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문화재·역사·전
문화재·역사·전
2020년
  2020년 1월
2020년 1월 2일
서원(書院)에 대해 알아봅니다.
about 문화재·역사·전
내서재
추천 : 0
남계 서원(藍溪書院) 도동 서원(道東書院) 도산 서원(陶山書院) 돈암 서원(遯巖書院) 무성 서원(武城書院) 병산 서원(屛山書院) 소수 서원(紹修書院) 옥산 서원(玉山書院) 필암 서원(筆巖書院) # 서원
【여행】
(2020.01.03. 12:49) 
◈ 서원(書院)에 대해 알아봅니다.
2020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경자년 새해에는 건강과 행복과 사랑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2020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경자년 새해에는 건강과 행복과 사랑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한국의 9개 서원"이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한국의 14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 서원(조선 중기 이후 학문 연구와 선현 제향을 위하여 설립된 사설 교육기관)은 조선시대 선비들의 멋과 전통건축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등재된 9개 서원은 ①경북 영주시 소수서원, ②경남 함양군 남계서원, ③경북 경주시 옥산서원, ④경북 안동시 도산서원, ⑤전남 장성군 필암서원, ⑥대구광역시 달성군 도동서원, ⑦경북 안동시 병산서원, ⑧전북 정읍시 무성서원, ⑨충남 논산시 돈암서원입니다. 경상도에 소재하는 서원이 많지요.
 
교육은 100년 앞을 내다보는 백년지 대계(百年之大計)라고 합니다. 고려 충렬왕 때 안향(安珦, 1243 ~ 1306)이 원나라에서 받아들인 성리학(유학)을 조선의 건국 이념으로 하였지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서원과 조선의 교육 기관에 대해 알아봅니다.
①조선의 교육 : 관리 양성과 유학 교육을 위해 설립

한양

지방

관립

▶성균관(생원, 진사 입학해 대과 준비)

▶4학(동학, 서학, 남학, 중학 각 100명)

▶향교(소과 준비. 부, 목, 군, 현에 1개)

사립

▶서당(사교육)

▶서당(한문의 기초교육, 8세~16세)

▶서원(교육 기회 확대, 백운동 서원이 최초)

 
☞ 조선의 관리는 과거(科擧), 음서(蔭敍 : 고관 자손을 관리로 임용) ,천거(薦擧 : 인재 추천 받아 씀)를 통해 되지요. 대부분 과거(科擧) 시험을 통해 관료로 임명되므로 자신의 입신양명(立身揚名)을 위해 학연(學緣), 혈연(血緣), 지연(地緣)을 최대한 활용하였다. 오직 입신양명이 부귀영화의 지름길이었으니 모든 것을 쏟아부었다.
☞ 과거제는 갑오개혁(1894년)으로 폐지
 
※ 기술 교육기관

의학

외국어

천문, 지리

산학(수학)

율학

회화

도교

전의감

사역원

관상감

호조

형조

도화서

소격서

② 최초의 서원은 백운동 서원(白雲洞 書院)
풍기 군수 주세붕(1495~1554)이 1543년 경상도 영주 순흥면 숙수사 터(宿水寺址)에 세운 백운동 서원(안향을 모심)이 처음이며, 1550년 최초로 국가로부터 사액(賜額: 임금이 사당, 서원, 누문 樓門 등에 이름을 지어 새긴 편액을 내리는 것)을 받아 소수서원(紹修書院)으로 개칭되었다. 사액서원이 되면 어필(御筆) 현판과 서적, 노비를 주며 감세 등 혜택이 따른다.
 
③서원의 역할(제향+학문)
서원의 제향은 정기적으로 매년 봄・가을로 지내는 춘추 향사와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하는 삭망 해, 정월초 5일이나 6일에 행하는 정알례가 있다.
서원은 이름난 선비나 공신을 숭배하고 그 덕행을 추모하였고, 유생이 한자리에 모여 학문을 닦고 연구함(도서관 기능 포함)으로써 향촌 사회의 교화에 공헌하였다. 이에 따라 국가에서는 서원의 설립을 장려하여 전국 각지에 많은 서원이 세워졌다.
 
