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승전놀음과 참여자들의 옷 차림새
|
|
1
|
|
|
구경가자 구경가자 승전(承傳)놀음 구경가자
|
|
2
|
|
|
북일영(北一營) 군자정(君子亭)에 좋은 놀음 벌였구나
|
|
3
|
|
|
눈빛 같은 흰 휘장(揮帳)과 구름 같은 높은 차일(遮日)
|
|
4
|
|
|
차일 아래 유둔(油芚)치고 마루 끝에 보계판(補階板)과
|
|
5
|
|
|
아로새긴 서까래에 각 영문(營門) 사촉롱(紗燭籠)을
|
|
6
|
|
|
빈틈 없이 달아 놓고 좁쌀 구슬 화초등(花草燈)과
|
|
7
|
|
|
보기 좋은 양각등(羊角燈)을 차례(次例)있게 걸어 놓고
|
|
8
|
|
|
난간 밖에 춘화(春花) 가화(假花) 붉은 비단 허리 매어
|
|
9
|
|
|
빙문(氷紋)진 유리병에 가득히 꽂아 놓고
|
|
10
|
|
|
각색 총전(氈) 몽고전(蒙古氈)과 만화(滿花) 등메 담방석(?方席)에
|
|
11
|
|
|
백통〔白銅〕타구(唾具) 옥타구며 백통 요강(尿綱) 은재털이
|
|
12
|
|
|
왜찬합(倭饌盒)과 당(唐)찬합과 아로새긴 교자상(交子床)과
|
|
13
|
|
|
모란병풍(牡丹屛風) 영모(翎毛)병풍 산수병풍 글씨병풍
|
|
14
|
|
|
홍융사(紅絨絲) 구멍 뚫어 이리저리 얽어 매고
|
|
15
|
|
|
별간(別監)의 거동 보소 난번〔下番〕별감 백여명이
|
|
16
|
|
|
맵시도 있거니와 치장(治粧)도 놀라울사
|
|
17
|
|
|
편월(片月) 상투 밀화(蜜花) 동곳 대(大)자 동곳 섞어 꽂고
|
|
18
|
|
|
곱게 뜬 평양망건(平壤網巾) 외점박이 대모관자(玳瑁貫子)
|
|
19
|
|
|
상의원(尙衣院) 자지팔사(紫芝八絲) 초립(草笠)밑에 팔괘(八卦)놓고
|
|
20
|
|
|
남융사(藍絨絲) 중두리에 오동입식(烏銅笠飾) 껴서 달고
|
|
21
|
|
|
손벽 같은 수사(繡絲)갓끈 귀를 가려 숙여 쓰고
|
|
22
|
|
|
다홍생초(茶紅生?) 고운 홍의(紅衣) 숙초 창의(熟??衣) 받쳐 입고
|
|
23
|
|
|
보라누비 저고리에 외올뜨기 누비 바지
|
|
24
|
|
|
양색단(兩色緞) 누비 배자(褙子) 전배자(氈褙子) 받쳐 입고
|
|
25
|
|
|
금향수주(錦香繡紬) 주비 토수(吐手) 전(氈)토수 받쳐 끼고
|
|
26
|
|
|
중동치레 볼작시면 우단 대단(羽緞大緞) 도리불수(桃李佛手)
|
|
27
|
|
|
각색 줌치 묘히 접어 나비매듭 별매듭에
|
|
28
|
|
|
파리매듭 도래매듭 색색으로 꿰어 차고
|
|
29
|
|
|
오색비단(五色緋緞) 괴불줌치 약랑(藥囊) 향랑(香囊) 섞어 차고
|
|
30
|
|
|
이궁전 대방전과 금사향(金絲香) 자개향을
|
|
31
|
|
|
고름마다 덮어 차고 대모장도(玳瑁粧刀) 서(犀)장도며
|
|
32
|
|
|
밀화장도(蜜花粧刀) 백옥장도 안팎으로 비껴 차고
|
|
33
|
|
|
삼승(三升) 버선 수눅 파서 맵시 있게 하여 신고
|
|
34
|
|
|
제제창창(濟濟??) 앉은 모양 절차(節次)도 거룩하다
|
|
35
|
|
|
금객(금객) 가객(歌客) 모였구나 거문고 임종철(林宗哲)이
|
|
36
|
|
|
노래에 양사길(梁四吉)이 계면(界面)에 공득이(孔得伊)며
|
|
37
|
|
|
오동복판(梧桐腹板)거문고는 줄 골라 세워 놓고
|
|
38
|
|
|
치장(治粧) 차린 새 양금(洋琴)은 떠난 나비 앉혔구나
|
|
39
|
|
|
