對)니라
 
35
이십칠일
36
즁화(中和) 오십니의 즁화(中火)니 부 김진졍은 셔울을 나갓다 더라
37
예셔 평안도 역마 가라 타고  여 대동강(大洞江)의 니니 오십니 왓지라 강변의 관션(官船)을 다히고 쟝교(將校)와 기(妓生)이 다 믈 령(待令)여시며셔윤(胥胤)됴후진이  우셔 보기 쳥(請)니 이 젼녜(傳禮)라 햐쳐(下處)의 드러 안즌 후즁군(中軍) 니시함과 채원(採使員) 함죵부(咸從府使) 윤범익과 방믈채원(方物採使員) 양덕현감(陽德縣監) 박명훈과 부마채원(夫馬採使員) 은산현감(殷山縣監) 박쥬우와 사관(査對官) 강셔현령(江西縣令) 도진구 지관(支待官) 슌쳔군슈 한영이 드러와 보고 증산현령 니영와 녕원군슈(寧遠郡守) 셔유릉이 인(因事)야 영문(營門)의 왓다가  모히엿더라
38
뇽강(龍岡) 니민(吏民)이 다담(茶啖)을 초와평양(平壤) 즁노(中路)로 와 마즈니 이 원(員)을  지낸 연괴(緣故ㅣ)라 여 리 혀 온 폐(弊)가 젹지 아니매 즁건량(行中乾糧) 바든 거로 졉니라
 
39
이십팔일
40
평양(平壤) 머므다 삼신(三司臣)이 가지로련광뎡(練光亭)의 모히여 사(査對)고 기악(妓樂)을 베프니라
 
41
이십구일
42
평양 머므다 역관(譯官) 홍쳬병 드러 낙후(落後)거 이 연유(緣由)로 장계(狀啓)니라
43
모든 역관(譯官)이 부연방(敷衍房) 하인(下人) 차뎡(差定)기 쳥거 슈역(首譯)과 여러 임역(任譯)을 맛져 여금 갈여 뎡(定) 만일 잘못면 슈역이 맛당이 죄(罪) 닙으리라 분부니 셔(書者) 셔흥(瑞興)니광복과 마두(馬頭) 슈안(遂安) 김황과 좌견(左牽)은 션쳔(宣川) 쟝동이와 농마두(籠馬頭) 션쳔(宣川) 최운와 일산(日傘)바지 가산(嘉山) 김셩감을 뎡엿더라
 
44
십일월 초일일
45
슌안(順安) 오십니 슉소(宿所)니 현령 심셩지와 보니라
 
46
초이일
47
슉쳔(肅川) 오십니 즁화(中火)니 부(府使)임쟝원이 와 보다 안쥬(安州) 뉵십니 슉소(宿所)니 병(兵使) 니유경과목 (牧使) 박셔원과 우후(虞侯) 왕한졍과 관(査對官) 영유현령(永柔縣令) 윤심약이 와 보니라
 
48
초삼일
49
안쥬(安州)머므다 동헌(東軒) 뎡(亭子) 햐쳐(下處)의셔 삼신이 모히여 사(査對)고졍부(正副使ㅣ)샹누(百祥樓)의 올나 기악(妓樂)을 베프니라
 
50
초일
51
박쳔(博川)진두(鎭頭) 오십니 말마(秣馬)니균됴나와 보고가산(嘉山)삼십니 슉소니 군슈 남궁갑이 와 보니라
52
가산은 년젼(年前)의 가친(家親)이 년거관(四年居官)신 고을이라 방슈영(防戍營)으로 일 쟝(將臺) 업더니 월늠(月廩)을 덜어 아샤(衙舍) 동편의 셰오고 친필(親筆)노 쟝(將臺)와 귀음졍(歸飮亭) 두 현판과 밋 기동의 년귀(聯句) 네흘 삭여 거러시니 귀음졍(歸飮亭)이란 말은 홈을 이긔고 도라와 슐 먹단 말이라
53
고을 사이 내 이리 지낸다 말을 듯고 다담(茶談)을 초와 마며  서너 즁이 은혜 닙엇노라 고 실과(實果)와 다식 등믈(茶食等物)을 가지고 와 마니 대개 져의 닛지 못야  을 알니러라
 
54
초오일
55
날 의 고을 션 두어 사으로 더브러 쟝(將臺)의 올나 두로 보다가 나뎡쥬(定州)뉵십니의 니로니목(牧使)오희샹(吳熙常)이 와 보니라
 
56
초뉵일
57
곽산(郭山)운흥관(雲興關)삼십니 즁화(中火)니군슈(郡守)희진(이 와 보고셩쳔(成川)십니 슉소(宿所)니부구슉이 와 보니라
 
58
초칠일
59
텰산(鐵山) 챠련관(車輦舘) 십오리 즁화니부권와 보고뇽쳔(龍川)양관(良策舘)삼십니 슉소니부유인쳘과션(宣沙)개 쳠(僉使)최셕년과셰림 쳠김호진이 와 보니라
 
60
초팔일
61
소곳 십니 즁화고의쥬(義州)삼십오리 슉소니 부윤(府尹) 니건양과 관(査對官) 태쳔현감(泰川縣監) 니만영과 닌산(隣山) 쳠(僉使)유죡즁과 쳥슈(淸水) 만호(萬戶)김남형이 와 보니라
62
의쥬 셔울셔 일천오십니라 아국(我國) 셔편으로 극[국]변(國變)이 디긔(地氣) 샹냥(爽凉)고 산(山水ㅣ) 명미(明媚)여 조금도 황냥(荒凉) 의(意思ㅣ) 업며  셩쳡(城堞)이 심히 웅위(雄偉)지라 등문(燈門) 우희동뎨일관(海東第一關)이라 엿더라
63
졍(正使)션각(來仙閣)의 햐쳐(下處)고부(副使)응향당(凝香堂)의 햐쳐고 나군당(君子堂)의 햐쳐 졍고 야흐로 드러 안매 슈쳥기(守廳妓生)이 은잔(銀盞)의 슐을 부어 나오 안쥬도 업며 반(盤)의 밧친 일이 업니 일이 셜만(褻慢)고 보기의 황당(荒唐)지라 내 이윽히 보기 마지 아니니 압 셧던역관이 니 이의쥬(義州)누지고풍(累來之古風)이라 니 니른바 고풍(古風)은 어 젹 비로 일인지 대뎌 즁원(中原) 사의 차(茶) 전 법을 본바든 일이라 웃고 믈니치니라
 
64
초구일
65
의쥬(義州) 머므다 부(副使)와 가지로션각(來仙閣)의 모혀 사(査對)고본부(本府) 즁군좌수(中軍座首) 블너 드려 샹(潛商)을 각별 엄금며 만일 나히라도 범법쟤(犯法者ㅣ)면 맛당히 죄 치 닙으리라 분부니라
 
66
초십일
67
의쥬(義州) 머므다 방믈(方物) 뉵십 태(駄) 다시 봉과(封裹)부윤(府尹)으로 더브러 샤(客舍)의셔 가지로 간검(看儉)여 믄져 글로 일일히 구별하여  흔 후샹통(上通事)마두(馬頭) 두 놈을 차뎡(差定)여 쥬쟝(主掌)야 간검(看儉)고 봉과소입유둔(封裹所入油芚) 공셕(空石)과 결과(結裹) 노히 심히 만흐며 봉(內封)의 투셔(套書) 치고 외봉(外封)의 다 인(印)을 쳐 봉과(封裹)여 사(客舍) 월낭(月廊)의 히고본부장교(本府將校)로 여금 쥬야슈직(晝夜守職)을 시기더라
68
삼경낭[냥](三更量)의황역져관(皇曆䝴咨官)변복쥬의 슈본(手本)을 보니 대강여시 십월 초일일 새벽의 오문(午門) 밧긔 나아가시헌셔(時憲書)일 벌을 녕슈(領受)니시헌셔(時憲書) 녁(冊曆)을 니이라
69
태상황(太上皇) 일홈이홍녁(弘曆)인 고로 녁(冊曆) 녁(曆字) 휘야시헌셔(時憲書)라 더라
70
대국의 녁을 새로 반포(頒布)매 궐(闕內)예셔 건륭(乾隆) 년호 고 밧긔셔 가졍(嘉貞) 년호 다 며 오월 이십일일의 태샹황(太上皇)이 황뎨로 더브러열하(熱河)의 거동(擧動)여 만만슈셩졀(萬萬壽聖節)을 지내고 노졀(白露節) 든 후의 도라왓다 니열하(熱河)븍경(北京)셔  븍(北)으로 칠니 드러가 잇 디방(地方)이니 몽고(蒙古)나라셔 지쳑(咫尺)이라
71
궁궐(宮闕) 치(配置) 극히 사려(奢麗)니 일홈을피셔산장(避署山莊)이라 고 황뎨 년년(年年)이 녀름이면 이리 거동(擧動)야 삼삭(三四朔)을 지낸 후의 도라오니 일홈은 비록피셔(避署)라 나 실은몽고 방슈(防戍)이러라
72
 구월 초의원명원(圓明園)의 거동야 만슈셩졀(萬壽聖節)을 지 경하례(慶賀禮) 졍지(停止)고 다만 관(百官)으로 여금 삼졔구고두녜(三際九叩頭禮) 엿다 니 만만슈셩졀(萬萬壽聖節)은 태샹황(太上皇)의 일이오 만슈셩졀(萬壽聖節)은 황뎨(皇帝)의 일(生日)이라
73
태샹황(太上皇)은 근력(筋力)이 강건(康健)여 오히려 만긔(萬機) 총단(總斷)고 각노화신(閣老和神)이 군국대(軍國大事) 오지 다 며 십월 이십일의 태샹황이녕비(寧妃) 봉야귀비(貴妃) 삼고방빈(房嬪)을 봉야방비(房妃) 삼으니귀비(貴妃) 나히 칠십이 갓가왓지라방비(房妃)으로 더브러 오래 궁즁의셔 태샹황을 공경야 뫼신 공(功)이 잇지라 이러므로 특별이 위(位) 나왓다 니 이  희롱(戱弄)으로  일이라 며 젼년(前年) 십월의 황뎨귀비(貴妃)츅호록시(‘金+丑’祜祿氏) 봉(冊封)야황귀비(皇貴妃) 삼아효슉황후(孝淑皇后) 봉(封)다 며 년(年事) 봄마다 녀름의 우(雨澤)이 고지 못믈 인야 겨오 면흉(免凶)이 되엿다 더라
74
이날 밤의 비국관(備局關子ㅣ) 려오니대국표풍(大國漂風)  사이 이시니 편(使行便)의 녕거(領去)야 가라 공(公事ㅣ)라 대국(大國) 산동[셩](山東省)ː등부(登州府)ː영셩현(榮城縣)사양명은 나히 팔십이오왕뉵녜 칠십일이오셕진공은 뉵십일이라
75
그나마 무리 합야 열두 사이니 고기 잡  탓다가 표풍(漂風)야(海州)ː연평도(延坪島)의 니니황감(黃海監使)니의쥰(李義駿)이 쟝계(狀啓)야 알외거 하교(下敎)샤 샤 대국 사이 표풍면 휼(慈恤) 배 맛당이 상녜(常例)의 혀 날지라 믈며 이번 표인(漂人)의 무리  팔십의 지난 쟤 이시니 원(自願)야 뉵노(陸路)로 가기 쳥 길이 더옥 먼지라 잘 드려 보 도리 가히 각지 아니치 못리니 의복(衣服)을 지어 닙히고  이틀 기 기려 가션뎐관(宣傳官)으로 여금평안감의게 맛져 (使行)의 븟쳐 보내되 길의셔 졉기 우리나라 디경(地境)의셔 던 로 치 고 년(來年) 션(先來) 장계의 무[히] 드러간 연유 알외고 비국(備局)으로 븟쳐 냥도(兩道)감(監使)와 삼신(三司臣)의게 분부여 표인(漂人)이 만일 도강(渡江) 젼(前)의 밋지 못면션뎐관(宣傳官)이 인야 (使行) 니 곳의 뎐라 여 계시더라
 
76
십이일
77
의쥬(義州) 머므다군당(軍資堂)의셔부윤(府尹)과 가지로 셰폐(歲幣) 밧니졈미(粘米)십 셕이오 잉미(剩米) 오십삼 두(斗) 팔 승(升)이라
78
이 피국(彼國)의셔 종묘(宗廟)의 쳔신(薦新) 이니 아국(我國)의셔 각별이 (擇)야 진공(進貢) 거시라 은셩쳔(成川)곽산(郭山)졍쥬(定州)두셰 고을의셔 진(進排)고 이나마 다른 고을은  무역(貿易)이 어려온지라셩곽산(成郭山)은 부민(府民)이  말의 넉 냥식 후가(厚價) 밧고 님시(臨時)야 밧치니 그 고을 아젼 쟝교(衙前將校) 밧칠 의 오 일이 업지라 이런 고로 이 졍(精)치 못야 근년(近年) 이로 죵죵 탈이 나니 역관(譯官)이 회로(賄賂)  피인(彼人)의 입을 막아 비록 무케 나 구챠 일이라
79
이번은 회동좌긧(會同坐起ㅅ) 날노븟터 긔영(箕營)의 관(關子)야 각별 엄히  쥴노 엿더니 이날 밧의 늙은역관이 다 니 이번 미(米色)은 근(近來)의 쳐음 본 배라 니 진실노 다 일이러라
80
각각목(白木)젼(纏帶)의 너허 인봉(印封)여 셰망(細網) 공셕(空石)으로 밧글 동혀 본부(本府) 슌영고(巡營庫)의 두엇다가 님시(臨時)야 슈운(輸運)게 니라
 
81
십삼일
82
의쥬(義州) 머므다 진번헌(眞蕃軒)은부윤(府尹)잇 동헌(東軒)이라
83
부윤(府尹)으로 더브러  안자 잡복(雜卜)을 밧 니 곳[주:다마]삼(海蔘)우피(牛皮)산피(山皮)니피(狸皮)장지(壯白紙)남초(南草)목(白木)은(銀子)등믈(等物)이라
84
너른  싸인 거시 뫼 야 보기의 금즉더라
85
말누 놉고 은 니 셔히 필 길이 업  아니라 이 치 만흔 잡복(雜卜)을 일일히 손조 볼 길이 업지라 젼븟터셔장(書狀)의비쟝(裨將)과 즁(行中)역관(譯官)과 밋부윤(府尹)의비쟝(裨將)으로 안동(眼同)야 간검(看儉)고부윤(府尹)과셔장(書狀)은 간검(看儉) 일이 업니 임의 젼례(前例) 되엿지라 그러나 아조 본 쳬 아니키 어려워 날마다 친히 간검(看儉) 일변(一邊)으로 져울의 달며 일변으로 운향고(運香庫)의 너흐니 날이 도록 무궁무진(無窮無盡)더라
86
대개 이 잡복(雜卜)이의쥬(義州)샹고(商賈)의 믈홰(物貨ㅣ)니비쟝(裨將)과역관(譯官)은 가얍게 달기 구(求)고의쥬(義州)소쇽은 쥰(峻)히 달기 구니 이 고이치 아닌 일이라
87
셔로 펴 조금도 방과(放過) 일이 업니 비록 부윤(府尹)과 셔장(書狀)은 아니 펴도 해롭지 아닌 일이러라
88
븍경(北京)드러가 역마 녜(例事) 삼남(三南)과함경도로 뎡야 미리의쥬(義州)와 믁다가 님시(臨時)야 각각 졍여 가게 니 각 역의셔 말과 마부의게 쥬 반젼(盤纏)이 젹지 아닌지라 만일 말이 됴치 아니타 야 퇴(退)면 인마(人馬)의 반젼(盤纏)을 도로 본역(本驛)의 밧치니 삼남(三南)셔의쥬(義州)지 왕(往來) 젹 은 거시 업지라 이러모로 본역으로셔 동징족징(同徵族徵)을 니 엇지 가련치 아니리오 진실노 병마(病馬) 곳 아니면 퇴 거시 어진 졍(政事ㅣ) 아니오 비쟝(裨將)과역관의 무리 혹 셔로 역슈[속](驛屬)의븍경을 보고져  놈의 쳥을 드러 맛당히 퇴(退)치 아닐 도 퇴고 혹 과히 다가 의 맛지 아니다 고 관셔역마(關西驛) 별노 뎡나 가니 그 폐 젹지 아닌지라 신(使臣)된 쟤 가히 피지 아니치 못 거시러라
 
89
십일
90
의쥬(義州) 머므다 부윤(府尹)으로 더브러 진번헌(眞蕃軒)의셔 잡복(雜卜)을 밧 다 도강 일(渡江日字) 뎡 졔 곳 뎡 날 슈일(數日) 젼(前)으로 말을 내고 진짓 도강 일 누셜치 아니니 이 잡복(雜卜)이 슈히 드러오게 이러라
 
91
십오일
92
의쥬(義州) 머므다 부윤(府尹)으로 더브러 진번헌(眞蕃軒)의셔 잡복을 밧 다방 군관(防亂軍官)의게 분부여 만일 쇄마군인(刷馬軍人)의 반젼은(盤纏銀)을 마련야 각각 차하 후의 혹 피인(彼人)의 슐과 음식을 갑 업시 먹어 피인(彼人)으로 여금 발괄거나 혹 블우지비은(不虞之備銀)을 어지라 면 결단코 업[엄]곤(恨死嚴棍)리라 분부니방군관(防亂軍官)은븍경길의 하인의 노자(路資) 차하 소임(所任)이오 블우비은(不虞備銀)은 감병영(監兵營)과의쥬(義州)의셔 혹 혜아리지 못 일을 당면 쓰랴 고 별노 명(名色)을 졍야 준 은으로 마다 (使行)의 가져가 젼례(前例)라
 
