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漢陽太平歌 (한양태평가) ◈
◇ 8 성첩(城堞)과 백각육의전(白各六矣廛)의 모습 ◇
해설   목차 (총 : 14권)     이전 8권 다음
漢山居士(한산거사)
목   차
[숨기기]
 

1. 성첩(城堞: 성벽)의 모양

2
남편은 숭례문(崇禮門)과 동편은 흥인문(興仁門)과
 
3
서편은 소의문(昭義門)과 북편은 창의문(彰義門)이
 
4
사관(四關)이 되었으니 수문장(守門將) 호군부장(護軍部長)
 
5
수문군(守門軍) 영통(領統)하며 칼을 꽂고 신칙(申飭)한다
 
6
팔로(八路)를 통하였고 연경(燕京) 일본 다았구나
 
 

2. 백각 육의전(六矣廛)의 모습

8
우리나라 소산(所産)들로 부끄럽지 않건마는
 
9
타국물화(他國物貨) 교합(交合)하니 백각전(百各廛) 장할시고
 
10
칠패(七牌)의 생선전(生鮮廛)에 각색 생선 다 있구나
 
11
민어(民魚) 석어(石魚) 석수어(石首魚)며 도미 준치 고도어(高刀魚)며
 
12
낙지 소라 오적어(烏賊魚)며 조개 새우 전어(鱣魚)로다
 
13
남문(南門)안 큰 모전(毛廛)에 각색 실과 다 있구나
 
14
청실뇌(靑梨) 황실뇌 건시(乾?) 홍시(紅?) 조홍시며
 
15
밤 대추 잣 호도며 포도 경도(瓊桃) 오얏이며
 
16
석류(石榴) 유자(柚子) 복숭아며 용안(龍眼) 여지(荔枝) 당대추〔唐大棗〕로다
 
17
상미전(上米廛) 좌우가가(左右假家) 십년지량(十年之糧) 쌓았어라
 
18
하미(下米) 중미(中米) 극상미(極上米)며 찹쌀 좁쌀 기장쌀과
 
19
녹두(綠豆) 청태(靑太) 적두(赤豆) 팥과 매태(馬太) 중태(中太) 기름태(太)ㄹ다
 
20
되를 들어 자랑하니 민무기색(民無飢色) 좋을시고
 
21
수각(水閣)다리 넘어서니 각색 상전(商廛) 벌였어라
 
22
면빗 참빗 얼레빗과 쌈지 줌치 허리띠며
 
23
총전(氈) 보료 모담자(毛?子)며 간지(簡紙) 주지(周紙) 당주지(唐周紙)ㄹ다
 
24
큰 광통교(廣通橋) 넘어서니 육주비전(六注比廛) 여기로다
 
25
일 아는 열립군(列立軍)과 물화(物貨) 맡은 전시정(廛市井)은
 
26
큰 창옷에 갓을 쓰고 소창옷에 한삼(汗衫) 달고
 
27
사람 불러 흥정할 제 경박(輕薄)하기 측량(測量)없다
 
28
백목전(白木廛) 각색방(各色房)에 무명이 쌓였어라
 
29
강진목(康津木) 해남목(海南木)과 고양(高陽)낳이 강(江)낳이며
 
30
상고목(商賈木) 군포목(軍布木)과 공물목(貢物木) 무녀포(巫女布)와
 
31
천은(天銀)이며 정은(丁銀)이며 서양목(西洋木)과 서양주(西洋紬)라
 
32
지전(紙廛)을 살펴보니 각색 종이 다 있구나
 
33
백지(白紙) 장지(壯紙) 대호지(大好紙)며 설화지(雪花紙) 죽청지(竹靑紙)며
 
34
선익지(蟬翼紙) 화초지(花草紙)며 깨끗할사 백면지(白綿紙)며
 
35
상화지(霜花紙) 자문지(咨文紙) 초도지(初塗紙) 상소지(上疏紙)며
 
36
천연지(川蓮紙) 모토지(毛土紙)와 모면지(毛綿紙) 분당지(粉唐紙)와
 
37
궁전지(宮箋紙) 시축지(詩■紙)와 각색 능화(菱花) 고을시고
 
38
베전(廛)을 살펴 보니 각색 마포(麻布) 들어쳤다
 
39
농포(農布) 세포(細布) 중산(中山)치며 함흥(咸興) 오승(五升) 심의포(?衣布)며
 
40
육진장포(六鎭長布) 안동포(安東布)와 계추리 해남포(海南布)와
 
41
왜베 당(唐)베 생계추리 문포(門布) 조포 영춘포(永春布)며
 
42
길주(吉州) 명천(明川) 가는 베는 바리 안에 드는 베ㄹ다.
 