생황(笙簧) 퉁소 죽장고(竹杖鼓)며 피리 저 해금(奚琴)이며
|
|
40
|
|
|
새로 갈린 큰 장구를 처서피(靑鼠皮) 새 굴레에
|
|
41
|
|
|
홍융사(紅絨絲) 용두(龍頭)머리 단단히 죄어 매고
|
|
42
|
|
|
태극(太極)그린 큰 북 가에 쌍룡(雙龍)을 그렸구나
|
|
43
|
|
|
왕대를 가로 질러 흰 무명 십여척(十餘尺)을
|
|
44
|
|
|
고리 꿰어 매어 달고 다홍상모(茶紅象毛) 긴 북채ㄹ다
|
|
|
|
2. 승전놀음에 참여할 기생점고(妓生點考)
|
|
1
|
|
|
각색 기생 들어 온다 예사로운 놀음에도
|
|
2
|
|
|
치장(治粧) 놀랍거든 하물며 승전(承傳)놀음
|
|
3
|
|
|
별감(別監)의 놀음인데 범연히 치장하랴
|
|
4
|
|
|
얼음 같은 누런 전모(氈帽) 자지갑사(紫芝甲紗) 끈을 달고
|
|
5
|
|
|
구름 같은 허튼머리 반달 같은 쌍얼레로
|
|
6
|
|
|
솰솰 빗겨 고이 빗겨 편월(片月)좋게 땋아 얹고
|
|
7
|
|
|
모단삼승(毛緞三升) 가리마를 앞을 덮어 숙여 쓰고
|
|
8
|
|
|
산호잠(珊瑚簪) 밀화(蜜花)비녀 은비녀 금봉차(金鳳차)를
|
|
9
|
|
|
이리 꽂고 저리 꽂고 당가화(唐假花) 상가화(常假花)를
|
|
10
|
|
|
눈을 가려 자주 꽂고 도리불수(桃李佛手) 모초단(毛?緞)을
|
|
11
|
|
|
웃저고리 지어 입고 양색단(兩色緞) 속저고리
|
|
12
|
|
|
갖은 패물 꿰어 차고 남갑사(藍甲紗) 은조사(銀條紗)며
|
|
13
|
|
|
화갑사(花甲紗) 긴치마를 허리 졸라 동여 입고
|
|
14
|
|
|
백방수주(白紡水紬) 속속곳과 수갑사(繡甲紗) 단속곳과
|
|
15
|
|
|
장원주(壯元紬) 넓은 바지 몽고삼승(蒙古三升) 겉버선과
|
|
16
|
|
|
안동상전(安東床廛) 수운혜(繡雲鞋)를 맵시 있게 신어두고
|
|
17
|
|
|
백만교태(百萬嬌態) 다 피우고 모양 좋게 들어온다
|
|
18
|
|
|
내의녀(內醫女) 침선비(針線婢)며 공조(工曹)라 혜민서(惠民署)며
|
|
19
|
|
|
늙은 기생(妓生) 젊은 기생 명기(名妓) 동기(童妓) 들어온다
|
|
|
|
3. 승전놀음의 가무(歌舞)
|
|
1
|
|
|
오동양월(梧桐良月) 밝은 달에 밝고 밝은 추월(秋月)이며
|
|
2
|
|
|
춘내편시(春來片時) 도화수(桃花樹)라 벽도(碧桃) 홍도(紅桃) 들어 온다
|
|
3
|
|
|
설만장안(雪滿長安) 학정홍(鶴頂紅)하니 외로울사 일점홍(一點紅)이
|
|
4
|
|
|
정부만리(征夫萬里) 수타향(戍他鄕)하니 바라볼사 관산월(關山月)이
|
|
5
|
|
|
앵전고지(鶯?高枝) 연입루(燕入樓)하니 소리 좋은 연앵(燕鶯)이며
|
|
6
|
|
|
청천삭출(靑天削出) 금부용(金芙蓉)하니 의젓한 부용(芙蓉)이며
|
|
7
|
|
|
천류앵제(穿柳鶯啼) 녹영홍(綠映紅)하니 탈색(奪色)할사 연산홍(映山紅)이
|
|
8
|
|
|
구봉침(九鳳枕) 잠간 보니 화려할사 채봉(彩鳳)이며
|
|
9
|
|
|
옥출곤강(玉出崑崗) 금생여수(金生麗水) 보매로운 금옥(金玉)이며
|
|
10
|
|
|
선성재수(蟬聲在樹) 홀사양(忽斜陽)하니 신기(神奇)롭다 초선(貂蟬)이며
|
|
11
|
|
|
낙양장안(洛陽長安) 봄 늦었다 번화로운 만점홍(滿點紅)이
|
|
12
|
|
|
강성오월(江城五月) 낙매화(落梅花)하니 향기로운 매향(梅香)이며
|
|
13
|
|
|
녹죽의의(綠竹??) 청고절(靑高節)하니 절개있는 죽엽(竹葉)이며
|
|
14
|
|
|