93
십뉵일
94
의쥬(義州) 머므다 도복쥬(到卜主)와 밋 연샹(燕商) 별쟝(別將) 등을 블너 드러 숑쳥포(送淸包)와 밋평양안쥬의쥬은포(隱包) 각별이 사실(査實)야 통늉(通融)야 균포(均布) 라 분부니 도복쥬(到卜主) 샹고(商賈)의 짐을 모도 지  놈이오 연샹(燕商) 별장(別將)은 샹고(商賈) 모도 지 소임(所任)이오 숑쳥포(送淸包)와 은포(隱包)숑도(松都)샹고(商賈)의 부침 믈화(物貨)와 셔로 의포의 니지 아니코 슘겨 드려가 믈화(物貨) 니이라
95
이날 대국(大國) 녜부(禮部) 문(咨文)이 나오니 영고탑(寧古塔) 사이 년(每年)의 됴션(朝鮮) 회령(會寧) 디방의셔 져 야 믈화(物貨) 밧고난 법이라
96
젼례(前例)로통관(統管)샹산(商算)의 무리 차뎡(差定)여 가지로 간검(看儉)라 연유(緣由) 믄져 지위(知委)홈이러라
97
졍부(正副使)와부윤(府尹)으로 더브러강무당(講武堂)의 모히여 본부(本府) 장교(將校)와 기(妓生)을 모도와 을 니이며 칼 이기 시험(試驗)니강무당(講武堂)은 일원(白日園)이라 일니 너른  가온셔 무예 강습 법이라 쟝교의 군복(軍服)이 션명(鮮明)고 안매(鞍馬ㅣ) 빗나경군문(京軍門)과 다미 업며 혹 마샹(馬上才)  쟤 이셔 월도(月刀)와 쌍검(雙劍)이 다 죡(足)히 일등이라  거시오 기이  젼립(戰笠)과 군복(軍服)을 초와시니 다 져의 비(自備) 배오 님시(臨時)여 의게 비 배 업다 며  검(雙劍)을 쓰 계집이 이시니 궁마(弓馬) 슝샹(崇尙) 풍쇽을 가히 알너라
98
은안마(銀鞍白馬)의 샹모(槊毛)와 쥬락(珠絡)을 라시며 거믄 깁으로 머리 동히고 녹의홍샹(綠衣紅裳)으로 션(爭先)여 젹셜(積雪)이 만산(滿山) 너른  가온대  시 횡치(橫馳)니 진실노 긔관(奇觀)이라 쟝교와 기의 조 우등으로 여부윤(府尹)이 샹을 쥬니 이  용동(聳動)케  의(意思ㅣ)라위화도(威化島)산영(山影)이 장 쾌(快)나 오날 구경의 비기지 못리라 더라
99
일은 쟝 도강(渡江)지라 손의 이  슈졀(愁切)더니 이날 치위 심야 삭풍(朔風)이 기리 브니 귀 풍슈(風水) 소와 누(樓) 압 호산(湖山)이 다만 회포(懷抱) 도을 이라 가국(家國)의 멀니 난 졍(私情)이 엇지 이러치 아니리오
 
100
십구일
101
이른 식후(食後)의부윤(府尹)으로 더브러압녹강(鴨綠江)의 니니 모 우 댱막(帳幕)을 첫지라 이윽히 안잣더니 졍부(正副使ㅣ) 나와 쥬셕(酒席)의 동셔(東西) 화 안 나 졍(正使) 아 안져부윤으로 셔로 여 안즈니 압 인매(人馬ㅣ) 구름 고의쥬(義州)셔문(西門)으로 나오 짐바리 히지 아니여 먹쥴 친 시 니엇더라
102
댱막(帳幕) 동편의 나모 셰오고 쥴을 여  안팟글 뎡(限定)여의쥬(義州)쟝교(將校)로 여금븍경드러가 인마(人馬) 졈고(點考)여 넘겨 보내고 댱막(帳幕) 남편(南便)의  댱막을 베퍼 셔장(書狀)의 비장(裨將)과 운향비쟝(運餉裨將)으로 여금 짐을 슈험(搜驗) 도강(渡江)기 슈일(數日) 젼(前)의셔장(書狀)의 슈결(手訣)을 쇠의 삭여 목패(木牌)의 박아 쇄마구인(刷馬驅人)과 지마구인(事持馬驅人)과 즁(行中) 노(奴子)와 샹(私商)의 드러가 쟤비쟝(裨將)과역관(譯官)외의 다 오니 이치 여  법이라 이날 일노 슈험(受驗)야 (牌) 샹고(相考) 후의 짐을 다 프러 속속히 뒤질 사은 의복을 뒤지며 샹토가지 뒤지니 혹 셩내며 븟그러 모양이  졀도(絶倒)더라
103
슈험을 매 발긔 이니의쥬(義州)잡복(雜卜)과 밋역관(譯官)의 (自帶) 믈화(物貨)들은 로 졀가(折價)니 합야 일만팔쳔뉵칠십구냥이오 당하(堂下)의 이십이원(二十二員)은 각각 오백냥이라 그나마 일칠십구냥 푼슈(分數)일관(日官) 니졍덕을 더 쥬니 이관샹감(觀象監)(冊) 무역(貿易)을 맛닷지라 특별이 더 쥬니라 인여 도강장계(渡江狀啓) 일 샹하 일이 다 편지 부치고 쟝 날부윤(府尹)의 젼숑(傳送)을 바드며비쟝(裨將)역관들은 댱막 녑희 모히여 음식을 먹으니 기이 이이 셧겨시며 샹(私商)과 군인의 가족들이 나와 보내 쟤 슐과 음식을 초와 니별니 쥬육(酒肉)이 님니(淋漓)고 강변 슈리(數里)의 사이 모혀시니  쟝관일너라
104
삼신(三司臣)이 례로 강을 건널비쟝(裨將)은 다 벙거지의 군복을 닙어시며역관(譯官)과건량관(乾糧官)별배외(別陪行外)의 다 갓 텬익(天翼)을 엿더라
105
졍부(正副史) 의구(依舊)히 쌍교(雙轎) 시며 나 좌차(坐車) 시니 우흔 가마 치 며시며 기 젹이 길고 뒤 두 박회 아시며 압흐로 긴  그러 을 메워시니 길이 평탄면  롭지 아니나 비탈길과 돌무덕이 당면 박회의셔 벽녁(霹靂)튼 소 웅쟝(雄壯)고 흔들니기 심여 혹 머리도 닷치며 도 치이여 과(過)히 닷치면 다 부어 프러지니 오란 후  의(意思ㅣ) 나지라 구지 안지 아니코 몸을 요동여 슈와 치 흔들면 닷치이지 아나 혹 이 드럿다가 양 닷치이니 놀나 여 내 도혀 우음이 나 쥴을 지 못너라
106
압녹강(鴨綠江)이 셰 가지 호여시니 이 니른 삼강(三江)이라  배라 이  삼강이 어이 합야 두테 여러 자히 되고 눈이 싸혀시니 을 모라 건너매 강인 쥴 아지 못너라
107
강을 건너 쟤 원역(員役)이 해(該) 삼삼십 인 이오 이 이십구 필이라 이졔 니러의쥬(義州)하인(下人)이 다 낙후(落後)니 다만군노[뇌](軍牢) 과 인노(引路)  과 졍(正使)의 쌍교(雙轎) 압 셔시며서쟝(書狀)은 일산(日傘)  로이며 마두(馬頭) 올흔 편의 셔고 좌견(左牽)은 외편의 셔시며 셔(書者) 뒤 니 (行色)이 고단(孤單)며 잇다감 마두(馬頭)와 좌견(左牽)이 외마 소로 권마셩(勸馬聲)을 니 극히 우읍더라
108
삼십오리의 마뒤(馬頭ㅣ) 디명(地名)을 알외오니 여러 번 닌 놈이나븍경들기지 그릇 일이 업니 이  어려온 일이러라
109
즁강(中江)의 니니 쇼셔강(小西江)이라 일더라
110
예 지나면 져의 히라 길 녑 갈슈플이 며이여 계유 슈 지나게 통여시니 회(客懷) 극히 슬프며 믈며 깁흔 겨울에 삭풍(朔風)이 쳐량(凄凉)여 셕양이 뫼 리  당여 머리 두로혀 동으로 라보매 눈믈 아니 내리 업며 보내 사도 강의셔 라보면 갈슈플 이의 푸른 일산(日傘)이 나븟기다가 잠간 이의 간 곳이 업셔지니 암연(暗然)히 쇼혼(消魂) 아니리 업다 더라
111
길의  늙은 나모 이시니 마뒤(馬頭ㅣ) 예 당여  장 지(白紙) 가지의 걸며 두어 번 졀여 망(所望)을 일워지라 손을 드러 빌기 마지 아니며 역마 쇄마군도 그리 아닌 쟤 업니 즌 가지의 흰 곳치 픤 듯더라
112
이날 일긔 심히 온화여 이삼월 더라
113
어름이 녹아 리니 길이 뮛그러워 기 어려오며쇼셔강이편이 오리가 되니 강믈이 파파(派派)이 호이여 흙이 다 즐기 심지라압녹강근원(根源)이 븍도두산(白頭山)아로셔 려 두만강 하류라 예 마라 일니 하이 댱강을 냥국(兩國)의 디경(地境)을 삼은고로 강믈 동편 셔편의 풍긔(風氣) 현연(顯然)히 며 강의 왕왕(往往)이 슈자리 사 피인(彼人)의 초막(草幕)이 이시며 산(山水ㅣ) 슈려(秀麗)고 님목(林木)이 춍울(蔥鬱)니 가히 밧 가람즉 며 사 사람즉  곳이 맛터라쇼셔강셔편의  뫼히 이시 일홈은마이(馬耳)라 니 바회와돌이 프러 병풍 치 둘너시며 겻 쟈 뫼부리 이시니 일홈은구리(九里)라 일 텰이 이셔 셤돌이 오히려 잇다 더라
114
 십여 리 지나니 누른 갈슈플이 들에 미만(彌滿)야 라매 가이 업고 이이 블지 곳이 이시니 이 피인(彼人)의 산영(山營)던 곳이라 며 혹 길의 큰 남기 누어시니 크기 아람의 지난지라 녀름의 믈이 만흔  큰 남기 나와 돌어 걸니여 이럿타 며  슈 자곡이 깁희 두어치 되며 믈이 깁흔 곳은 다 다리 노하시니 이 년년(年年) 시(使行時)의의쥬(義州)에셔 노흔 배오 슈목(樹木) 이의 젹은 길이 두로 나시니 곳 피인(彼人)의 즘을 좃차 니던 길이니  지기의굴연셩(九連城)을 지나니굴연셩은 녯아양셩이오명(明)의지강보 베퍼 유격장군(遊擊將軍)을 두엇던 곳이라 오히려 여진 셩지(城地) 위 뫼허리의 이시며 예 지나매의쥬(義州)셩텹(城堞)과 다통군졍(統軍亭)이 다시 뵈지 아니니나라흘 나며 친졍(親政)을 니별 회푀(懷抱ㅣ) 더옥 비 곳이 업더라
115
압참의 니니 슈목(樹木)이 둘너 잇고 산곡(山谷)이 깁흐니 사으로 여금 못 원님(園林)의 승개(勝槪) 각키이며 믈마시 긔이(奇異)지라 쥬방(廚房)이 셕반(夕飯)을 초와 나오니 졍결(淨潔)고 소담하여 비위(脾胃) 열니이며 이곳은 한둔 곳이라 도강(渡江) 젼의의쥬(義州)장(將校ㅣ) 창군(槍軍)을 거리고 믄져 니러  구덩이 글고아 화토블을 질너 두엇다가 이날 그 우 댱막을 베플고 휘댱(揮帳)과 병풍을 면으로 막으며 쵸블을 히고 자리 펴 노흐니 엄연히 방안 더라
116
삼신 댱막이 십여보식 되니 다  모양이오비쟝(裨將)역관의 잇 곳은 밋 블은 픠오나 홋댱을 첫지라  잘 길이 업며 네 녁흐로 그믈을 고 하인이 다 그 안희 드러 블을 픠오고 찬 거 막으니 날이  더온지라 치위 견기 어렵지 아니니 심히 다더라
117
의쥬(義州)장교 아홉 사이 창군(槍軍) 십오명을 거리고 댱막 근쳐의셔 납팔을 블며 납함(吶喊)니 이 즘을 방비미러라
 
118
이십이일
119
밤이 졸한(猝寒)지라 둔 쟤 손을 블며 발을 굴너 화토블 겻 모히여 혹 셔며 안시니 보기 심히 민망더라
120
미명(未明)의군뇌(軍牢)(軍牢) 댱막 밧긔셔 납팔을 부니 이 니른 초(初吹ㅣ)라 구인(驅人)이 다 을 먹이고 이(二吹ㅣ)예 쥬방(廚房)이 조반을 나오며 인마 졍졔(整齊)고 삼(三吹ㅣ)예 드여 나니 예셔븟터븍경지 이리더라
121
십여 리 여 비셕 모통이 니니 길 언덕의 쟈른 빗돌이 이셔 여져 두 조각이 되여시니 글 완(刓)여 알 길이 업더라
122
금셕산(金石山)의 니니 챵벽(蒼壁)이 닌슌(嶙峋여 금과 돌이 셔로 섯기엿 며 크기 아국(我國) 관악산(冠岳山)의 비 거시로 혀 나고 명윤(明潤)기 지나며숑골산(松鶻山)이금셕산올흔 편의 이시니 슈목(樹木)이 만흐니 혹 니님(林) 장군(將軍) 경업(慶業)이의쥬(義州) 직흴 예 이 뫼 가만이 봉슈군(烽燧軍)을 두엇다 더라
123
금셕산을 잠간 지나 길 언덕 밋 려 안니 만샹(彎上) 햐쳐(下處) 군관이 믄져 니러 댱막을 치고 눈 우희 돗  닙흘 라시니 칩기 심여 오래 안졋기 어려온지라 샹부(上副使) 조반을 나온 후 즉시 교의 드러 안 나 좌챼(坐車ㅣ)  메오면 뒤 놉고 압히 즈니 가히 안지 못지라 치위 고 오 안자 즁의 밥 먹기 기릴 일이 다 남긔 을 고 길의 퉁노구 거러시며 역마 쇄마구인(驛馬刷馬驅人)들이 져희 각각 칠팔인식 동모(同侔)여 가지로 먹음새 니 두 놈이 양 믄져 참(站)의 니러 사의 밥과 쥭을 초와 기리다가 다 드러오면 짐을 브리오며 잠간여 도로 찰와내니 심히 신속고 쥬방은 상을 무른 후 긔명(器皿)을 슈습여 압참으로 려가니 그 형셰 더옥 군속(窘束) 못 밋 일이 업더라
124
낫참을 지나매 산(山水ㅣ) 더옥 긔이(奇異)고 슈목이 빗나며 토셩(土性)이 심히 기름져 사 사람즉  곳이 만흐며 창망(蒼茫) 이의 계견(鷄犬)의 소 나  더라
125
그러나 무인디경(無人之境)의 잇틀을 지내 묏즘 지나 거 보지 못고 오작(烏鵲)도  뵈 일이 업며 다만 총소 산곡(山谷) 이의셔 나니 피인(彼人)의 즘 갑 쟤라 더라
126
즁아문(中衙門)이란 곳의 니니 녯 아문(衙門)을 베펏던 곳인가 시부나 알니 업며 온졍틀이라  니니 길 온졍(溫井)이 이셔 셕츅(石築)이 완연고 슈셩(水性)이 더워 슐을 죡히 더인다 더라
127
샹총산(上蔥山)은 문(柵門) 안희 잇 뫼히라 여긔 라보매 표묘(縹緲)히 혀 나며 봉황산(鳳凰山)이 여러 뫼 이로 구름 기 치 뵈이더라
128
십여 리 여 탕참(湯站)이라 디명(地名)이 이시니대명(大明)의지휘(指揮使) 두어 직희던 곳이라 길 외편의 문허진 셩이 놉희 두어 길이오 그 가오[온]대 나뫼 옥여시니 호표(虎豹)와 암의 굴혈(窟穴)이 되여 쥬(白晝)에도 깁히 드러가기 어렵다 며 녀염 녯터이 완연히 분명며 밧 두듥과 우믈 젼형(典型)이 오히려 이시니 담 핫던 지위와  가온대 돌 노히엿던 곳이 의구(依舊)더라
129
역관이 니 오란 회반(灰礬)이 이곳을 지나면 업니 약의 너허 나력(癩瀝)의 부치면 굼기 나 겻 쥴기 담 몽치인 거시 구무 속으로 다 나온다 니 대개 인거(引去) 공(功)이 잇다 더라
130
예셔  오랑캐 혼자 동으로 향야 가 쟤 잇거 마두(馬頭)로 여금 어로 가뇨 무라 니 답즁강(中江)으로 가노라 니  므든 옷 러진 마으락이 써시니 산영 오랑캔가 시부더라
131
져녁의총슈(蔥秀)의 니니  한둔하 곳이라 길 남편의 긴 내 흘너 잇고 내  겨근 뫼히 이셔 졀벽이 다 프른 빗 여시니 이러모로 일홈을총슈(蔥秀)라 니 총(蔥字) 파총 니미라 아국(我國)령산총슈(蔥秀)셕벽과 은 암이 이와 방블(彷彿) 고로명(明)텬(天子ㅣ)령산으로 지나다가  총슈(蔥秀)라 일홈을 지으나 다만 이 곳은 소아(素雅)고 연미(姸美)고령산은 참암(巉巖) 의(意思ㅣ) 만흐니 젹이 다다 니너라
132
구덩이 우희 댱막을 친 거시구련셩(九連城)던 모양이오 납팔을 블며 화토블을 곳곳이 노화시니 이  어졔밤과 가지라 그러나 바람이 이 블고 일긔(日氣) 심히 치우니 밤을 새기 어렵더라
133
밤 든 후 피인(彼人) 두어 사이 쇼쥬(燒酒) 팔나 댱막 근쳐의 왓거치형(致亨)이 마두로 더브러 안치고 무 네 셩(姓)이 무시며 어늬 곳 사이뇨 그 즁의 나히 오 셩(姓)은강가(姜哥)요 본산동(山東)ː등쥬부(登州府)ː치현(治縣)사으로 니(生理) 위여 문(柵門) 와 사란지  포 되엿노라 거  무치현(治縣)이영셩(寧城)셔 몃 니(里)나 되뇨강개(姜哥ㅣ)이윽이 각다가 오 뉵칠 니나 되니 노얘(老爺ㅣ)영셩(寧城)을 엇지 아뇨 거 인야양명등 십오인이 표풍(漂風)여 아국(我國) 디방(地方)쥬(海州)의 니러시니명의 나히 팔십이라쥬샹(主上)이 특별이 어엿비 너기샤션뎐관(宣傳官)을 별졍(別定)여 리고 드러오단 말을 니니강개(姜哥ㅣ)오대 내 비록 가지로등[쥬]부(登州府)사이로 그 엇더 사인 쥴은 모나됴션국왕이 대국셔 혹 표풍야 오 사이 이시면 샹 극히 진뎜[념](軫念)시니 우리 평일의 감격여  배라 고 인여 손을 드러 치샤(致謝) 모양을 더라
134
이날 새벽의 쳥역관(淸學譯官) 고임을 보내야 봉셩(鳳城)의 나아가 여금 (使行)이 문(柵門)의 니 긔약(期約)을 젼여 진시(辰時) 문을 열게 니라
 