43
청포전(靑布廛) 살펴보니 당물화(唐物貨)가 벌여 있다
 
44
중침(中針) 세침(細針) 수(繡)바늘과 다홍(茶紅) 삼승(三升) 청(靑) 삼승(三升)과
 
45
녹전(綠氈) 홍전(紅氈) 분홍전(粉紅氈)과 삼승고약(三升膏藥) 공단(貢緞)고약
 
46
감투모자 회회포(回回布)와 민강사당(?薑沙糖) 오화당(五花糖)과
 
47
연환당(軟環糖) 옥춘당(玉春糖)과 갖은 당속(糖屬) 벌여 있다
 
48
선전(線廛)은 수전(首廛)이라 돈 많은 시정(市井)들이
 
49
호사(豪奢)도 혼란(混亂)하고 인물도 준수(俊秀)하다
 
50
각색 비단 벌였으니 화려(華麗)도 장할시고
 
51
공단(貢緞) 대단(大緞) 사단(紗緞)이며 궁초(宮?) 생초(生?) 설한초(雪寒?)며
 
52
금계제파(金鷄啼罷) 일륜홍(一輪紅)하니 날 돋았다 일광단(日光緞)과
 
53
일년명월(一年明月) 금소다(今宵多)하니 달이 밝은 월광단(月光緞)과
 
54
추운담담(秋雲淡淡) 영유유(映悠悠)하니 보기 좋은 운문대단(雲紋大緞)
 
55
춘풍도리(春風桃李) 화개야(花開夜)하니 번화로운 도리불수(桃李佛手)
 
56
매화만국(梅花萬國) 청모적(聽暮笛)하니 매죽문(梅竹紋) 가계주(紬)며
 
57
용귀호동(龍歸虎洞) 운유습(雲猶濕)하니 혼란(?爛)할사 용문갑사(龍紋甲紗)
 
58
상사볼견(相思不見) 이내 마음 임 그리운 상사단(相思緞)과
 
59
은한성희(銀漢星稀) 일도통(一道通)하니 통해주(通海紬) 이름 짓고
 
60
명괘금방(名掛金榜) 제일인(第一人)하니 장원주(壯元紬) 되어 있고
 
61
산천초목(山川草木) 번성하니 넌출 진 포도대단(葡萄大緞)
 
62
만경창파(萬頃蒼波) 조개비단 보기 좋은 금선단(金線緞)과
 
63
부화부순(夫和婦順) 만사성(萬事成)하니 양화단(兩和緞) 이름 짓고
 
64
팔월 구월 천기냉(天氣冷)하니 설사(雪紗) 빙사(氷紗) 되어 있고
 
65
태상노군(太上老君) 호로단(호로단)과 천세만세(千歲萬歲) 만수단(萬壽緞)과
 
66
역발산(力拔山) 기개세(氣蓋世)는 초한(楚漢)적 우단(羽緞)일다
 
67
얼룩덜룩 광월사(光月紗)며 알쏭달쏭 아롱단(緞)과
 
68
한 냥(兩) 두 냥 팔량주(八兩紬)며 한 쌍 두 쌍 쌍문초(雙紋?)며
 
69
수건(手巾) 감 흑저사(黑紵紗)며 이불 감 남추라(藍?羅)며
 
70
볼끼감 자지상직(紫芝常織) 휘양〔揮項〕감 검은 궁초(宮綃)
 
71
어물전(魚物廛) 살펴 보니 각색 어물 벌여 있다.
 
72
북어(北魚) 관목(貫目) 꼴독어骨獨魚〕며 민어(民魚) 석어(石魚) 통대구며
 
73
광어(廣魚) 문어(文魚) 가오리며 전복(全鰒) 해삼(海蔘) 가자미며
 
74
곤포(昆布) 메욱 다사마(多士麻)며 파래김 우무가시
 
75
도자전(刀子廛) 마로저재에 금은보패(金銀寶貝) 놓였구나
 
76
용잠(龍簪) 봉잠(鳳簪) 서복잠(瑞福簪)과 간화잠(間花簪) 창포잠(菖蒲簪)과
 
77
앞뒤 비녀 민죽즐(竹櫛)과 개구리 앉힌 쪽비녀며
 
78
은가락지 옥가락지 보기 좋은 밀화지환(蜜花指環)
 
79
금패호박(錦貝琥珀) 가락지와 값 많은 순금 지환(指環)
 
80
노리개 볼작시면 대삼작(大三作)과 소삼작(小三作)과
 
81
옥나비 금벌이며 산호(珊瑚) 가지 밀화불수(蜜花佛手)
 
82
옥장도(玉粧刀) 대모장도(玳瑁粧刀) 빛 좋은 삼색(三色) 실로
 
83
꼰술 푼술 갖은 매듭 번화하기 측량없다
【원문】8 성첩(城堞)과 백각육의전(白各六矣廛)의 모습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359
- 전체 순위 : 210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17 위 / 266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에밀레종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한양가(漢陽歌) [제목]
 
  한산거사(漢山居士) [저자]
 
  1844년 [발표]
 
  가사(歌辭)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참조 :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 인용 디렉터리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해설   목차 (총 : 14권)     이전 8권 다음 한글 
◈ 漢陽太平歌 (한양태평가)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