경수무풍(鏡水無風) 야자파(也自波)하니 곱고 고운 백능파(白凌波)ㄹ다
|
|
15
|
|
|
운빈화안(雲?華顔) 금보요(金步搖)하니 설부화모(雪膚花貌) 참치시(參差時)라
|
|
16
|
|
|
차례로 늘어 앉아 놀음을 재촉한다
|
|
17
|
|
|
화려한 거문고는 안족(雁足)을 옮겨 놓고
|
|
18
|
|
|
문무현(文武絃) 다스리니 농현(弄絃) 소리 더욱 좋다
|
|
19
|
|
|
한만(汗漫)한 저 다스림 길고 길고 구슬프다
|
|
20
|
|
|
피리는 침을 뱉고 해금(奚琴)은 송진(松津) 그을고
|
|
21
|
|
|
장구〔長鼓〕는 굴레 조여 더덕을 크게 치니
|
|
22
|
|
|
관현(管絃)의 좋은 소리 심신(心身)이 황홀하다
|
|
23
|
|
|
거상조(擧床調) 내린 후에 소리하는 어린 기생
|
|
24
|
|
|
한 손으로 머리 받고 아미(蛾眉)를 반쯤 숙여
|
|
25
|
|
|
우조(羽調)라 계면(界面)이며 소용(搔聳)이 편악(編樂)이며
|
|
26
|
|
|
춘면곡(春眠曲) 처사가(處士歌)며 어부사(漁父詞) 상사별곡(相思別曲)
|
|
27
|
|
|
황조타령(黃鷄打令) 매화타령(梅花打令) 잡가(雜歌) 시조(時調) 듣기 좋다
|
|
28
|
|
|
춤추는 기생(妓生)들은 머리에 수건 매고
|
|
29
|
|
|
웃영산(靈山) 늦은 춤에 중령산(中靈山) 춤을 몰아
|
|
30
|
|
|
잔영산 입(立)춤 추니 무산선녀(巫山仙女) 내려온다
|
|
31
|
|
|
배 떠나기 북춤이며 대무(對舞) 남무(男舞) 다 춘 후에
|
|
32
|
|
|
안 올린 벙거지의 성성전(猩猩氈) 전두리에
|
|
33
|
|
|
주먹 같은 밀화증자(蜜花증子) 매미 새겨 달고
|
|
34
|
|
|
갑사군복(甲紗軍服) 홍수(紅袖) 달아 남수화주(藍繡花紬) 긴 전대(纏帶)를
|
|
35
|
|
|
허리를 잔뜩 매고 상모(象毛) 단 노는 칼을
|
|
36
|
|
|
두 손에 비껴 쥐고 잔영산(靈山) 모는 삼현(三絃)
|
|
37
|
|
|
항장(項莊)의 춤이런가 가슴이 서늘하다
|
|
38
|
|
|
보기에 번화하고 듣기에 신선하다
|
|
|
|
4. 한양에 대한 자부심
|
|
1
|
|
|
춘성(春城) 삼백 구십교(九十橋)와 대도청루(大道靑樓) 십이중(十二重)에
|
|
2
|
|
|
집집이 관현(管絃)이요 거리 거리 노래로다
|
|
3
|
|
|
연풍해전(年豊海甸) 가가주(家家酒)요 춘만강성(春滿江城) 처처화(處處花)라
|
|
4
|
|
|
동도부(東都賦) 서도부(西都賦)며 임고대(臨高臺) 제경편(帝京編)과
|
|
5
|
|
|
제왕국도(帝王國都) 지은 글이 번화가 장(壯)하건만
|
|
6
|
|
|
자성제인(子誠齊人) 어린 소견 우리 한양(漢陽) 제일일다
|
|
|
|
5. 임금과 우리문화에 대한 자부심
|
|
1
|
|
|
임자는 그 뉘신고 하늘이 내신 인군
|
|
2
|
|
|
적덕백년(積德百年) 태조대왕(太祖大王) 홍무(洪武)에 등극(登極)하사
|
|
3
|
|
|
예악법도(禮樂法度) 소중화(小中華)라 선이건곤(仙李乾坤) 거룩하다
|
|
4
|
|
|
계계승승(繼繼承承) 성자신손(聖子神孫) 즐겁구나 우리 성주(聖主)
|
|
5
|
|
|
어질기는 요순(堯舜)이요 효(孝)롭기는 문무(文武)로다
|
|
6
|
|
|
주(周)나라 구여시(九如詩)와 한(漢)나라 사중가(四重歌)는
|
|
7
|
|
|
아마도 우리나라 수무족도(手舞足蹈) 즐겁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