135
이십이일
136
미명의 비쟝(裨將) 뉴옥과 별(別陪行) 니광직과 진냥관 니시관을 믄져 보내여 문(柵門) 밧긔 니러 입(入柵) 인마(人馬) 검칙(檢飭)라 고 나 샹부(上副使) 미조차 젼진(前進)야 십오리 여샹뇽산(上龍山)아로 지나니 셔흐로 라보매봉황산(鳳凰山)놉흔 바회와 창벽(蒼壁)이 며 개 쳐 츔츄  며샹뇽산(上龍山)기으로조차 목을 막아시니 그 졔되(制度ㅣ)  길 되 쟝목(長木)으로  느러 박고 긴 남그로 뉘 로 여시니 틈이 셩긔여 젹은 사은 죡히 츌입(出入)염 며 당즁(當中)여  간을 셰오고 널문을 내여시 집을 로 니어시며 셧가의 네 글  붓쳐시니됴션진공(朝鮮進貢)이라 엿더라
137
문 놉희  길은 지나고 너븨 계유 슈 용납(容納)지라봉셩쟝(鳳城將)이 그 열며 닷기 쥬쟝다 더라
138
이젼은 문(柵門)이봉셩(鳳城)동편으로 오리 지나 이시니압녹강의셔 일삼십여 리라 그 이 뷔워  피의 혼잡(混雜)믈 방비엿더니강희(康熙)예 십여 리 믈녀 이리 옴겨시니 븍도(北道)셔수라(西水羅)[]지 이 치 막은 문(柵門)이 열 곳이라 삼신이 외(柵外)예 쟝막을 베퍼 됴반을 나온 후 인마와 짐바리 다시 졈고(點考)니의쥬(義州)셔 예지 역마(驛馬) 외의 짐 싯 쇄마의쥬(義州)역마로 실니이니 마부와 창군(槍軍)이 그 (數ㅣ) 무슈(無數)더라
139
인매(人馬ㅣ) 구 여 도강 젹과 다 업더라
140
문 열기 젼의역관고임이봉셩(鳳城)셔 도라와 목 틈으로 믄져 나와봉셩쟝(鳳城將)이 나왓다 통며황녁져관(皇曆䝴咨官)변복도라와 (柵內)의 머믄지 슈일이라  목 틈으로 나와 보거븍경소식을 무니 별노 다른 소문이 업고 다만 태샹황이 후년이 구십이 되지라 황뎨 쳔관(千官)을 거려 년(來年)으로 경하례(慶賀禮) 믈 미리 쳥니 샹황이 임의 허락다 며  니산관(山海關)외의 뉸질(輪疾)이 대치(大熾)야 망(死亡)이 만흔지라 길 간졍(乾淨) 곳이 업며 져의 일도 뉴관(留舘) 졔 아니 알흔 쟤 업다 니 심히 놀납고 념녀fkk오나 왕녕(王令)의 밋 배라 엇지 관겨홈이 이시리오 갑군(甲軍) 십여 인이 목의 의지(依支)여 담대 a>jr음고 셧난지라역관들이 혹 인며 담도 여 쥬 쟤 이시니 갑군(甲軍)이라  거슨 여 긔(旗) 빗츠로 화 군 슈 뎡여 여시니 이 젼혀 쳥인(淸人)이라  한인(漢人)이 호녀(胡女) 계집 삼아 식을 나흐면 일홈을 오금(烏金)조호라 야 한군(漢軍)이라 일니 이슌치(順治)의초(楚)왕구영(九英介)의 졍 법이라구영(九英介)슌치(順治)의 형(兄)으로셔슌치(順治)의게 위(位) 양고초(楚)왕을 봉여시니 지용(智勇)이 겸졈(兼全)여 셰샹이 다 초[](楚子)의게 비기 사이라구영늣게야 샹쳐(喪妻)고 우리나라 종실(宗室)에 구혼(求婚)니 군(君)의 녀로 허혼(許婚)지라총관(摠管)뎡명슈(鄭命壽) 보여 마자갈뎡명슈(鄭命壽) 본 아국(我國) 사으로셔 죄로 하여즁국의 드러가총관(摠管)이 되여 아국(我國)의 나오면 악(行惡)이 비  업 즁 호란(胡亂)을 겻건지 오라지 아닌지라 조금도 졔 을 거리지 못더니 이  나온 후  의구(依舊)히 악(行惡)여 은화(銀貨) 만히 츌(責出)코져 거군(君)의 녀(女子ㅣ) 위의(威儀) 대쟝(大張)고 명슈(命壽) 입(內入)여 지져 오 내 드러가초(楚)왕 엿오면 네 목슘이 쳐지리니 네 심(生心)이 나 내 나라셔 악을 냐 고 쟝 결곤(決棍) 거조(擧措) 오니뎡명(鄭命壽ㅣ)겁을 내여 죽기로 쳥니 이  심히 쾌(快) 일이라 일더라
141
드러가 초(楚) 왕비(王妃) 봉(封)얏더니 이삼년 만의구영개(九英介)죽은지라 그 후 군(君)이 신으로 드러가 을 보자 거강희(康熙)보기 허고 됴셔(詔書)여 오 왕비의 고초(苦楚)믈 내 심히 긍측(矜惻)히 너기더니 려가라 거 드여 려 오고 인여 아국(我國)의셔 문(咨文)여 니 쳐음으로 결혼여 이치 블니 이후로붓터 셔로 혼인을 막고 혹 만이 통간(通奸) 일이 이시면 군뉼(軍律)을 자 야 일노븟터 냥국(兩國)의 일뎡(一定) 법이 되니라
142
장 오란 후 문을 열거 일이  갈 문 안 슈십보 여  아문(衙門)이 이시니 이곳봉황쟝(鳳凰將)이 나와 안즛 곳이라  거믄 목으로 압흘 막고 문을 내여 츌입게 엿더라
143
봉황쟝영녕은 종실(宗室)이라 공(公事)로심양(瀋陽)의 나아가 도라오지 아녓 고로가셩쟝(假城將)니창아로 신여 니문어(門御使)희격과 가지로 교위(交椅)예 안졋고녕송관(迎送官)달보와셰셰관(歲稅官)타라합과문관(文官)졔조웅과통관길이통아와 밋댱경(章京)여덟 사이 가지로 셔며 안며  마(麻貝) 아역이라  명이 이시니 마 갑군(甲軍)을 거려 (使行)을 호위니녕송관(迎送官)과 가지오 아역은통관이 겸여 말을 통기 위미오문어(門御使)슈험통관(受驗通官)을 겸여시니슈험통관(受驗通官)은봉셩(鳳城)디방(地方)의 잇 관원이오셰셰관(歲稅官)은심양으로셔 뉵부(六部) 낭즁(郎中)으로 숑(差送)여 일년식 교체(交遞)다 며문관(門官)은 문을 맛튼 소임이오댱경(章京)은 갑군(甲軍)을 디 두목인가 시부더라
144
인여 보단(報單)을봉셩쟝의게 보내고  인졍녜단(人情禮單)을 여러 관원의게 화 준 후 입(入柵) 장계(狀啓) 오고 편지 붓치다 문의 드러올 의 남녜(男女ㅣ) 길예 모이여 보니 남 머리의 쓴 거시군노[뇌](軍牢)의 용(勇字) 벙거지 치 그러시 우리 둥그러 머리골 치 엿고 그 우희 블근 실노 샹모 치 덥허시니 이 니른 마으락이오 오슨 거믄 두루막이 닙어시 매 좁게 고 그 우희 등거리 흔 거  닙어시며 옷시 다 고롬이 업셔 단초로  워시며 등거리 튼 옷도 녑흐로 단초 웟고 바지 당바지로 통이 좁아 굴신(屈伸)이 어려올 듯고 옷기시 업셔 다만 털 잇 가죡을 둘넛고 두  부리의  굽모양 치 모믈(毛物)을 라 더우면 것고 치우면 느리쳐 손을 덥흐며 옷 빗 젼혀 검은 거  혹 지빗도 이스며 프 빗 젼혀 삼승(三升)이 만흐니 이 가난 놈이오 옷시 좌임(左袵)이 아니라 올흔 편으로 염외여시며 마으락이 여러 가지 털노 여 시 돈피(豚皮) 뎨일 호(好事)로이 니니 검은 비단으로  거시 곱고 졍(精)여 뵈며 머리털은 곡뒤 외예 다 가시며 나믄 털을 하 뒤흐로 드리워시며 뒤흐로 보면 우리나라 늙은 아희 즁놈 더라
145
녀 우희  두루막이 닙어시니 얼픗 보면 사나와 다미 업고 치마 혹 닙으니 그 졔되(制度ㅣ) 압흔 셰복이오 뒤흔 네복이로 문(柵門)셔황셩(凰城)지 여러흘 보지 못니 이 마을 계집이 일을 골몰(汨沒)이 기로 닙 일이 업가 시부며 혹 동젹우리의 당바지만 닙은 계집이 길의 셔시니 셜(褻) 믜여 고이여 븨며 머리털은 근 일 업고 사나 모양으로 졋게 비셔 곡뒤 뭉쳐 셔너번 트러 샹토 모양을 글고 빈혀 둘도 시며 귀의 귀엇골 아니 단 거시 업며 혹 어린 사나도 귀엇골을 다시니 괴이(怪異)지라 계집이 발을 동힛 듯 문(柵門)의셔 나토 보지 못니 다 진짓 오랑캔가 시브더라
146
사나 얼운과 아희 분변(分辨) 길이 업며 계집은 쳐녀(處女) 가리마 타시며 츌가(出家)면 모도 졋빗다  혹 열아문 셜 먹은 것도 졋비슨 머리 이시니 이 분명치 아니더라
147
악가(鄂哥)의 집의 슉소니 이 년년이 삼방(三房)의 졍 쥬인이라 더라
148
캉의 드러 안니 캉이란 거 블  거 니미라 집 졔도 다 일로 지어시니 호 오량(五梁) 칠냥(七梁) 구량(九梁)을 거러시나 녑흐로  그어 거 지은 법이 업고 네 벽을 다 벽돌노 싸하시며 혹 널노 막아시며 비록 창호(窓戶) 여러이나 츌입(出入) 문은 나 이오 지도리 쇠로  거시 업고 다 남그로 여시며 집 안희 혹  캉도 노하시며 두 캉도 노하시며 삼면(三面)으로 캉을 노흔 졔도도 잇더라
149
캉 아 블 녓 궁글 그러시니 굼기 젹고 깁흐며 남글 너허 블을 픠오면 무어시 잡아드리 긋 모양 야 블 곳치 활활며  졈 연긔 나 일이 업고 젹게 히되 심히 더으니 극히 묘 법이오 굴독은  가온 별노 싸하  탑(塔) 무은 모양 트니 그 놉희 집 기의셔 자 남즉이 지낫더라
150
집은 로 이어시며 혹 슈슛대로 이 동혀 라시니 오라여 그은 후 먼리 보기의 기와 고 집 말 다 회로 발나시며 기와 니은 법이 궁궐(宮闕) 외예 다 암기와 고 슛기와 섯거 니으지 못니 이 녜브터 잇 법이라 이날 삼십니 니라
 
151
십일월 이십이일
152
의 문(柵門) 머므다 남방(南方) 사 셔히 햐쳐(下處) 근쳐의 왓다 거 블너오니 둘은 샹고(商賈)요 나흔 슈(秀才)라 니 슈 션 니미라 손을 드러 약간 녜슈(禮數) 모양을 거 내 캉의 안기 쳥니 다 거러 안지라 거쥬(居住)와 셩(姓字) 무며 므 일노 남방 사이 여긔 왓뇨 무니 슈(秀才)라  사람이 답여 오 내 셩은양가(梁哥)오졀강(浙江)ː계현사이라 과거 맛치지 못고 니(生理)의 구(拘礙)야 야흐로 두 동뉴(同類)로 더브러봉셩의 니러 약포(藥鉋) 베플고 잇더니 귀국행(貴國使行)이 드러온다 거 귀경기 위야 니럿노라 니 거지(擧止) 못 단졍여 시졍(市井)과 다고 의복이  션명여 돈피(豚皮) 마으락이와 비단 두막이 닙더라
153
치형(致馨)이  무 그졀강사이라 니졀강도(浙江道) 텬하의 대관(大觀)이라 그 일 보와시며계현이졀강(浙江)셔 몃 니나 되뇨 망됴(望海圖師)로 보건대 셔호(西湖)의 긔이(奇異) 경치 쳔고(千古) 일홈난 승디(勝地)며 이 밧긔 여러 가지 경(景)이 이시니 고금의 소인믁(騷人墨客)의 닷토와 글 지어 풍경을 칭찬야 이긔 죡(足)지 못니 대져 텬하의 유명 곳이오 인간의 졀승(絶勝) 경개(景槪)라 니 듯기 원노라양이 니 나 사 곳이젼당셔호(錢塘西湖)의 머지 아니나 내 먼리 놀기의 이 이셔 갓가온대 셔히 본 일이 업지라 그 뭇 말을 답지 못며 졀강도(浙江道) 이졔도 텬하의 장관이라 니니라
 
154
치형이 녯 사의 글  쎠 뵈여 오
 
155
블견녀산진면목(不見廬山眞面目)[주:니]
156
지연신신[산]듕(只緣身在此山中)이라
 
157
이 글 은 녀산(廬山)의 참면목을 보지 못니 다만 몸이 이 뫼 가온대 이시믈 인연미라 이 글은 그 뫼 속의 잇기예 먼리셔 뵈 긔이(奇異) 경개(景槪) 모단 말이라 일노양이젼당셔호(錢塘西湖)구경치 못하믈 비미라양이 오 지초(芝草)와 난초(蘭草) 심은 집의 드러 이시면 오라매 향긔(香氣) 잇 쥴을 모른다 니 내 곳이  이 모양이라 더라
158
 무 악양누(岳陽樓)와 고소(姑蘇臺)몃 니 이 되뇨 양이 이윽히 각다가 녑희 두 사을 도라보와 무 말을 더니 글로  니 뉵여 리라 니 올 녀름졔쥬(濟州)츌신  사이 표풍(漂風)여소항쥬(蘇杭州)로 말암아 도라온 후 약간 노졍(路程)의 본 바 긔록(記錄)여시악양누(岳陽樓)가고소(姑蘇臺)의셔 삼십니라 여시니 그 그런 쥴은 짐작나 셔히 모지라 이러모로 무니 그 답이 이러더라
159
내 찬합(饌盒)의셔 약과(藥果) 내여 셰 사을 화 쥬니 캉의 려 치샤(致謝)고 먹으며 셔로 무 슈작(酬酌)이 이시니 대져 됴히 너기 모양은 이러 더라
160
샹방(上房)의셔 쳥여 가기의 다른 슈쟉을 못니라
 