④서원 원생 선발
서원의 구성원인 원생은 지정된 천거자의 추천을 통해 입학할 수 있었다. 서원의 운영을 상세하게 알 수 있는 자료의 하나인 대구 도동서원 원규에 의하면 원생은 20세 이상인 자로 선발하였고, 1~5명으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천거하였다.
선정된 원생들은 일종의 입학 자격시험을 통해 최종적으로 원생에 선발되었다. 입학 과목은 성리학의 경전을 중심으로 시험이 이루어졌다.
원생의 명단을 기록한 『입원록(入院錄)』에 의하면, 16~19세기까지 약 10여 명 내외의 유생들이 매년 입원(入院)하였다. 선발 과정은 각 서원이 자율적으로 운영하였기 때문에 입원생의 숫자는 서원별·시기별로 차이가 있다.
⑤서원의 운영
서원 교육은 원장(院長)·강장(講長)·훈장(訓長) 등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원장은 산장(山長), 혹은 동주(洞主)라 불렸고, 서원의 정신적인 지주이면서 유림의 사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서원에 따라 다소간 차이가 있었으나, 원장은 물러난 관료나 당대의 유명 학자가 맡는 것이 관례이었다.
⑥서원의 교재
사서오경을 본원(本原)으로 삼고, 『소학』·『가례 家禮』를 문호(門戶)로 삼는다는 것이 상례로 되었다. 독서의 순서는 『소학』·『대학』·『논어』·『맹자』·『중용』·『시경』·『서경』·『주역』·『춘추』로 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교육과정이다.
⑦서원의 건물 배치(배산임수로 자연과 조화)
건축물은 크게 선현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祠堂), 선현의 뜻을 받들어 교육을 실시하는 강당, 원생·진사 등이 숙식하는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로 이루어져 향교와 비슷하다.
사당과 강당의 위치는 앞, 뒤로 바뀌기도 하는데, 성균관은 사당(대성전)이 강당(명륜당)보다 앞에 있고(전묘후학, 前廟後學) 지방 향교는 강당이 사당보다 앞에 있는 경우(전학후묘)가 많다.
 
⑧조경
서원내 조경은 철 따라 피고 지는 꽃과 낙엽수를 심어 계절에 따른 풍치를 감상하도록 하였고, 서원 밖에 소나무(松)·대나무(竹) 등의 나무를 심어 푸른 산의 정기와 선비의 기상을 풍기게 하였다. 나무들은 대체로 산수유·느티나무·은행·작약·살구·모과·진달래·개나리·난초·모란·매화·단풍 등을 심었다.
⑨사액 서원의 혜택
☞ 어필(명필) 현판과 서적 하사
☞ 서원이 소유한 서원전(書院田) 가운데 3결(結:1결은 약 3,300평)에 대해 면세함.
☞ 원생수(院生數)는 정원이 없었으나 양정(良丁: 양민 장정)을 원생이라 하여 피역 (避役) 시키는 폐단이 발생하여, 1707년(숙종 33)에 사액서원은 20인, 비사액서원은 15인까지 원생으로 인정.
☞ 군역 대상자를 함부로 불러들여 피역(성균관 유생, 사학 유생, 향교 유생은 군역 면제) 시키는 대신 돈을 징수하는 모입(冒入)을 20명까지 둘 수 있도록 함.
☞ 사액 시 지급되는 노비를 포함하여 7명까지의 노비를 둘 수 있게 함.
⑩서원의 발전과 폐단
전국 각지에 세워지며 학문 활동의 중심지이자 지방 사림의 정치적 근거지로 기능하였다. 서원을 기반으로 성장한 사림이 집권한데다 사액 서원이 되기를 희망하는 서원의 요구로 많은 사액 서원이 생겨났다. 명종 때 건립된 수가 17개소에 불과했던 서원이 선조 때는 100개가 넘었으며, 18세기 중반에는 전국에 700여 개소에 이르러 사립학교(서원)가 관립학교(향교)보다 많았다.
☞ 2018년 한국의 고등학교(2358개, 154만명)
숙종(肅宗, 재위 1674~1720) 때 131개의 서원에 사액을 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사액 서원이 남발되면서 교육 기관으로서의 기능보다는 특정 인물을 높이기 위하고 붕당의 근거지가 되는 등 폐단이 나타나자 영조(英祖, 재위 1724~1776) 때에는 사액을 중단하였다.
서원의 학문 연구와 제향의 순기능보다 끼리끼리 문화가 발생하며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켰다. 마치 과거제도는 사법고시나 행정고시처럼 그룹을 형성하며 자신들의 파워를 키웠고 누구 줄을 잡느냐에 따라 출세가도에 영향을 미쳤다.
⑪서원철폐
서원은 학연이 성행하고 너무 많이 설립되어 군역과 세금 문제 등 사회적 폐단이 발생하여 1871년(고종 8) 흥선 대원군(興宣大院君)이 서원철폐령(잔존 47개)을 내려 많이 없어졌다.
☞흥선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이후 남은 47개 서원 등(유네스코 등재 서원)

