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
정원(政院)의 육승지(六承旨)는 후설지신(喉舌之臣)되어 있어
|
|
2
|
|
|
궐내(闕內)의 대소사(大小事)와 백각사(百各事) 모든 일을
|
|
3
|
|
|
내외공사(內外公事) 한데 하여 계청계파(啓請啓罷) 일삼으니
|
|
4
|
|
|
영귀(榮貴)도 갸륵하고 소임(所任)도 중대하다
|
|
5
|
|
|
옥당(玉堂)각신(閣臣) 한주(翰注)네는 주경야대(晝經夜對) 일이로다
|
|
6
|
|
|
연소(年少)한 어린 명사(名士) 공명(功名)이 명환(名宦)일다
|
|
7
|
|
|
별군직(別軍職) 선전관(宣傳官)은 보기 좋은 비단군복(緋緞軍服)
|
|
8
|
|
|
다홍대단(茶紅大緞) 홍수(紅袖)달고 순금밀화(純金密花) 쌍단추며
|
|
9
|
|
|
그 위에 갑사관대(甲紗冠帶) 수박빛이 고을시고
|
|
10
|
|
|
오위장(五衛將) 충익장(忠翊將)과 문부장(門部將) 수문장(守門將)은
|
|
11
|
|
|
호반(虎班)의 벼슬이라 관대(冠帶) 속에 군복(軍服)입고
|
|
12
|
|
|
육백금군(六百禁軍) 호위군관(扈衛軍官) 내삼청(內三廳)에 번(番)을 들어
|
|
13
|
|
|
무예(武藝)도 갸륵하고 치마(馳馬)도 날쌔도다
|
|
14
|
|
|
의정부(議政府) 삼상(三相)네는 애민하사(愛民下士) 하는 모양
|
|
15
|
|
|
평교자(平轎子) 늦은 줄에 낮은 키 별구종(別驅從)이
|
|
16
|
|
|
고이 메어 가오실제 호피(虎皮) 꼬리 땅을 쓴다
|
|
17
|
|
|
대로 결은 파초선(芭蕉扇)을 햇빛을 반쯤 가려
|
|
18
|
|
|
벽제(?除)도 크지 않고 행보(行步)도 완완(緩緩)하다
|
|
19
|
|
|
거룩하다 서불장개(暑不張盖) 상위(相位)의 도리로다
|
|
20
|
|
|
이(吏)호(戶)예(禮)병(兵)형(刑)공(工)은 육경(六卿)이 되었에라
|
|
21
|
|
|
호기(豪氣)있는 대사마(大司馬)는 백보(百步)밖에 인배(引陪)세고
|
|
22
|
|
|
건장한 노자(奴子) 기수(旗手) 원앙진(鴛鴦陣) 작대(作隊)하여
|
|
23
|
|
|
쌍쌍이 벽제(辟除)소리 날래고도 영렬(英烈)하다
|
|
24
|
|
|
외바퀴 높은 초헌(軺軒) 키 큰 구종(驅從)들이
|
|
25
|
|
|
손을 들어 밀어 갈제 좌우에 색구(色驅) 견배(牽陪)
|
|
26
|
|
|
호한(豪悍)한 별배(別陪)들이 날개로 벌려서서
|
|
27
|
|
|
세층 벽제(辟除)소리 기구(器具)도 엄위(嚴威)할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