161
이십삼일
162
계초명(鷄初鳴)의 나 오리 매 마뒤(馬頭ㅣ) 고여 오 이 디명(地名)은안시셩(安市城)이라 거 내 번연(翻然)히 네 녁흐로 도라보니 다만 큰 뫼히 하의 다핫고 슈목이 총잡(叢雜)여 별빗과  그림자의 일만 형샹이 희미지라 도로혀 머리 드리워 스로 각당태종(唐太宗)의 위무(威武)와 지략(智略)으로 친히 뉵(六師) 거려 능히 외온 젹은 셩(城)의  신(陪臣)을 당치 못여 다만 셩하(城下)의 군 빗내고 비단을 쥬어 신하된 사의 츙의(忠意) 기리고 쇽졀업시 도라가니 대개 능히 졔어(制御)치 못 쥴을 살펴 아랏 고로 이러 젼도(顚倒) 솜씨 부려  인군된 쟤 회홍광대(恢弘廣大)여 항복지 아니 거 거리지 아니코 졔 님군을 위여 아다온 츙셩을 셩(成就)홈이라 진실노 가히 을 어들가 시부면 비록 셰월을 허비여도 반시 일 계교로 쳐 여 눈 샹(傷) 븟그러오믈 스려니와 엇지 헛도이  머리 도로혀시리오 믈며양만츈(楊萬春)이 이에 감히 셩상(城上)의 올나 텬(天子) 졀여 하직(下直)노라 니 엇지 그 쟝며 엇지 그 의긔(義氣) 잇뇨 이  인군의 군 됴하 쟈 은 경계되리로다 내 일즉 그 글을 닑어 그 시(時事) 혜아리더니 이졔 그  니러 그 사을 보 나 바다 글과 나모 밧치 특별이 잠간 이라 기친 자최 어로 만져 슬프믈 일위여 녯 터흘 자 눈을 구을니니 엇지 긔이(奇異)치 아니리오 노가일긔(老稼齋日記)예 니이고구려동명왕(東明王)의 흔 셩(城)이 안시성(安市城)이 아니라 니 안시성(安市城)이 엇지 홀노동명왕(東明王)의 흔 배 아니리오
163
일통긔(一統記) 보건대 이 진짓안시셩이라 이리로 오리 여쥬필산(駐驆山)이 이시니 이  은 증험(證驗)이라
164
쥬필(駐驆)이란 말은 임군이 거동야 머므단 말이니당태종(唐太宗)이고구려 칠 의 이 뫼 머므럿 고로 일홈을쥬필산이라 니라
165
구문(舊柵門)의 니니  비로소 돗지라봉황산(鳳凰山)이 붓  튼 뫼리의 창검(槍劍)을 느러 셰운 니 돌이 프고 명미(明媚)여 잠간 보매 아국(我國)슈락산(水落山)의(意思ㅣ) 잇더라
166
봉황셩(鳳凰城)의 니니안시셩(安市城)의셔 삼십니라 아국(我國) 녯 방언이 봉황을 니 안시라 니 아희 글 호매 안시(安市) 봉(鳳)이라 지라 이 보건대 안시와 봉황이 대개  일홈이라
167
아국(我國)은 안시라 일며즁국은 봉황이라 일니 이졔봉황셩(鳳凰城)이 녯안시성(安市城)이 아닌 쥴 알니오만은 그러나 내 소견으로 혜아리[릴]진대안시성(安市城)은 산을 의지여 험 거 직희니 가히 보쟝(保障)이 되려니와봉황셩(鳳凰城)은 평지의 셩을 하 형승(形勝)을 일 거시 업니 만(百萬) 졍병(精兵)이 부듸쳐 칠진대 츌즁(出衆) 조라도 응변(應辯)기 어려올지라 새벽의 지 곳이 분명안시성이오 혹 니안시성이뇨양(療養)ː개쥬(開州)디방의 이시니 여긔셔 칠십니라 니나 대져 완[와]젼(訛傳) 의논이라
168
셰샹이 뎐 안시성쥬(安市城主)양만츈(楊萬春)이라 니 이 말이 당셔연의(唐書衍義)라  의 이시나긔(史記)예 뵌 일이 업니 죡히 신(取信)치 못리라 니 이 분명 의논이라
169
봉셩밧긔 오회(四五百戶ㅣ) 되고 그 가온 져 이시니 구 보와 그림그릇 버려 노흔 거시 졍졔(整齊)야 보암 며 셩이 모히여 보 쟤 만흐니 계집은 문틈으로 좃차 엿보더라
170
셩안 셩샹(城上)의 아문(衙門)이 잇고 셩 밧그로 지나매 툐루(譙樓)와 셩낭(城廊)을 보지 못니 대개즁국의 셩 흔 졔되(制度ㅣ) 언덕을 의지 아니코 그 놉희 셩 밧과 가즉니 그런  일이 잇  당야 구다리 베퍼 밧글 엿보가 시부더라
171
셩(城)을 다 벽(甓)으로 하시며 아 퍼지고 우히 며 남편(南便)의 문을 내여시니 단쳥(丹靑) 문이 표묘(縹緲)며 셔편(西便)은 문을 내지 아니여시며 동븍(東北)은 뵈지 아니하니 잇 쥴 아지 못너라
172
 오륙니 여삼차(三叉)란 믈이 이시니 일홈은 비록 하슈(河水)라 나 일즉 젹은  용납(容納)지 못게 여시니 지난 바의 하슈(河水)라 일홈 쟤 다 이와 더라
173
 십오리 여(四臺子)졔가의 집의 됴반니 인회(人戶ㅣ) 겨유 셰 집이오졔가(齊哥)의 집이  누츄(陋醜)여 견여 오 안졋지 못너라
174
안동(伯顔洞)안의 니니원나라안(伯顔)이 군 머무럿던 곳이라  셔치 아니며마공[고]녕(麻姑嶺)의 니니 특별이  뫼히라막고(莫高)라 일홈기 므 의(意思) 쥴 아지 못너라
175
령(嶺)을 지나 매셜뉴참(薛劉站)이 이시니 곳 당나라 셜인귀(薛仁貴)와 뉴인원(劉仁願)이 군 던 곳이오  니 솔참이라 니 문(柵門) 지난 후 예 니러 비로소 두어 솔이 이시니 셔리고 창울(蒼鬱)여 가히 랑온지라 솔나모 남편(南便)의칠셩(七星祠)란 당(祠堂)이 길의 이시니 지나 바  마을의  졀이 이시며 혹 돌을 러 감실(龕室)을 글고  흙을 하 가온대 븨워관왕(關王)의 화샹(畵像)과 밋 젹은 부텨와 토지신(土地神)을 안치고 압희 향노(香爐) 노하  녜공(禮供)고 졀과관왕묘(關王廟)의 문 압희 다 블근 쥿대 쌍으로 세워 삭망(朔望)이면 긔(旗) 고 졔(祭) 지내니관왕묘(關王廟) 근(近似)거니와 졀의 무의(無依)더라
176
즁이관왕묘와 졀의 잡되이 이셔 고기 먹으며 내음 나 플을 먹어 츌가(出家) 사의 모양 지 아니고 오직황셩(凰城)만슈(萬壽寺)즁이 못 즁의 도리 직흰다 더라
177
솔참을 진동뵈(鎭東堡ㅣ)라 니대명(大明)의 베픈 배라 이졔 셩이 믄허져 흔젹만 나마시며 인개(人家ㅣ) 오륙십호 되니막고령(莫姑嶺)의셔 이십니라 대개 이곳 디방이즁국의 극변(極邊)이라
178
셩의 집이 왕왕이 길의 잇 쟤 산을 의지여 경쇠 치 녀시니 만흐면 여라믄이오 젹으면 두셰 밧근 지나지 못지라봉셩을 지나매 기와집을 보지 못고 흰플과 누른 갈이 들의 미만(彌滿)여 문(柵門) 밧 한둔던 곳과 다미 업니 사의 집이 드믈고 젹은 쥴을 가히 짐쟉너라
179
십오리 여뉴가하(劉哥河)의 다 믈 너븨 지나 바의 젹이 너른지라 동으로 흘너 삼강(三江) 쥴기 되여시니 젼년(前年)의 비믈이 범남야 인개(人家ㅣ) 만히 잠기엿다 니러라 져녁의 황가장(黃家庄)의 니러황가집의 슉소니 참의 들 의 을 사이 별 치 뭉키여 구경며 권마셩(勸馬聲) 소 듯고 믄득 우어 니로 이 므 소뇨 며  오  사람은 을고  사람은 시니  이 무 모양고 니 대개 피인(彼人)의 법은 왕공 귀인(王公貴人)이라도 견매(犬馬ㅣ) 업슴이러라
180
문(柵門)으로 븟터 여긔 니히 길의셔 피인의 슈 모라가 쟤 소와 과 나귀 노새 메워시되 그 (數ㅣ) 갈지 아니여 혹 두셋도 메우며 다엿도 메이고  놈이 발 너믄  잡아 녑희셔 오라 가며 혹 슈 우 안져 모라가니 이 빗그로 른 즉 을 드러 치 소 벽녁 고 여러  즁의 그릇가 을 희여 긴 로 둘너치 법이  신긔(神奇)더라
181
남모 뭇 튼 것도 등의 싯 일도 업고 반시 슈의 시르며 사도 등의 짐을 지 일이 업고 목의 걸거나 엇게의 메어시며  올이 쟝목(長木)의 가족쥴을 두 긋 느르고 두 편의 다 짐을 거러 그 경즁(輕重)을 치 여 엇게의 메여시니 좌편이 알프면 우편의 메고 우편이 알프면 좌편의 메며  외박회 슈 이셔 우 짐을 싯고 나흔 을며 나흔 미러 가니 시른 거시 두어  힘을 겸지라 심히 경편(輕便)며 혹 혼쟈도 미러 니 슈도 잇더라
182
 은 견매(犬馬ㅣ) 업며 쇼 코두레 아니여 브리지 아니면 들에 흣터 노핫다가 져녁 의  사이 막 가지고  쇼 면 셔로 모히여 소 듯 듯여 머리 이 고 사이 크게 소여 르루 면 밧비 라와 삽연(颯然)히 풍우(風雨) 트며 밤이면 한 두어 마구(馬廐)의 치 쟤 젹으니 아국(我國)의 업 일이오 쟝 슈 메우려 고 차뷔(車夫ㅣ) 소여 사오 사오 며 믄득 궁둥이로 압 두 틈으로 드러셔니 이 더옥 이샹더라
183
대져 나귀 역(役事ㅣ) 장 괴로오니  갈며 믈을 운젼며 슈레 메우며 밧갈기 고  소와 이 갈[길]마 지은 거 보지 못되 나귀 길마 지어 짐 싯 거시 만터라
 
184
이십일
185
어졔 참이 니 남으니 인매(人馬ㅣ) 못 곤핍지라 이날 삼방(三房)이 의논여  참만 쟈 고금사하(金沙河) 지나니 팔도하(八渡河)라 니르지라 믈이부[분]슈령(分水嶺)의셔 흘너 려  믈을 여 번 건너 고로팔도하(八渡河)라 며 하류  삼강(三江) 쥴기 되엿더라
186
이날 믈읫 삼오리 여통원보(通遠堡) 니가(李哥)의 잡[집]의 슉소니니 가(李哥) 곳 발쟝(撥長)이라
187
집이 못 졍졔(整齊)며 캉 문 우히 감실(龕室)을 글고 밧긔  오 종친(宗親) 삼대 신위(三代神位) 공봉(供奉)다 여시니 제 조샹의 졔 지가 시부다
188
금로 []시며 아 막은 거시 업더라
189
통원보(通遠堡) 진이보(鎭夷堡)라 니 곳대명(大明)의 셩을 하 쟝슈(將帥)로 여금 직희엿더니 이졔 셩(城) 지위 분명치 아니코 발마(撥馬) 두어시니 발매(撥馬ㅣ) 열셔히 잇지라 발마 비쳬(飛遞)라 니 비쳬란 말은  시 닷단 말이라
190
쳐음은 우쳬(羽遞)라 니 깃 우(羽) 니미라 근(近來)의관왕(關王)의 일홈을 휘(諱)여  비(飛字)로 곳쳐 비쳬(飛遞)라 니 역관이 니 남방(南方)  션 일즉 의  사이 표범의 머리오 져비턱이라
191
스로 일한(漢)나라오호장군(五虎將軍)쟝비(張飛)라 고 그 션려 니 요 사이 우리 거거[가가](哥哥)의 일홈을 휘(諱)여 도혀 내 일홈을 범(犯)니 엇지 그 공번되지 아니뇨 니 이 이샹 일이라 더라
192
발마(撥馬) 니 법이  시(時刻)의 칠십니 니황셩으로붓터 문(柵門) 니히 사흘이면 득달(得達)니 이 다시 내 여 너므며 산 우  시 올으미 놀난 산즘 다 더라
193
영숑관(迎送官)은 문븟터황셩지 니히 (使行)과 치 치 믁어 (使行) 도라옥 젹의도  며호송관(護送官)은 지나 바 군현(郡縣)의  가라 며 갑군(甲軍) 삼십뉵명이  뒤흐로 좃차 른다  여닐곱 밧근 뵈 일이 업더라
194
봉셩셔븟터 일의 냥찬(糧饌)을 쥬 거시 이시니 삼신은 이 두 되식이오  감여 하인은  되식이 되니 대국  되가 우리나라셔 되된다 며 찬믈(饌物)을 졔육(猪肉)을 삼방(三房)의 각각 식 돌녀 쥬며 그나마 잡믈(雜物)은 셔히 모고 도  필의 곡초(穀草) 두 뭇식 쥰다 더라
195
봉셩셔심양지와심양셔산관(山海關)지와산관(山海關)셔븍경지  마련여 쥰다 니 이 젼븟터 바다  일이 업니 쳐음은 먹기 븟그려 아닌 일이오 그 후 젼례(前例)되여 거론(擧論) 일이 업니통관(通官)과녕관(領官)과 우리나라만샹군관(彎上軍官)과군뇌(軍牢)의 무리 셔로 바다 먹다 며녕송관(迎送官)은 은(銀)을 칠팔냥이나 쥬고 자리 사온다 니 의셔도 쥬 거시 잇거니와 참참이 고을셔 녜(例事) 쥬난 거시  잇다 더라
196
슈역(首譯) 김윤셰슈 삭을 내여 셰폐(歲幣) 실니 일노 어졔 문(柵門)셔 낙후(落後)엿더니 져녁의 밋쳐 오다
 
197
이십오일
198
평명(平明)의 발여 십여 리 니 슈십 슈 믈화(物貨) 득이 싯고 셔로 니어 마조 오니 곳져관의 무역여 오 배라  슈의 시른 거시 갑시 다 슈만금이로 우리나라 사이 녕거(領去)여 오 일이 업고 슐위 셰(貰) 파 오랑캐 내여다가 쥬기 기리지라져관이 문 니로런지 임의 오일이 남앗고 차븍(此卜)이 이졔야 비로소 예 지나가니 일이 극히 소홀나  도라갈  샹고(商賈)의 짐도  이 모양 더라
199
초하구(草河口)리 지나답동(沓洞)이라   니니 우리나라 말노 논골이라
200
흙이 심히 솔엉져 봄과 녀름은  의 져 지날 길이 어렵다 더라
201
 십오리 여분슈령(分水嶺)의 니니 령(嶺)이 별노 놉지 아니코팔도하(八渡河)근원(根源)이 이 고 븍편(北便)의셔 난다 더라
202
 고가(高家) 재유가(兪家)두 고 너며[머][년]산관(連山關)의 다니 아골관(鴉鶻關)이라 니더라
203
이날 오십오 리 니 관의 셩곽(城郭)과 돈(燉臺) 이시니 돈 봉화 드 곳이라
204
벽으로 둥글게 독 치 무어 그 우 봉화 켜게 나 셩곽과 돈 다 믄허져시며 인개(人家ㅣ) 로십 회(戶ㅣ) 되더라
205
봉셩븟터 을 잇 푸[포](鋪子ㅣ) 이시니 음식과 슐을 나봉셩외예 다 누츄더라
206
이날 길이 젼혀 산곡(山谷) 이로 니 길이 좁고 긔구(崎嶇)여 슈 갋셔 몰기 어려온지라 문으로 나가 짐슈 혹 셔 고개길희셔 만나면 피 두루칠 길이 어려워 믄득 민망코 위더니유가(兪家)고개의셔 짐 시른 슐위 두어시 부(副使) 교와 마조쳐 셔 부븨여 지나더니 이 놀나 교 치고 니 긴  브러져 동강이 나지라 부(副使ㅣ) 을 고 참의 드러가니 교 졸연히 고치기 어려온지라 먼 길의 젼진(前進)키 어려워 민망지라진가(陳哥)의 집의 슉소더니 범[밤] 즁의 범 우 소 웅장이 나니군뇌(軍牢)납팔을 부러 투기더라
207
이날 벽의의쥬(義州)샹고(商賈) 문(柵門)의 낙후엿던 쟤 밋쳐 오매셔울편지 보니 가국(家國)이 다 태평지라 엇지 경(慶事ㅣ) 아니리오
 
