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漢陽太平歌 (한양태평가) ◈
◇ 3. 궁방(宮房), 내시와 아인들의 모습 ◇
해설   목차 (총 : 14권)     이전 3권 다음
漢山居士(한산거사)
1
사지(事知)한 내시(內侍)들은 승전(承傳) 차지(次知) 장번(長番)일다
 
2
건장한 무예청(武藝廳)은 자지군복(紫芝軍服) 남전대(藍전대)에
 
3
십팔기(十八技)예(藝) 주장(主掌)하니 기상(氣像)이 호용(豪勇)하다
 
4
밤이면 호피(虎皮)두건(頭巾) 호피군복 삼모장(杖)에
 
5
파수(把守)마다 앉았으니 호분군(虎賁軍) 되어 있고
 
6
맵시있는 전별감(殿別監)은 이팔청춘(二八靑春) 아이로다
 
7
당당 홍의(紅衣) 자지(紫芝)두건(頭巾) 남광다회(藍廣多繪) 넓은 띠를
 
8
가슴에 눌러 띠고 빚 좋은 순금(純金) 동곳
 
9
큰 대(大)자 새겨 내어 모양 좋게 곶아 있고
 
10
모대(帽帶)한 사알(司謁) 사약(司?) 융복(戎服)한 무감(武監) 통장(統長)
 
11
별감(別監) 무감(武監) 영통(領統)하여 합문(閤門)에 등대(等待)하고
 
12
각 처소(處所) 나인(內人)들은 안 일을 감았는데
 
13
지밀(至密) 침방(針房) 수방(繡房)이며 생것방(房) 소주방(燒廚房)이
 
14
백각사(百各事) 각각 맡아 아침 저녁 문안(問安)이며
 
15
의대수문(衣?酬問) 침선(針線)이며 수라진찬(水刺進饌) 직분(職分)일다
 
16
윤주라(?紬羅) 모단(毛緞) 너울 두록대단(豆綠大緞) 드림이며
 
17
홍융사(紅絨絲) 유소(流蘇)매듭 빛 좋게 늘어지고
 
18
남소화주(藍蘇花紬) 긴 너울은 누른 화판(花瓣) 조밀(稠密)하다
 
19
설한단(雪漢緞) 남(藍)치마와 불빛 모단(毛緞) 족두리며
 
20
어여머리 늦은 낭자 오두잠(烏頭簪) 금죽즐(金竹櫛)과
 
21
긴 원삼(圓衫) 짜른 당의(唐衣)요지연(瑤池宴) 뫼셨는 듯
 
22
분대(粉黛)도 절등(絶等)하고 주취(朱翠)도 화려하다
 
23
항아(姮娥)가 적강(謫降)한가 속태(俗態)도 전연 없네
 
24
나 많은 무수리는 작은 머리 긴 저고리
 
25
아청(鴉靑)무명 넓은 띠에 문패(門牌)를 빗겨 차고
 
26
각궁노자(各宮奴子) 모양들은 벙거지 넓은 갓끈
 
27
두루마기 반물 들여 소매길게 하여 입고
 
28
내병조(內兵曹) 근장군사(近仗軍士) 문문(門門)이 지켜 있어
 
29
금잡인(禁雜人) 총찰(統察)하니 가죽 등(藤)채 손에 들고
 
30
이리 뛰며 저리 뛰니 기상(氣象)이 호륵(豪勒)하다
【원문】3. 궁방(宮房), 내시와 아인들의 모습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359
- 전체 순위 : 210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17 위 / 266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에밀레종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한양가(漢陽歌) [제목]
 
  한산거사(漢山居士) [저자]
 
  1844년 [발표]
 
  가사(歌辭)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참조 :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 인용 디렉터리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해설   목차 (총 : 14권)     이전 3권 다음 한글 
◈ 漢陽太平歌 (한양태평가)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