208
이십뉵일
209
부(副使ㅣ) 피인(彼人)을 블너 교 고치기 의논니 가족으로 고 넙은 쇠 박아 밤이 고친지라 평명(平明)의 발여 을 건너 십여 리 니 믈을 로 건너 그 슈 아지 못며 길 인개(人家ㅣ) 셔너히 이시니 가온대 [제]신(祭臣) 위 집을 베플고오봉관(五鳳舘)셰  시며 압 셕비(石碑) 세웟더라
210
 언덕의 오니 큰 내 언덕 아로 좃차 흐르지라 언덕이 심히 좁으며 어 길이 장 밋그러오니 길 가기 위더라
211
 언덕이 위이(逶迆)여 쳔곡(川谷) 이로 드러가니 이곳회령녕(會寧嶺)밋치라 두 언덕의 슈목이 고 등 너츌이 뭉킈여 우러러 하을 보지 못며 참(站)의셔 날  눈이 리더니 이에 니러 더옥 장(壯)이 오지라
212
눈곳치 남모 우희 와 산의 득여 눈이 바의니 이  긔관(奇觀)일너라
213
녕이 놉고 길이 험매 길흘 살이여 올나가게 여시니 그리 급 오기 어렵지 아니나 틈틈이 호(虎豹ㅣ) 이셔 사을 엿보 니 심히 두렵더라
214
고개의 올나 먼리 동븍(東北) 다히 라보니 셜즁(雪中)의 먼이 보지 아니나 텁텁 호산(胡山)이 은영(隱映)여 이 업지라 이 돈연(頓然)히 사오나오며효종대왕(孝宗大王)겨셔봉님대군(鳳林大君)으로심양(瀋陽)의 드러가실  우즁(雨中)의 이 고개 지나실  곡됴(曲調) 노래 지어 오샤쳥셕녕(靑石嶺)지나거냐옥화관(玉河舘)이 어 오호풍(胡風)도 참도 찰사 누즌 비 무 일고뉘라셔 내  그려내여 님 계신 보가 노라 여 계시니 곡죄(曲調ㅣ) 심히 슬프고 격졀(激切)지라 당시 샹샹니 더옥 눈믈이 옷깃 졋 쥴을 지 못너라
215
고개 진(盡)매  오륙 인개(人家ㅣ) 이시며 졀과 묘당(廟堂)이 이시니 대개 졀이 이시며 믄득 묘당이 이시며 만일 다만 묘당만이면 부쳐와관왕(關王)을 아로 위니 피인(彼人)의 존슝(尊崇)미 피 다 업 쥴 가히 알너라
216
 십칠니 여쳠슈하(甛水河)의 니니 인개(人家ㅣ) 즐비여 간혹 기와집이 이시며 큰 마을의 반시 젼방(廛房)이 이시며 젼방의 반시 별회(別號ㅣ) 이시니 다 현판(懸板)을 라시되 가히 이긔여 긔록지 못여  집문의 네   오 단목유풍(端木遺風)이라 여시니 이  매(賣買) 집이라
217
공자(孔子)뎨(弟子)공(子貢)의 셩(姓)은 단목(端木)이니 믈을 븟게 기로 일홈이 잇 고로 이러 시니 가히 욕되다 니너라
218
참의 니니  삼십니 지라 참 남녁희 믄허진 셩(城) 지위 이시니 대당(大唐)젹 진(陳)을 베펏던 곳이라
219
인개(人家ㅣ) 여호의 지나고 졀과 묘당(廟堂)이며 젼방(廛房)이 다 지나 바와 가지며 참의역승(驛丞)이 이셔 젼혀  졍(政事) 리니  의 먹 거시은(銀子)삼냥과 대미(大米) 삼셕(三石)이라
220
심양(瀋陽)병부(兵部)로븟터 졍(差定)여 두어시나 과만(瓜滿)여 교쳬 법이 업니 갈고져 면 스로 간다 더라
221
이 참의 발마(撥馬) 십오 필이 이시니  필의 로 쥬 거시 은자(銀子) 오분(五分)이 되며통원보(通遠堡) 두 분(分) 오리(五厘)라 니 대개동팔참(東八站)이라  거시심양지 문(柵門)의 니른지라 반참(半站)이 갓가오면    (料ㅣ) 감(減)인다 더라
222
이날 낭산(狼子山)의 슉소려 더니 오후의 눈이 더옥 심지라 젼진키 어려워 드담가의 집의 햐쳐 뎡니담가 갑군(甲軍)이라
223
샹황(上皇) 긔하(旗下)의 마이고 일홈은국동(國東)이니 위인(爲人)이 못 간샤여 뵈고 약간 글 아더라
224
농마두(籠馬頭)운(雲泰)한어(漢語)로 말을 능히 지라국동(國東)으로 더브러 말을 시기니우[운]져의 지 형셰 무른대국동이 니 졔 집 소솔(所率)이 열두 사이오 과 소 세흘 치지라 갑군(甲軍)의 (料ㅣ) 일삭(一朔)의 이냥(二兩) 은자(銀子)라 족히 써 냥식을 이우지 못 고로 마다  번심양의 나아가 습진(習陣)을 츠고 남은 힘으로 밧츨 가라 써먹는 거 도으니 밧로 갈이 거시 방(四方) 각(各) 일니(一里)라 두태(豆太) 각  말식 지이고 슈슈 닷 되식 지우니 샹년(上年)의 닷 셤 곡식을 거두엇다 지라 닷 셤이 우리나라 열닷 셤이 되고 로 갈이의 구실이 곡식으로 면 일승오홉(一升五合)이오 돈으로 면 쇼쳔[젼](小錢) 엿돈 오분(五分)이 되고 이외예 다른 부역(賦役)이 업다 더라
225
국동(國東)이 본 한인(漢人)으로 쳥인(淸人)이 되엿지라  무 쳥인도 갑군(甲軍)이 되고 한인도 갑군이 되거 너 한인으로 쳥인되기 므 의(意思ㅣ)뇨 네 션셰(先世)의  벼던 사이 잇냐 무니 답여 오 내 야야(爺爺)와 조공(祖公)이 다일관외랑(日官外郞)을 여시니  이역승(驛丞)과 튼 별[벼]이오 한인으로 쳥인되기 원믄 다만 발신(發身)기 져기 다 더라
226
 무 홍긔(紅旗)라 긔(白旗)라  명이  무 의(意思ㅣ)뇨국동이 오 다만 당시의 셰운 배 여 빗로 인여 써 군 슈(額數) 분변(分辨)홈이오 별노 다 이 업다 더라
227
본 쳥인을 갑군의 이면 마다 먹 거시은(銀子)삼십냥이니 긔군(旗軍)과 보군(步軍)과 가지로 긔군은 을 비(自備)여 만일 도젹이 이시면 츌졍(出征) 이오 보군은 츌젼 아니 라도 봉슈군(烽燧軍)과 파발군(擺撥軍)의 구실을 면치 못다 며 한인으로 갑군의 인 쟈  예 은 이십냥을 바드니 이  아비 한인이오 어미 호녜(胡女ㅣ)라 본 쳥인과 다르더라
228
이 참의 졀 둘이 이시나 즁은 나  이시니 졀의 다 거두어 먹 거시 이시산관(山海關)밧기 안희셔 심히 젹은 고로 즁이 만치 아니타 며 즁과 쇽한(俗漢)의 옷시 별노 다 거시 업며 머리의  거슨 모지게 여 관(冠) 모양 트며 혹 담마으락이 시며 머리 모도 가시니 일노 승쇽(僧俗)이 다르더라
229
밤의 쇠븍소 나거 쥬인려 무니 졀의 경경(更更)이 친다 더라
 
230
이십칠일
231
눈이 오히려 가이지 아니코 바람이 크게 부지라 늣게야 날 문 밧긔 나오니 길 눈 우희 업더져 누은 사이 이시니 죽은지 오란가 시브되 지나 사이 본 쳬 아니니 대져 져의 법이 날 곳 어두오면 비록 졔 지친(至親)이라도 문을 열어 드리 일이 업며 자리 업면 슐막(幕)의 브치지 아니니 길 인(行人) 남누(襤褸) 쟤라도 다 포단(蒲團)을 가졋지라 이 죽은 사은 밤의 눈을 맛고  누어 어러 죽은 거시라 친속(親屬) 잇 쟈 자 가기 기리고 그러치 아니면 관의 너허 길 려 둔다 더라
232
칠팔니  인가 보지 못고  슈리(數里) 지나쳥셕녕(靑石嶺)을 님(臨)니 님목(林木)이 총잡(叢雜)고 악셕(惡石)이 뇌락(磊落)야 빗치 다 프니 이러모로 쳥셕녕(靑石嶺)이라 더라
233
녕(嶺)의 거의 다매 인개(人家ㅣ) 둘이 이시니 슛 뭇 사이오난[관]왕(關王廟ㅣ)녕(嶺) 우 이셔 집 마로 아니여시니 놉고 바람이 모질매 기왜 것칠가 념녀민가 시브며 묘(廟) 앏 비 세워시 글 완(刓)여 가히 보지 못너라
234
녕(嶺) 놉 회령녕(會寧嶺)만 못나 뎨일 놉흔  지나매 눈이 두터이 덥혀시니 밋그럽기 심고 쳡쳡 암곡(岩谷) 이로 슈구러져 발이 웅긔며 슐위 박희 기우러져 러질  시브며 길의 니인  언덕 우 세 바회 셔시니 형상이 괴셕(怪石) 트며 우러러 보기의 쟝 구을너 릴 듯니 사으로 여금 보기의 위터라 삼리 여 비로소 뫼 밧긔 나니 젹은 들이 이시며 븍으로 기여 젹은 길이 이시니 일노 좃차뇨동(遼東)으로 가면 쳡경(捷徑)이 된다 더라
235
녕을 지나매 슈삼 인개(人家ㅣ) 이시며 못 슈리 여  다엿 인개(人家ㅣ) 잇지라 두어 오랑캐 총을 메고 지나가니 산영 오랑캔가 시부며 총 모양이 우리나라 총의셔 고 치  심히 경편(輕便)며 피인(彼人)의 즘 잡 법이 만이 총을 놋 일이 업고 믄져 드여  새  듯 즘을 노하 잡으니 실슈 일이 업고  총의 여라믄 쳘환(鐵丸)을 약 고로 쳘환(鐵丸)의 마 즘이 믄득 세 쳘환을 맛다 더라
236
큰 녕을 지나 오 리 여 쇼셩녕(小石嶺)이 이시니 길이 셔리여 새 을(乙字)도 트며 갈 지(之字)도 튼지라 예 지나매 인개(人家ㅣ) 곳곳이 혹 십여 호 슈십여 호식 다 산곡(山谷)을 의지여 이시며 밋낭산(狼子山)의 니니 인개(人家ㅣ) 더옥 조밀(稠密)고 길 올흔 편 언덕 우희 소남기 울연(蔚然)이 슈플을 일워시니 이 도강(渡江) 후 쳐음 보 배라 통관(通官) 녕송관(迎送官)이 년(連)야 라 온다  길셔 보지 못니 대개 참의셔 나종 나며 나롱[종] 드러와 일 인명슈(人名數) 졈검기의 그러타 며 오날 두 오랑캐 을 여 압흐로 지나가니 이통관(通官)의 하인이 햐쳐(下處) 졍며 믄져 간다 더라
237
이날 풍셜(風雪)이 죵일 긋치지 아니고 치위 심지라 을 촉하여 참의 니러오가(吳哥)집의 햐쳐니 이곳 인개(人家ㅣ) 여 호의 지나고  젼방(廛房)이 이시며 슐막집과 져 집의 다 문의 블근 조희로 글귀  븟쳐시니 오  근본의 일만 니(理)라 며 믈(財物) 근원(根源)이 무셩(茂盛)타 여시며 머리 들매 깃븐 일을 본다 며 날을 긔약(期約)야 놉히 승(昇差)다 여시니  오 금으로 근 집은 인간의 두 아람다옹[온] 인연을 젼고 은하슈 텬샹의 별을 지다 고 크게 날 가온 져 열며 너비 텬하의 믈을 브른다 여시며 바람벽 우희 혹 쇼셜(小說)의 음담패셜을 그림으로 번역고  남녀의 희학(戱謔) 모양을 그려 븟쳐시니븍경지 가 길의 이러치 아닌 업니 져 사이 셩인군(聖人君子ㅣ) 아니면 뉘 믈 됴하 아니며 (色)을 됴하 아닌 어 이시리오마 특별이 사이 념치와 븟그려  이 잇 고로 비록 극하쳔(極下賤)이라도 방(放恣)히 입 밧긔 내 일이 업거 나라 풍쇽은 니(理)와 샹반여 글과 그림의 형용여  이 눈의 보 거 삼으니 풍쇽의 더러오미 이 더라
238
어졔 오날 큰 녕(嶺)을 년(連)여 넘기의 호마(胡馬) 둘식 셰(稅) 내여 좌차(坐車) 메우니  오랑캐 압셔 모지라 놉흔 듸 당면 십여 보식 년여 을 머므럿다가 다른 것 먹이 것 업고 내 만나거나 슐막 앏흘 당면 슈 먹여 지나며 별노  치 일이 업고 므 소 지면 이 응여 밧비 나아가고 슐위 메울 젹이나 브리울 젹의 사이 시기 로 귀 죵굿겨려 듯  하니 이샹더라
239
참의 드러 밤든 후의녕송관(迎送官)이 갑군을 보내여 샹방(上房) 하쳐(下處)의 사 슈 젹어 갈 눈 우 여러 신소 우 소 트여 잠을 놀내며 날마다 날 예 만일 지쳬여 낙후 쟤이시면 가기 최촉(催促)기의 병든 사이 이셔도 임의로 믁을 길이 업고 쇄마구인(刷馬驅人) 즁의 혹 슐을 먹고 쥬졍 일이 이신 즉통관녕송관이 참참이 분부여됴션(朝鮮)사의 슐을 파지 못게 면 슐막마다 감히 어그지 못여 갑 후히 쥬어도  잔을 파지 아니니 이  법녕 잇 쥴을 가히 알너라
240
쥬인오개(吳哥ㅣ)여러 번 기웃거려 무 말 고져 거 블너 드려 두어 말을 뭇고 네 집이 므 이 잇뇨 니 즉시협긔변방셔(俠氣邊方書)와삼국지두어 질 을 갓가[다][가] 보라 더라
241
 슐을 갓다가 겻 캉의 쥬인을 전거 갑 쥬니 아니 밧지라 쳥심환(淸心丸)을 쥬엇다 더라
 
242
이십팔일
243
날이 도드며 발여마텬녕(摩天嶺)을 지나니 굽고개라 니지라 놉희 져근 언덕의 지나지 못더라
244
 두관참(頭關站)을 지나 큰 믈을 다 번을 건너니 이 니론삼유하(三流河)오 탕하(蕩河)라 니 동븍으로 흘너태하(太子河)로 드러간다 더라
245
길의 왕왕 인개(人家ㅣ) 이시나 다엿 집이 지나지 못며 먼니 라보매 남편으로 산 밋 대촌이 이셔  일 로 년엿더라
246
 왕샹녕(王祥嶺)을 지나매 셰샹이 니 효(孝子)왕샹(王祥)의 사던 배라 고  녕(嶺) 아 믈이 이시니 이왕샹(王祥)의 고기 낙던 곳이라 니 더옥 망녕된 말이라
247
대명(大明)시졀의  셩명 튼 (者ㅣ) 여긔 이시므로 일홈 배라  오리 여셕문녕(石門嶺)의 니니 프 돌이 셔로 여 문 여 녕을 지나매 흙뫼 네 녁흐로 둘니여 슈목이 업며졈[졍](冷井站)의 니러 부(副使)로 더브러  캉의 안자 졈심고 예 지나매 큰 들이 쟝 열니인지라 산이 졈졈 자 사으로 여금 지 못너라
248
홀연 산이 진(盡)고 대얘(大野ㅣ) 망망니 하이  밧긔 둘니여  모지라 다만 플과 남기 안개 트며 낭이 트니 일노븟터뇨동(遼東)팔니라 일 인매(人馬ㅣ)  브드친 개암이 트니 진실노 장관이라
249
고령[려]총(高麗叢)의 니니 촌낙(村落)이 영셩(零星)고 남녜(男女ㅣ) 모히여 구경니 이리로  사의 던 곳인가 시브나 셔히 모며아미장(阿彌庄)의 니러 남으로 라보매 흰 탑이 구 이의 소지라 날 빗치 빗기고 져녁 안개 져기 둘너시니뇽[뇨]동(遼東)울지탑(蔚遲塔)이라
250
여긔셔 삼십니 되며 그 아영안(永安寺ㅣ)이시니 일홈난 졀이라 더라
251
 오리 여목창(木倉)이란 디명이 이시니 인개(人家ㅣ) 심히 번셩고 집 졔되(制度ㅣ) 못 졍졔고 아드리 큰 나무 새로 다드마 마을 앏 서너 곳 하시니 그 (數ㅣ) 가히 쳔만으로 혤지라역관이 니 이 다 피인(彼人)이 우리나라폐군(廢四郡)의 만이 드러가 남글 베혀  무엇다가 믈 만키 기려 슌류(順流)여 이리로 온다 며 오다가 만일 우리나라 사의게 잡히이면의쥬(義州)셕공(屬公)다 더라
252
 야 태하(太子河) 건너니  믈을 세 번 건너되 두 곳은 다리가 잇고 연(衍水ㅣ)라 니연(燕)태(太子)단(丹)이 피여 슈멋던 곳이니라
253
황혼의영슈의 니니 이날 칠십니 여오가(吳哥)사의 집의 햐쳐니 집이 심히 챡박(窄薄)고 누츄나 버려 노흔 긔명(器皿)은 다 졍졔(整齊)고  빗나며 고으니 졔되(制度ㅣ) 아국(我國) 상사긔(常沙器) 튼지라 인개(人家ㅣ) 슈호 되고관제묘(關帝廟)와 졀이 나 둘  아닐너라
254
쳔산(天山)이 이리로브터 셔흐로 칠십니 되니 혀나 하 핫지라 본좌명산(左明山)이라
255
뫼 우 연(煙臺) 베퍼 일이 이시면븍경으로브터 셔로 응여 봉화 드러봉셩(鳳城)지 니니 이곳의셔 라 뵌다  져믄 안개 희미여 분명치 아니 더라
256
븍으로신뇨동셩(新遼東城)이 슈삼 니(里) 밧긔 뵈니 이 노라치 동으로 치려여 셩을 흔 배라 참의 니 후역관 사이통관(通官)을 보고 도라와 니 우리나라 강계(江界) 셩 두 놈이 피디(彼地)의 마니 너머가 인삼을 다가 피인(彼人)의게 잡히여 지져괴여 지며 으려 갈 두 놈이 쳐음은 슌히 븟들녀다가 홀연이 븟든 놈을 다리 메여 타기쳐 것구리쳐  시 라나니 피인(彼人)이 다가 밋지 못여 감히 은닉(隱匿)지 못여봉셩의 보(報)니봉셩셔 심양의 보거 회로(賄賂) 밧고 짐즛 놋타 야 야흐로 가도왓다 고통관이 오 너희 사이 간샤고 모질기 이러니 가히 무셥다 거역관이 답여 오 우리나라 사이 본 브드럽고 챡지라 반시 이러 일이 업리라 니통관이 가가대소(呵呵大笑)여 오 내 밋지 아닛노라 이 네 거말이라 더라 고 젼더라
 
257
이십구일
258
평명(平明)의 발여 십여 리 니졉관텽(接官廳)이라  디명(地名)이 이시니 우리나가 말노 면 관원(官員)을 졉 말이니 우리나라교구졍(交龜亭)튼 곳인가 시브더라
259
돈(墩臺) 이시니 놉희 열곱 길이오 우히 져근 집으로 셰오고 단쳥을 여시며 담을 둘너시 밧글 엿보 궁글 만히 내엿더라
260
뇨동(遼東)들의 니로모로브터 눈을 들매 궁진(窮盡) 곳이 업고 챵망(蒼茫) 가온 인개(人家ㅣ)  브드쳐 셔로 년(連)여시며 큰 길 좌우의 버들을 심거 히지 아니여시며 혹 남기 늙어 부러진 곳이 이시면 새로 심거 기워시니 이 강희(康熙) 시졀의 심기여 길을 표여 문으로브터황셩지 히지 아닌지라 봄의 닙히 픠면 이  경치될너라
261
길 밧 이루지 아닌 곳이 업며 지난 바의 녀념(閭閻) 남녀노쇼들이 [] 지어 모히여 보니  집 앏 인귀(人口ㅣ) 젹어야 여라믄의 리지 아니니 인믈이 번셩고 농(農事ㅣ) 부즈런 쥴 가히 알너라
262
 방어소(防禦所)란 곳의 니니 셰 셕비(石碑) 길 셧지라 나흔  오졀(節)이 숑쥭(松竹)과 다고 나흔  오쳔셰(千歲)의 석지 아니리라여시니 부인의 졍을 졍표(旌表)야 우리 졍문(旌門)과 트미러라 난이보(爛泥堡)의 밋니 인개(人家ㅣ) 번녈(繁列)고 젼방(廛房)이 이시니 졀과 묘당(廟堂)이 을 가온대 잇 쟤 지난 바의셔 규모(規模) 졔양(制楊)이  놉흐며 크더라
263
소가(蘇哥)의 집의 됴반고 십오리 여  큰 다리 지나니 비(碑)예  오 만보교(萬寶橋)라 엿더라
264
다리 지나매 큰 슐위 슈십의 곰과 슴과 산졔(山猪ㅣ)와 노로 톳기 시러시며 삿자리의  무어 동혀 득이 시럿고 우희 누른 긔(旗) 자 황샹(皇上)이 시 거시라 고  슐위의  사이 좃차 동으로 향여 가지라 무니심양으로셔 슈운(輸運)여구뇨동(舊遼東)으로 간다 더라
265
십니보(十里堡)의 니러어가(魚哥)의 집의 슉소니 캉 우희 감실을 베플고 네 위판(位板)을 안쳐시니 가온대  오 어문(魚門) 삼(三代) 종친(宗親) 신위(神位)라 여시며 좌우의 두 위판(位板)은  거시 업시니 가히 우읍더라
266
길 혹 지나가 쟤 허리의 흰 무명  두고 흰 담마으락이 시니 무른즉 곳 거샹(居喪)을 닙은 쟤라 나 거믄 의복이 평인(平人)과 다이 업며 일이 지나면 이도 벗다 니 연(駭然)더라
 
267
삼십일
268
미명의 발여하보(沙河堡)의 니니 믈 너븨 너며 리 노하 사을 건너게 엿더라
269
탑보(白塔堡)의 니러 삼신(三司臣)이  가지로 햐쳐여 됴반 탑(白塔)이 길 우편 녀념(閭閻) 뒤 이시니  벽으로 하 닐곱 층이며 여 모히오 층마다 나모 연목(椽木)을 거러 집 지은 모양 치 고 면으로 문을 내여시며 가온대 궁글데 야 밋셔 우러러 보매 막히인 곳이 업니 놉희 십여쟝이 될너라
270
쥬인의 집이 못 졍졔(整齊)고 즙믈(什物)과 긔명(器皿)이 장 빗나며 캉 우 들보의 아희 담 그슬 라시니 그 졔되(制度ㅣ) 체박회 트되 길게 여 밧긔 블근 칠고 과 구름을 그려시며 목판으로 바닥을 글고 가족 노흐로 허리 여 거러시니 아희 나면 이 그 담아 울면 리워 졋을 먹이고 혹 흔득여 달다 더라
271
쥬인이 앏 나아와 친근 의(意思) 뵈며 계집들은 겻 캉의 모히여 문을 라시나 다토와 엿보와 눈으로 로치며 셔로 지져긔니 잇다감 엿보다가 셔로 밀니여 밧그로 나오면 우스며 도혀 슘지라 캉 앏 오륙셰 아희 쥬인을 라 셧거 샹방(上房)의비쟝(裨將) 사이 무 쥬인의게 엇딘 아희뇨 니 쥬인이 졔 아이로라 거 아려 무 네 야얘(爺爺ㅣ) 더 랑냐 네 마매(媽媽ㅣ) 더 랑냐 니 여여[야야] 아비 니미오 마마 어미 니론 말이라
272
아 우며 쥬인이  웃지라 담 지 가져다가 담 혀 쥬며 너의 마마 갓다가 쥬라 니 아희 장 랑 빗치 이셔 바다 가지고 겻 캉문으로 드러 가더니 나와 더 달나 거  쥬어 보내니 쥬인이 우며 해롭지 아녀 더라
273
쥬인이 신 쳥심환(淸心丸)을 어더지라  의(意思ㅣ) 잇거 각각  환을 쥬니 곳 붓을 드러 치샤(致謝)노라  뵈더라
274
 큰 리 지나니 아 삼간(三間) 슈문(水門)을 글고 우 좌우로 셕난(石欄)을 둘너시며 셩부(城府)와 아문(衙門)이 업 곳이로 이러니 쇼국(小國)의 규모로 비기지 못너라
275
혼하(渾河)란 믈 니러 어름으로 건너니 야리강(耶里江)이라 니더라
276
믈이쟝산(長白山)으로 려와 셔남으로태(太子河)와 합슈(合水)야뇨하(遼河)로 드러 간다 더라
277
효뫼[](孝廟ㅣ)심양와 계실 예 이 믈 집을 지으시고 머지 아닌 곳의 밧 슈십일(數十日) 경(耕)을셰(世子) 드려 소 심거 관즁(館中)의 게 다 뎐 말이 잇더라
278
이 믈을 지나며 길 거매(車馬ㅣ) 히지 아녀시며 슐위 슈슛대 시러심양으로 가 쟤 만흐니 이 남그로 파 거시라 더라
279
먼니 라보니 셩텹(城堞)이 웅위(雄偉)며  누각이 슈목 이로 은영(隱映)여시며 셔편으로  탑이 이시니 우히 고 둥글며 아 넑고 모지며 다만 두 층이로 놉희 칠팔 장(丈)이나 되고 회로 나 희기 분 트니 그 아 하 졔 지 곳이라 며 겻  묘당(廟堂)이 이시니 븕은 쟝원(墻垣)을 두고 그 뒤 슈삼십보 가셔  아문(衙門)이 이시니 거믄 쇼와 양과 돗치 그 가온대 가득여시니 이 하 졔  젹의  희(犧牲)이라 더라
280
일이 셩밧 큰 졀의 모히여 삼신이 캉 우희 잠간 안니 즁이 차 나오거 각각 쳥심환(淸心丸)을 쥬니라
281
심양은 녯 황도(皇都)라 여 일산(日傘)을 지우고 권마셩(勸馬聲)을 그치니 이 존경하믈 뵈미라 가마 려 을 고 례로 셩문의 드러갈 문의 삼층 누 지어시며  응[옹]셩(甕城)이 잇고 셩을 러 문을 내여시며 셩 쥬회 오리(五里) 남즉  방이 방졍(方正)여 입 구(口) 트며 셩의 인개(人家ㅣ) 일만 오륙쳔이 된다 며 셩 길흔 다 시졍(市井)이라
282
각각 젼(廛) 앏 오륙 쟝 븕은 긔 셰우고  믈화(物貨) 일홈을 긔록여시며  현판을 라 각젼(各廛) 별호(別號) 표여시니 금(金帛)이 찬난고 믈홰(物貨ㅣ) 복쥬(輻輳)니 황홀(恍惚) 영농(玲瓏)여 눈이 크게 이며 입이 닷치여 망연히 스로 일 지 못너라
283
길 구경 쟤 길이 메이여 쟝 오리의 벗첫지라
284
셩(城)의 들 졔 비쟝(裨將)과 역관(譯官)이  동셔 화 두 쥴노 셔시니 비쟝은 벙거지의 군복이오 역관은 다 갓과 텬익(天翼)이라 보 쟤 텬익(天翼) 닙은 이 문직(文職)이라 니 문관(文官)이라 니른 말이오 군복 닙은 이 문[무]직(武職)이라 니 무관(武官)이라 닐은 말이오 무관을  샤라 일니 샤 (字ㅣ) 셰 가지 이 이시니 아국(我國) 의(意思ㅣ)오 하(蝦) (字ㅣ) 한어(漢語)로 샤라 니 이 (字)로 니면 두 나시 압 이시니 젼(前陪)비쟝(裨將) 이 오나롯 모양이란 말이 오놀날 (駭) (字)  샤라 니 이 로 니면 황뎨 앏 시위(侍衛) 무관을 샤라 니 위의(威儀) 가히 무셔오믈 니미오 아 하(下) (字) 샤라 니 이 로 닐으면 무관의 반녈(班列)이 아 잇단 말이라
285
세 (字)의 어 (字ㅣ) 올흔 쥴은 셰히 모나 놀날 (駭) (字) 의(意思ㅣ) 올흔 듯더라
286
셩의 드러 슈보 여 븍으로  골노 드러가 햐쳐 졍니 쥬인의 셩(姓)은쟝개(張哥ㅣ)라호부(戶部)셔반(西班)을 닌다 니 우리나라 셔리(胥吏)튼 구실 일너라
287
심양(瀋陽)은 녯 읍누국(邑婁國)이라 당(唐) 젹의 심(深州ㅣ)라 일고 오(吳) 젹의 흥요군(興遼郡)이라 일고 대명(大明) 홍무(洪武)의 비로소 위(衛) 두엇더니 텬계(天啓) 년간의 한(汗)이뇨동(遼東)으로셔 나아와 이 의 웅거야심양을 곳쳐봉텬부(奉天府)라 고 셩경(盛京)이라 니 뉵부(六部) 초와 두어시나니부(吏部) 관원이 업고 오부(五部)의시랑(侍郞)나와낭즁(郎中)둘을 각각 두고  쟝군(將軍)을 두어 군 지 게 니시임쟝군(時臨將軍)은 곳황뎨의 근족(近族)이오 일홈은임영이라 며봉텬부윤(奉天府尹)과승덕지현(承德知縣)을 두엇시며 궁궐묘(宮闕廟社)의 쟝녀(壯麗)홈과 녀염시(閭閻市肆)의 번셩미연경의 버금이라 햐쳐(下處) 골의 나매 븍으로 여보 가니 길의 큰 문 다시 년여 이시니 문 앏 다 담을 싸하 길흘 리오고 담의 그림을 부쳐시니 이 오부 아문(五部衙門)이오 남편의  아문이 이시니 앏 거믄 문(柵門)을 좌우로 베플고 문의 직희 군(軍士ㅣ) 만흐니 이 쟝군 아문(將軍衙門)이라  슈여 보 여 길 가온대 세 층 집이 이시 졔되(制度ㅣ) 표문(表門)고 장 웃층의 큰 쇠븍을 다라시며 문 밋 무지게문 네흘 내여 사이 왕(往來)게 여시니 이 니론십각(十字閣)이라심양(瀋陽)셩문이 동셔남븍의 각각 두 문이 이시니 합여 여 문이라 통 길이 우믈 졍(井) (字) 치 이시니 남븍 두 길과 샹동문(上東門)과 샹셔문(上西門) 길 어으름의 다십각이 이시니 이곳은 우리나라 죵누 튼지라 슐위와 이 길 힌 며 안즌 쟝와 니 쟝 날이 도록 분 답(沓)니 안즌 쟝 믈화 다 쳠하의 닷케 싸하시며  쳠하의  믈화 모양을 그러 라시니 은푸(銀鋪子)의 남그로 은(銀)을 라시며 바늘 푸의 남그로 바늘을 그러 거럿고 보션과 신을 그려시며 담대와 열구(悅口子) 그슬 그려시며  계집과 아희 그려 문의 븟쳐시니 이 의원의 졔 각각 아 바 표미오 사의 눈 나흘  그려시니 이 안질의 약을  푸(鋪子)가 시부되 보기의 심히 괴이며 니 쟝와 기름 쟤 쇠 울니며 엿  쟈 나모 됫박 치 그러치며 머리  쟈 쇠칼을 울니니 이 튼 형샹을 가히 이긔여 긔록지 못며  의복을 매(賣買) 쟤  의복을 모하 노코  사이 왼손으로 옷깃 들며 올흔 손으로 옷허리 잡고 크게 소여 오 이 옷시 비단은 아모 디방(地方)의셔 나고 기 몃 자오 지은{지은} 공젼(工錢)은 몃 돈이니 갑시은(銀子)몃 냥이 되리라 면 겻  사이  크게 소 야 오 네 말이 올타 람즉 고 사감즉 다 며 옷 븟든 쟤 그 옷 노코  다른 옷 잡아 앗가 치 웨여 외편의 핫다가 올흔 편의 핫다가 긋츨 젹이 업시 날이 도록 이리 니 혹 지 못여 임의 [헤]여진다 니 심히 우음즉 며  푸(鋪子)의 맛당 당(當) (字) 금으로 긧대의 시니 이 젼당 잡 푸라 그 젼당 잡히이며  잡 법이 두 로 긔약(期約)여 니라도 긔약의 어긔면 무르 일이 업다 더라
288
큰 길노 오부(五部) 지나 셔(西)으로  골이 이시니 이곳 대궐(大闕) 잇 곳이라 대궐 졔되(制度ㅣ) 별노 크지 아니고 궐문은 삼문이로 평(平) 집 모양이오 븕은 칠을 여시며 프 기와로 니엇고 문 밧 십여 보 야 홍마목(紅馬木)을 베플고 녑흐로 비 세워  오 친왕(親王)이라 대쇼인원(大小人員)이 다 을 리라 여시며 겻쳥(淸)글로 번역여시니 져의 언문(諺文)이라 일더라
289
삼문을 닷고 밧긔 직희 군(軍士ㅣ) 이셔 사을 금지라 밧그로 놉흔  올나 라보매 표묘(縹緲) 누각이 즁즁(重重)여 일오 혤 길이 업며 규뫼(規模ㅣ) 다 일로 지엇고 월낭(月廊)을 보지 못며 궐문(闕門) 겻 두 층(層) 팔면각(八面閣)  곳이 이시니 쳥황(靑皇) 냥(兩色) 기와 니이고 당즁(當中)여 큰 쇠븍을 라시며 이 집 앏히 이 너고 다 벽돌을 라시며 좌우(左右)의 면각(四面閣) 나식 잇고 녑흐로  여라믄 간(間) 집이 이시니 일 드니 팔면각(八面閣)은 곳한(漢)이 졔쟝(諸將)으로 더브러 일을 의논던 곳이라 만일 군무(軍務事ㅣ) 이신  당즁(當中)의  쇠복[븍]을 치면 셩문(城門) 여의셔 다 븍을 쳐 응니 졔쟝이 듯고 궐하(闕下)의 모히게 더니 이졔 보매 그 형셰(形勢) 샹샹던 것과 방블(彷彿)더라
290
이 골을 지나 로 남으로 향여 남문(南門)의 거의 다니 동편(東便)으로  골이 이시니 골 어귀 셕벽(石壁) 우 삭여 오 고려관(高麗舘)이라 여시니 이리 좃 잠간 드러가 관(舘)이 이시니 가온대 일각(一字閣)을 셰우고 일각(一字閣) 동편(東便)의    각(閣)을 지어시니 다 다 간(間)식이라 이졔 다 퇴락(頹落)기로 소견(所見)이 심히 황냥(荒凉)더라
291
관 밧긔 돌노  우믈이 이시며 관 뒤흐로 슈십 보의 큰 집이 이시니 일홈은경우궁(景祐宮)이라 졔양(制樣)이 굉걸(宏傑)고  어졔비(御製碑) 세워시니 곳슌치(順治) 칠년의 세운 배라 방믈(方物)을 이곳의 더러 두 법이니샹목(生上木)삼 필과대호지(大好紙)이이십 권과다홍 면쥬(綿紬)일 필과쇼호지(小好紙)이쳔 권과졈미(粘米)삼셕(三石) 오두(五斗) 뉵승(六升)이라호부(戶部)관원이 아문(衙門)의 안자 밧 지라샹통(上通事)윤갑죵(尹甲鐘)은 간검(看儉)기로 마두(馬頭)로 더브러 낙후(落後)여 머므니라
292
셰폐셩졀(歲幣聖節) 방믈(方物)을 예셔브터 심양(瀋陽)슐위로 운젼여황셩(皇城)지 니며 오픔(五品) 관원(官員)  사이 녕거(領去)다 더라
293
이날 뉵십 니(里) 니라
294
쥬인의 위인(爲人)이  슌실(淳實)고 가셰(家勢)  요죡(饒足)여 뵈거 무 셔반(西班)이 일삭(一朔) 소식(所食)이 언마나 뇨 니 마다은(銀子)뉵냥과 미(白米) 일뒤(一白斗라ㅣ) 니 은  두(斗)로  셤을 그니 힘이 이셔야 능히 드다 더라
295
밤이 드도록 문 밧긔 쟝 외 쇼 나지라 무니 이곳연오병(燕子午餠) 쟝라 거 사 오라 여 보니 쇼쳔(小錢) 두 푼(分)의 일곱을 쥬지라 극히 흰 로로 새알만치 글고 쇽의 탕 너허 더운 믈의 여 먹은 며 쥬인 졉 이 프로며 븕은 빗치 잇고 혹 궁글며 기롬여 형샹(形象)은 지 아니나 다 밀가의 탕과 슈박 너허 그러시며 연(連)여 입의 들면 졀노 녹 니 기롬의 워 지진 것 트나 셰히 아지 못너라
296
이곳의 쥬뤼[](酒類ㅣ) 심히 만흐니쳥쥬(淸酒)탁쥬(濁酒) 업며황쥬(荒酒)라  거 마시 괴이고국공쥬(司局空酒)포도쥬(葡萄酒)오가피쥬(五加皮株)셔너 가지 극히 됴흔 슐이라 더라
 
297
무오(戊午) 십이월 초일일
298
평명(平明)의 발(發行)여 동서(東西)십각(十字閣)으로 말암아 셔문(西門)을 나니 놉기 남문(南門)과 트며 밧긔  니문쳐로 지어시니 그 안 묘당(廟堂)이 잇지라 두 쥿대의 긔(旗) 라시니 나흔 써 오 쥭을 먹여 시쥬(施主) 다 여시며 나흔 써 오 만슈무강(萬壽無疆)이라 여시니 이날이 곳 삭일(朔日)이라 긔(旗) 라 부쳐 졔공(提供)다 더라
299
셩 밧긔 나오니 길 혀 길이 진(盡) 듯고 고루각(高樓彩閣)이 왕왕이 슈목(樹木) 이의 표묘(縹緲)히 뵈니 금(金) 칠 쳠하와 븕은 긔동이 빗나 며 길 녑흐로 놉흔 누관(樓舘)이 이시니 밧긔 아로 삭인 담을 둘너시며 문(牌門)을 세워시니 이한(漢)의 원당(願堂)이라 이젼은 (使行)이 로 드러가 구경더니 근(近來)의 심히 금(禁) 고로 보지 못다 며 길 올흔 편 머지 아닌 곳의 평지(平地)의 놉흔 언덕이 삼기고 누론 기와로 니은 집이 은영(隱映)니 이쳥태조(淸太祖)태종(太宗)두 황뎨(皇帝) 늠[능]침(陵寢)이라 셕양(石羊) 셕마(石馬) 셕(石獅子) 댱명등(長明燈)이 의의(依依)히 가히 분변(分辨)너라
300
평디(平地)의 뇽(行龍)야 긔셰(氣勢) 심히 웅장(雄壯)니 픔[풍](風水ㅣ) 됴타 니너라
301
난니보(爛泥堡) 지날 의신뇨동셩(新遼東城)이 먼니 뵈니 흥경(興京)이라 니지라 이곳한(漢)이 쳐음 웅거(雄據)던 곳이라한(漢)의 조(四祖)의 분묘(墳墓)이시니됴조(肇祖)와흥조(興祖)와경조(景祖)와현조(懸祖)능(陵)이라 니한(漢)이 황뎨라 참 후의 네 (代) 츄층[증](追贈)여 이리 일라시며 셩을 고총관관(總管官)이라  벼 두어 직희게 여시니 이곳대명(大明)의 건쥬위(建州衛) 베픈 곳이라심양(瀋陽)셔 여 리 되고  이곳의 냥(兩代) 분묘(墳墓) 잇 고로건륭(乾隆) 뉵십년(六十年)의 믈읫 네 번심양거동(擧動)야 능소(陵所)의 젼(展拜)니 이러모로 궁궐(宮闕)을 여러 번 즁슈(重修)여 빗난 단쳥 새로 지은 것 다 더라
302
한의 원당(願堂)으로븟터 오리(五里) 매 길 우희 언덕의 탑이 이시니 놉기탑보(白塔堡)탑과 방블고  벽으로 하시니 디명(地名)은탑원(塔願)이라 더라
303
 십여 리 여 장원교(壯元橋)와 영안교(永安橋) 지나니 좌우로 셕난(石欄)을 베플고 네 가의 셕[](石獅子) 녀시니 졔되(制度ㅣ) 심히 공교(工巧)더라
304
대방신(大方身)이라  곳의 즁화(中火)고 마도교(磨刀橋)의 니니 기 삼뵈(三四百步ㅣ) 넘은지라 지난 바의셔 장 크더라
305
고가(孤家子)의 니니도가(哥)의 집의셔 슉소(宿所)니 이날 팔십 니 니라
306
지나 바의 구경 계집이 눈이 흰의 만코 동(瞳子ㅣ) 흙 븨흰 쟤 만흐니 심히 고이고 발을 동인 쟤 간간(間間)이 이시니 이 당녜(唐女ㅣ)라역관(譯官)이 니 근(近來)한(漢)인과 만(滿)인이 셔로 혼인(婚姻)을 기의 발 동인 계집이 이젼의셔 심히 젹으니 풍쇽(風俗)의 변미 이럿타 더라
307
지나 곳의 사이 만히 모히여 먼 골을 여러 번 라보아 사을 기리 모양이 잇거 무니심양(瀋陽)녜부시랑(禮部侍郞)이 됴졍(朝廷) 례(賀禮)의 참예(參預)기 위여황셩(皇城)의 나아가 고로 참참이 젼령(前陪待令)다 니 젼(前陪) 동개 고 두리 압셔 가니 이 우리나라 법과 더라
308
회령녕(會寧嶺)을 지나모로븟터 즁(行中)역곽[관](譯官)과 쇄마구인(刷馬驅人)이 임의 병든 쟤 만터니 슈일(數日) 후 더옥 심지라 극히 민망더라
 
309
초이일
310
미명(未明)의 발(發行)여거류하(巨流河)의 니니 쥬류하(周流河)라 일지라 믈이태하(太子河)와혼하(渾河)로 합뉴(合流)니 세 믈이 모히여 바다흐로 드러가 고로 삼차하(三叉河)라 더라
311
믈이 너고 깁흐니 어름이 플니면 로 건넌다 더라
312
믈을 지나 일니(一里) 여 셩이 이시니 놉희봉셩(鳳城)의 밋지 못나 쥬회(周會) 트며 남문(南門)이 믈을 향여 잇고 쵸뤼(譙樓ㅣ) 왕왕히 밧그로 뵈이여 븕고 긴 긔(旗) 셩 우희 시니 므삼 의(意思) 쥴을 모너라
313
슈십니(數十里) 여신민둔(新民屯)의 니니 인가(人家)와 시(市肆) 슈십니의 니어 번열(繁列)여 가히심양(瀋陽)의 비길지라소황긔보(小黃旗堡)장가(張哥)의 집의셔 즁화(中火)니 쥬인이 앏 니러 섯거 나흘 무니 여든 너히라 며 손(子孫)이 언마나 뇨 무니 다 아과 다 손 잇노라 고 쳥심환(淸心丸)을 달나 거  환(丸)을 쥬니라 대져 참(站)의셔 약간 슈작(酬酌)이 이시면 믄득 환약(丸藥)을 구니 심히 괴롭더라
314
예 지나 동븍(東北)을 먼니 라보니 산기이 위이굴곡(逶迤屈曲)여 은은히 바다희 파되(波濤ㅣ) 흉용(洶湧) 모양 트니 이의무려산(醫巫閭山)지(之脈)이라 예셔븟터 여 리 벗쳐시니 븍방(北方) 진산(鎭山)이라 형셰(形勢) 웅장(雄壯)고 봉만(峰巒)이 슈려(秀麗)야 히락 이이락 여산관(山海關)을 지나도록 오히려 궁진(窮盡)치 아니더라
315
긔보(白旗堡)장가(張哥)의 집의 슉소(宿所)니 이날 팔십오리 니라
316
이날 일긔(日氣) 극한(極寒)이오 대풍(大風)이 죵일(終日) 긋치지 아니니 챠  사의 예 얼골이 얼븕고 나 어름이 엉긔여 보기의 놀랍더라
317
참(站)의 들 예 슐위 슴[스무]남으니 무리지어 마조 오고  슐위의 제[네]다식 시러 오니 이 년년(年年)이븍경(北京)셔 심양(瀋陽)을 보내여 심양(瀋陽) 여러 관원(官員)의 일년 녹봉(祿俸)을 쥬고 은 거영고탑(寧古塔)으로 간다 니령고탑(寧古塔)은 아국(我國) 븍도(北道) 졉계(接界) 고지니 오랑캐 쳐음 근본(根本) 니러난 곳이라 소금을 뫼흘 무엇고 보화(寶貨) 년년(年年)븍경(北京)셔 드려다가 코 쟝군(將軍) 벼을 두어 직희여시니 황뎨(皇帝) 지친(之親)이 아니면 이 벼을 못고 드러가 길이 슈렁이 십니(四十里)가 되니 파[판](板子) 라 통다 니 대개 즁원(中原)의 진텬(眞天子ㅣ) 나면 도로 드러가 굴혈(窟穴)을 삼으려  의(意思ㅣ)라 더라
318
 궤(櫃)의은(銀子)오쳔냥식 드럿다 니 궤 슈(櫃數) 이오십이오은(銀子)슈(數) 일이십오만냥이니 뒤 밋쳐 오지 못 슐위  스므남으니라
319
합여 오십 슐위 다 니즁국 믈(財物) 만흔 쥴을 알너라
320
쥬인의 집의 우마(牛馬)와 나귀 여러 필(匹)이오 슐위 두어 짐을 시로며 낫참과 슉참(宿站)의 드 집의 슐위와 우매(牛馬ㅣ) 업  업니 셩의 부요(富饒)홈을  알너라
321
즁(行中)의 병든 사이 낙후(落後)여 약간 됴리(調理) 면 됴흘 나 혼자 려 두기 어렵고 호숑관(護送官)녕숑관(迎送官)이 러지지 못게 니 병이 즁(重)치 아녀도 살기 어려오며 즁(行中) 믈건을 혹 유루(遺漏)여 다가 못여호숑관(護送官)려 자 달나 면 일흔 참(站)의 가 궁극(窮極)히 자 못 엇 일이 업고 뉘 집의셔 일헛노라 면 쥬인이 믈어준다 나 오날 마두(馬頭)의 련과 안치 일코 즈려 되 어셔 일흔 쥴을 몰나 못다 더라
 
322
초삼일
323
긔보(白旗堡)의셔일판문(一板門)이라  곳이 삼십니(三十里)라 그 동안의 을이 드믈고 빗치 미망(微茫)여 라보매 다만의무려산(醫巫閭山)일(一脈)이 놉흐락 즈락 여 셔븍(西北) 이로 구을너 벗쳐시니 쳡쳡(疊疊) 뫼부리와 즁즁(重重) 바회 왕왕 쳐져 언덕이 되여사[시]니 혹 올연(蔚然)히 놉흐며 혹 평연(平然)히 셔리여 형샹(形象)이 각각 달나 뵈  와 모양이 다르더라
324
도강(渡江) 젼(前)은 눈을 보지 못너니 문(柵門) 이후로 젹셜(積雪)이 길흘 덥허시니 뇌(行路ㅣ) 심히 간관(間關)더니심양(瀋陽)을 지나 이의 니러 간간(間間)이 길을 닷가시니 대개 지월(至月) 념간(念間)의 황손(皇孫)이녜부샹셔(禮部尙書)공부샹셔(工部尙書)로 더브러 황뎨(皇帝) 명(命)을 밧드러 옥텹(玉牒)을심양(瀋陽)의 봉안(奉安)고 슈일(數日) 젼(前)의 도라갓다 니 옥텹(玉牒)은
325
긔(史記) 닷가 옥(玉)을 쟝식(裝飾)여 십년마다 니궁(離宮)과 명산(名山)의 감초와 둔다 더라
326
혹 길 방(四方) 두어 솔바탕 즈음을 을 다흐고 펀펀이 다드마 타작(打作) 마당 튼 곳이 잇거역관(譯官)려 무니 이 황뎨(皇帝)심양(瀋陽)거동(擧動) 의 쥬졍(晝亭) 슉소(宿所) 궁(行宮) 곳 아니면 민가(民家)의 머무 일이 업고 곳 길의 쟝젼(帳殿)을 베퍼 그림 그린 기동과 (彩色) 바람이 홀연이 일워 황뎨 머므 곳을 그라시며 슈가(隨駕) 신하(臣下)와 군(軍士) 다 한(寒)셔 지며 음식은 젼혀 마른 과 실과(實果) 먹으며 혹 길의 솟 거러 밥을 지어 먹으니 대개 군즁(群衆)과  모양이니  이 셜댱(設帳)엿던 곳이라 더라
327
인(下人)은 사 타태평차(太平車)라도 다 두 을 메웟 고로 좌차(坐車)의   메운 거 보면 다 지져괴여 니 하오라 니 됴탓 말이오  오 오문지[적]마당부더[득](吾們的馬當不得)라 니 우리 은 당치 못다 말이라
328
십오리(十五里) 이십니(二十里)식 을 년(連)여 메우니 마을 앏흘 당여 좌차(坐車) 머믈면 남녜(男女ㅣ) 두세 겹으로 싸히여 보지라 하인(下人)이  둘너 믈니면 잠간 흣터지다가 도로 모히니 좌차 안흘 쏘와 보 눈 모양이 극히 우을 젹이 만터라 낫참 젼(前) 을 가노라 젼방(廛房) 앏셔 잠간 머므더니 홀연 풍뉴(風流) 소 나며 이윽여  사은 지젼(紙錢)을 밧드러 앏 잇고  사은 교위[의](交椅)와 탁(卓子) 밧들어 오고  사은 탁자의 왼 돗 담아 엇게의 메고 풍뉴(風流) 네 사이 각각 긔(旗) 가지고 틈틈이 셔시니 손으로 타 거슨금(奚琴)트되  크니현(絃子ㅣ)라 일 거시오 입으로 브 거 피리와 져 트되 모양이 져기 다르더라
329
이 쟝(葬事) 지내 집의셔 믄져 이 초와 졀의 나아가 블공(佛供) 법이라 지폐(紙幣) 흰 됴 오려 등발 치 야 졔(祭) 지낼 젹 노핫다가 졔(祭) 다ㅏ매 오고  지젼(紙錢)이 이시니 됴로 둥글게 돈 치 삭여 남긔 여 발인(發靷) 와 뫼의 졔(祭) 지낼 의 길의셔 니니 이 녜븟터 잇 법이러라
330
이도졍(二道井子)란 곳의 니러 됴반(朝飯)고 칠팔니 지나매신은(神隱寺)라  졀이 이시니 법당(法堂)과 각(行閣)이 표묘(縹緲) 장녀(壯麗)여 밧문이 믈 궁글어 니 업며 이즈음은 셩의 집이 흙으로 우흘 덥허시나 기와로 니으되 다 믈 아니 내고 편게 지어시니 혹 니한(漢)인의 집이 다 이리 니 우히 업믈 유의미라 고  니되뇨동(遼東)의 람이 셰기로  아니 내여 람의 것치이디 아니케 미라 니 분명치 아닌 말이라 대져 그 의(意思) 모너라
331
슈십여 리 지나십니강(十里扛子)의 니매  젹은 언덕이 잇지라 이뇨동(遼東)의 니론 후 쳐음 지나 배라  오리 여  돈(墩臺) 잇고 그 아 기와와 벽돌을 굽 곳이 이시니 흘 파 굴을 글고 그 가온대로셔 기와와 벽돌을 내여 싸흔 거시 뫼 더라
332
황혼(黃昏)의흑산(四黑山)윤가(尹哥)의 집의 슉쇼(宿所)니 좌(座) 쳐음 졍(定)매  풍뉴(風流) 소 담 밧 집의 나거 무니 샹(喪事) 만난 집의셔 됴샹(弔喪) 손이 니면 풍뉴(風流) 초와 망쟈(亡者)의 신령(神靈)을 깃브게 며 됴(弔客)의 슬프믈 위로다 니 그 소 비촉[측]번원(悲側煩寃)여 놉흐락 즈락 며 간간(間間)이 탁탁 여조두(刁斗) 치 소 고 소 히지 아녀 졈졈 희미여 식경(食頃)이 지난 후 니 혹 니 피인(彼人)의 상(喪事)의 풍뉴(風流) 거시 녜(禮) 아니라 여 풍뉴(風流) 아니면 친쳑(親戚)과 이웃이 다 블효(不孝)라  고로 감히 아니 쟤 업다 더라
333
이날 니(百里) 여 슉소(宿所) 졍(定)니 쥬인의 집이 좁고 더러오나 오히려 교위와 챠풍(遮風) 등믈(等物)이 이시니 풍쇽(風俗)을 가히 볼 거시며 캉 아 뵈틀이 이시니 야흐로  바 대포(大布) 거러시니 아국(我國) 칠승(七升) 무명과 트며 뵈틀 졔되(制度ㅣ) 심히 크나 공교(工巧) 의(意思ㅣ) 긔록(記錄)기 어렵고 븍은 심히 쟈근지라 쥬인려  모양을 보자 대 쥬인 나 놈이 즉시 틀의 안자 되 븍을 더지 법이 라 눈이 현란(眩亂)며 벽 우 문 거러시니 졔되(制度ㅣ) 별노 다른 거시 업나 다만 가락이 굵고 우히  치 업더라
 
334
초일
335
평명(平明)의 발(發行)여양쟝하(羊腸河)의 니니 믈이 심히 너지 아니나 믈이 여러 가닭이 이셔 여름의 믈이 지면 큰 들이 다 기여 로 십여 리 지난 후 비로소 뭇 오른다 더라
336
즁안보(中安堡)의 니러하가(何哥)의 집의 됴반(朝飯)고 쟝 날하개(何哥ㅣ)반젼(盤纏)이 젹다 여 됴희와 붓 달나 고 캉 앏 드러와 쳥니 위인(爲人)이 극히 블냥(不良)고 소견(所見)이 심히 통분(痛忿)더라
337
캉 아 흙 화로(火爐) 노하시니 브으리 좁아 겨유 차관(茶罐)을 노케 여시며 셕탄(石炭)을 픠워시니 셕탄(石炭)이라  거 머지 아닌 뫼희셔 나 첫 번 셔 파내면 거믄 흙 다가  밧긔 나오면 구더 돌과 트니 블을 픠오면 오 사외지 아니코 믈을 리면 더옥 잘 픠니 음식과 캉의 블 여키 다 일노 쓰 곳이 만흐니 심히 종요롭고 사왼 거 믈의 축여 남그로 틀을 라 벽돌 모양 치 박아내여 도로 픠오면  나모슛셔 더 사외니심양(瀋陽)이후 이곳 아니면 블 히기 어려올지라 슈니 안 나모 잇 곳이 업고 여름지의[이] 슈슈 만히 심긔[거] 나모 신(代身)며 밧  조집으로 우마(牛馬)의 냥식(糧食)을 니 지나 밧 길 조와 슈슈 밧긔 다른 거시 업고 간혹 산도 밧치 이시니 산도은 노미라며 면화(棉花) 밧치 심히 드믈게 이시니 이 즁원(中原) 사이 극한(極寒)이라도 옷 둣겁게 닙은 일이 업고 다만 즘의 가족으로 여러 겹을 닙으며 바지 다 겹으로 여시며 간난 셩이 웃옷시 변변치 아닌 쟤 혹 우리나라 여룬 차졉바지만 게 여 닙엇더라
338
 십오리 여 븍으로 라보니  뫼들 가온대 혀 나시니 일홈은관명산(觀鳴山)이니 이 의무려산(醫巫閭山)쥴기라  쥴기 남(南)으로 구을너 놉흔 언덕이 되엿고 그 우 졀이 이시니 졔양(制樣)이  긔묘(奇妙)며의무려산(醫巫閭山)이 니즈음니매 젼톄(全體) 가히 짐작지라 크고 웅쟝(雄壯)여 우리나라 일즉 본바로 비길  업더라
339
고가(大古家子)란 곳의 니러황이(黃伊)고여 오 셔븍(西北) 히로 누각(樓閣)이 은영(隱映) 곳이 이곳븍단묘(北端廟)요븍단묘(北端廟)로셔 셔븍(西北) 십니(十里) 지나도화동(桃花洞)이 이시니 산곡이 심슈(深邃)고 쳔셕(泉石)이 긔이(奇異)타 더라
340
광명참의 니러왕가(王哥)의 집의 슉소(宿所)니 뉵십니 니라
341
쥬인의 집의셔 나귀로 돌을 메여 곡식을 갈고 돌 녑 풍긔(風箕)라  거 노하시니 이 아국(我國)의 곡식 부 키 신으로 쓰 거시라 그 졔도(制度) 두지 모양과 비속[슷]니 밧근 다 널노 막고 그 안  편은 문 모양으로 그러 너허시 넙은 널을 박아 돌니면 람이 나게 고  편은 널 두 닙흘 마조 비슥이 셰워 두 치 다 셔로 거의 다코 가 굼기 길게 잇게 여시 쟈근 손가락 치 드러가게 고 그 구멍 밋트로 남글 셰워 궁글 막아 긴 나모   궤(櫃) 밧그로 나갓지라 곡식(穀食) 갈기 다 후의 삼탐이의 담아 비슥이 세운 널 우 붓고 믄져 문 지 두어 번 틀면  편 터진 셜합 치 그라 드리온 곳으로 람이 나지라 구멍 막은 긴 나모   번 틀면 남기 도라지매 굼기 열녀 우 곡식이 긴 궁그로 드리온 시 흘너 리니  편 람나 곳의 무거온 알곡식은 다 아로 지거 그릇슬 밧쳐 담기이게 고 가야온 겨 바람의 니여 터진 로 블니여 나가니 간편(簡便)고 신속(迅速)되 인력이 바히 드지 아니니 그 니(利) 졔되(制度ㅣ)라 일즉 드니송원(松園)김니되(金履度ㅣ)그시(伯氏)상고[공](相公) 뫼시고 드러 갓다가 이거 보고 긔이(奇異)히 너겨 내여와시 쓰기 로 죵일 면 삼십여 셕(石) 곡식을 다 블지라 아국(我國)의 로 삼십 셕(石) 곡식(穀食)을 엇지 으리오 이러모로 쓸  도혀 다 업다 더라
342
 그시 이시니 두지 모양으로 크게 글고 그 안희 네모진 쳬 너코 쳬의 로 그라 쳬 밧그로 나오게 여시니 사이 귀 집고 두 발노 셔로 드면 쳬 스로 브드이져 츠이게 여시니 가로 츠면 로  십여 셕(石)을 츨너라
343
이 참(站)의도역승(驛丞)이 이시니 일년(一年) 소식(小食)이은(銀子)삼십뉵냥과  삼십육셕(三十六石)이오 발마(撥馬) 오십필(五十匹)이 잇다 더라
344
이리로 좃차 십니(十里) 매광녕셩(廣寧城)이 이시니 녀름 (使行)이 만일양쟝하(羊腸河)믈진  만나면 셩(城內)로 좃차 지난다 더라
345
역관(譯官)의게 드니{역관(譯官)의게 드니} 이곳의 마상(馬上才)  계집이 이셔 갑슬 쥬면 본다 더니 다시 드니 이곳은 업고광녕산(廣寧山)아 잇다 더라
346
일즉역관(譯官)이 이셔 대강 드니 계집이 일신(一身)을 희[미] 복(服色)으로 미고   셔셔 창검(槍劍)과 궁시(弓矢) 가지고 혹 셔며 누으며  시 달녀 보암즉 다 더라
 
347
초오일
348
평명(平明)의 발(發行)여흥뉵졈(興陸店)의 니니 슉참(宿站)의셔 오리(五里)라 인개(人家ㅣ) 즐비(櫛比)여 뉵칠호(六七百戶) 될 듯더라
349
 십오리(十五里) 여샹흥졈(上興店)의 다니의무려산(醫巫閭山)이 이즈음셔 동(東)으로 구을너 셔(西)흐로 벗쳐시니 봉만(峰巒)이 하 밧긔 츌몰(出沒)여 바독을 버려 노흔 더라
350
 팔니(八里) 지나여양역(礪陽驛)의 니니 인가(人家)와 젼방(廛房)이 가히신민둔(新民屯)의 비기며 이날  댱날이라 거매(車馬ㅣ) 길 메이고 믈홰(物貨ㅣ) 구 치 모히여 길흘 여 나갈 길이 업며 좌우 둘너 보매 별노 긔이(奇異)한 보 업고 잡된 믈건과 졔육(猪肉) 션이 못 슈리(數里) 벗쳐시니 아국(我國)의 큰 쟝과 다미 업더라
351
이곳도  의 여셧 번 쟝이 셔 법이 열흘 안희 년(連) 이틀을 션다 더라
352
이즈음은 샹모(槊毛) 단 마으락이 쓴 사이 젹고 젼혀 담마으락이의 거믄 옷 일신(一身)의 두루고 셔 모양이 거믄 담을 흔 모양 고  계집을 보지 못니 계집이 귀기 그러커니와  가히 남녜(男女ㅣ) 유별(有別)다 더라
353
예셔 됴반(朝飯) 부(副使)로 더브러  캉의 안잣더니 여러 되놈이 캉 문 밧긔 모히여 기우려 보기 닷토거 방 하인(下人)들이 슈슈대로 둘너 헤치며 박의 믈을 려 츠니 대경(大驚)여  놈도 잇고 응연(凝然)이 굿이셔 웃 사도 이시니 지 아닛 쟈 그져기 지각(知覺)이 잇 사이러라
354
삼십여 리 지나오(五臺子)의 니니 이즈음셔븟터 지계(地界牌)라  거시 이시니 우리나라 쟝승과 튼 거시라 그 졔되(制度ㅣ) 셰 문(門) 모양 치 그라시며 가온 문(門)을 놉혀 써 오
355
아모 고을 아모 참(站) 발소라고 외편 문(門)의 써 오 동(東)으로 아모 참(站)이 몃 니(里)라 고 올흔편의 써 오 셔흐로 아모 참(站)이 몃 니(里)라 여시며 혹 젼방(廛房) 바람벽의 동셔남븍(東西南北) 여 리 디명(地名)과 니슈(里數) 써 븟쳐시니 길 가 인(行人)이  번 보매 다 효연(曉然)지라 십여 리 젼븟터 셔븍(西北)으로  뫼히 이셔 놉흐며 즌 뫼부리 지 아니야 형상(形象)이 괴셕(怪石) 트니 갓가히 니매 여라믄 봉만(峰巒)이  펴이여 젼혀 셕산(石山)이라
356
망만보(望巒堡)란 곳이 이 뫼셔 십니(十里) 동안이니 산을 라보 마을이란 말이라 이 뫼흘 지나 오륙니(五六里) 여 슉소(宿所)니 디명(地名)은셕산참(石山站)이오 십삼산(十三山)이라 니 열셰 봉(峯)이라 니른 말이러라
357
뫼기을 지날 이 셕양(夕陽)이 뫼 머금고 희미 안개 하 밧긔 빗최여 더니 흣터져 일조홍광(一條紅光) 반텬(半天)의 덥혀시니 긔이(奇異)더라
358
 언덕을 지나매 샹부방(上副房) (行次ㅣ) 오리(五里)나 앏셔지라 가 사이 이 대초씨 셰운 며  이 팟츨 구을니 모양이라
359
홀연(忽然) 슈목(樹木)이 리워 간 곳이 업셔지니 나 동(同行) 사이로 홀연(忽然) 쵸연(悄然) 을 금치 못니 내 뒤흘 좃 쟤  이 모양이러라
360
이번 (使行)의 포(包) 갑시 근년(近年) 이(以來)의 쟝 만흔지라 관역이태평(太平)을 아니 쟤 업며비쟝(裨將)도  만이 타지라역관(譯官)과비쟝(裨將)의 차(車) 탄 쟤 다 내 좌챠(坐車) 뒤흘 니 후거(後車) 슈십승과 죵쟤(從者ㅣ) 슈이라 니지라  사이태평차(太平車) 타시되 우흔 가마 모양이오 비단 휘쟝(揮帳)의 담으로 안흘 막아시며 가온대 삭여 면(四面)의 뉴리 븟치고  금안(金鞍)을 지어 메워시며  탄 사이 쵹농을 잡아 앏 인도고 뒤흘  쟤  칠팔인(七八人)이라 다 쥰마(駿馬) 고 번개 치 녀 동(東)을 향여 지나가니 위의 혁연(赫然)여 인개(人家ㅣ) 비등(比等)니 내 (行色)이 도혀 빗 업지라 마두(馬頭)로 여금 무라 니 종쟤(從者ㅣ) 닐너 오 벼이 야흐로 흑뇽쟝군(黑龍將軍)이니 심양장궁[군](瀋陽將軍)의 아들이라 황셩(皇城)의 공(公事)로 드러왓다가 임소(任所)로 도라간다 니흑뇽강(黑龍江)은녕고탑(寧古塔)디방(地方)이라  요해쳐(要害處)라 더라
361
 질 의 길의 열남은 먹은 아 각각 양(羊)을 슈식 모라가되 다만 손의 긴  여 뒤흘 고 양(羊)이 다 머리 이 야 나히 빗 거시 업니 임의 이샹더니 두 아희 함 젼방(廛房)의 나아가 므어 사 먹으매 양이  머므러 가 일이 업더니 아 즉시 나와 므 소 니 이예 각각 졔 쥬인을 와 셔로 셧기지 아니코 도로 앏셔 가니 더옥 긔이(奇異)며심양(瀋陽)이 젼브터 어룬 아희 업시 삼탐이 메고 삷흘 손에 들어 길의 우마(牛馬)의 을 쥬으되 지나 이 을 누면 닷토와 삷흐로 집어 삼탐이의 너흐 들니 일이 업고 마을마다 문밧긔 거을 싸하시니 놉희 여러 자히오 네모히 방졍(方正)여 마을마다 다  모양이라황가(黃哥)의 집의셔 슉소(宿所)다심양(瀋陽)지난 후로븟터
362
참(站) 마다 환약(丸藥)을 구니 구 로 쥬랴면 니우지 못지라 져의 긔이(奇異) 약으로 아 쥴 볼너라
 
363
초뉵일
364
평명(平明)의 발(發行) 대셜(大雪)이 리고 대풍(大風)이 집을 흔드니 역(行役)이 민망  아니라 이의 니러 샹하(上下)의 병드지 아닌 쟤 업니 실노 민망나  일 업더라
365
발마(撥馬) 고 지나 쟤 이시니 둘은 앏 셔고 둘은 뒤 셔시며  놈이 등의 누른 보로  거 지고 녀 가더니  지 아니코 븬 노 오 거시 네 필(匹)이라 이 참(站)이 멀면 밧고아 가 시브더라
366
이  모양이 별노 쾌(快)치 못니 이 고 엇지  시각(時刻)의 칠십니(七十里) 리오 역참(驛站)마다 발마(發馬) 두어시 큰 참(站)은 오십필(五十匹)식이라
367
년(每年)의심양으로셔 발소(發所)의  슈(數) 좃차 오십필(五十匹) 잇 곳은 아홉필 갑슬 두 필(每匹)의 십오냥식 뎡(定)니 만일 죽고 병든 마(馬) (代)로 사셔 셰우란 법이라
368
역승(驛丞)이 지여 으면 스로 먹고 브죡면  문다 며 역참(驛站)의셔 지나 관원(官員) 졉(待接) 법이 표문(表文)이 이시면 슈(數)로 을 쥬고 음식여 지공(支供) 법은  사  의 은젼(銀大錢) 칠식 러 쥬니  이 십뉵푼이라
369
이 심양(瀋陽)으로셔 미리 쥬 은(銀)이 잇다 더라
370
대릉하보(大淩河堡)의 니러 됴반(朝飯)고 십여 리 야 길희 동비(四同碑)라  비가 이시니 아국(我國) 사이 죵죵 박혀 간다 나 풍셜(風雪)이 오후의 더옥 심여 을 머므지 못고 지나니라
371
양졈왕가(王哥)의 집의 슉소(宿所)니 이날 오십니 나 역(驛) 마부(馬夫)뎡연(鄭延)이와김슈강(金守强)이 믈고다 사의 (生死ㅣ)  큰 일이라
372
져의 비록 하쳔(下賤)이나 엇지 명(命)이 아니리오마 왕(王事)로 만니(萬里)의 구치(驅馳)야 병이 들매 뉘 졍으로 음식을 권며 풍셜(風雪)이 이러나 뉘 만뉴(挽留)여 됴리(調理)리오 고무친(四顧無親)이오 일신(一身)이 혈혈(孑孑)여 병드러 죽기의 니니 뉘 능히 젼부(傳訃)리오 만리(萬里) 호산(胡山)의 도라가지 못 고혼(孤魂)이 되리니 엇지 참졀(慘絶)치 아니리오 나라히 쥬신 은(銀)이 잇지라 관곽(棺槨)을 초와 죽은 곳의 두엇다가 도라올 의 실어 간다 더라
【원문】권1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기행문〕
▪ 분류 : 고전 수필
▪ 최근 3개월 조회수 : 178
- 전체 순위 : 426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13 위 / 81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2) 화전가
• (2) 회(懷)
• (1) ?! ?! ?!
• (1) 그믐날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서유문(徐有聞) [저자]
 
  1798년 [발표]
 
  기행문(紀行文) [분류]
 
  일기(日記) [분류]
 
◈ 참조
  # 연행록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서유문의 연행기 (1789년)
목록 참조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 인용 디렉터리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수필 카탈로그   목차 (총 : 6권)     처음◀ 1권 다음 한글(고어) 
◈ 무오연행록 (戊午燕行錄)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2년 03월 0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