서원

주향인

건립

사액

소재지

崧陽書院(숭양서원)

文忠公 鄭夢周(정몽주)

1573년

1575년

경기도 개성

경기(12)

龍淵書院(용연서원)

文翼公 李德馨(이덕형)

1691

1692

경기 포천

江 漢 祠(강한사)

文靖公 宋時烈(송시열)

1785

1785

경기 여주

鷺江書院(노강서원)

忠烈公 朴泰輔(박태보)

1695

1697

경기 의정부

牛渚書院(우저서원)

忠烈公 趙憲(조헌)

1648

1675

경기 김포

坡山書院(파산서원)

文簡公 成渾(성혼)

1568

1650

경기 파주

德峰書院(덕봉서원)

忠貞公 吳斗寅(오두인)

1695

1700

경기 양성

顯 節 祠(현절사)

文正公 金尙憲(김상헌)

1688

1693

경기 광주

深谷書院(심곡서원)

文正公 趙光祖(조광조)

1650

1650

경기 용인

四忠書院(사충서원)

忠獻公 金昌集(김창집)

1725

1726

경기 과천

忠 烈 祠(충렬사)

文忠公 金尙容(김상용)

1642

1658

경기 강화

紀 功 祠(기공사)

壯烈公 權慄(권율)

1841

1841

경기 고양

遯巖書院(돈암서원)

文元公 金長生(김장생)

1634

1660

충청 연산

충청(5)

彰 烈 祠(장렬사)

文貞公 尹集(윤집)

1717

1721

충청 홍산

表 忠 祠(표충사)

文愍公 李鳳祥(이봉상)

1731

1736

충청 청주

魯江書院(노강서원)

文正公 尹煌(윤황)

1675

1682

충청 노성

忠 烈 祠(충렬사)

忠愍公 林慶業(임경업)

1697

1727

충청 충주

武城書院(무성서원)

文昌侯 崔致遠(최치원)

1615

1696

전라 태인

전라(3)

筆巖書院(필암서원)

文正公 金麟厚(김인후)

1590

1662

전라 장성

褒 忠 祠(포충사)

忠烈公 高敬命(고경명)

1601

1603

전라 광주

西岳書院(서악서원)

弘儒侯 薛聰(설총)

1561

1623

경상 경주

경상(14)

紹修書院(소수서원)

文成公 安珦(안향)

1543

1550

경상 순흥

金烏書院(금오서원)

忠節公 吉再(길재)

1570

1575

경상 선산

道東書院(도동서원)

文敬公 金宏弼(김굉필)

1605

1607

경상 현풍

藍溪書院(남계서원)

文獻公 鄭汝昌(정여창)

1552

1566

경상 함양

玉山書院(옥산서원)

文元公 李彦迪(이언적)

1573

1574

경상 경주

陶山書院(도산서원)

文純公 李滉(이황)

1574

1575

경상 예안

興巖書院(흥암서원)

文正公 宋浚吉(송준길)

1702

1705

경상 상주

玉洞書院(옥동서원)

翼成公 黃喜(황희)

1714

1789

경상 상주

忠 烈 祠(충렬사)

忠烈公 宋象賢(송상헌)

1605

1624

경상 동래

屛山書院(병산서원)

文忠公 柳成龍(류성용)

1613

1863

경상 안동

彰 烈 祠(창렬사)

文烈公 金千鎰(김천일)

선조때

1607

경상 진주

忠 烈 祠(충렬사)

忠武公 李舜臣(이순신)

1614

1723

경상 고성

褒 忠 祠(포충사)

忠剛公 李述原(이술원)

1738

1738

경상 거창

彰烈書院(창렬서원)

忠正公 朴彭年(박팽년)

1685

1699

강원 영월

강원(3)

忠烈書院(충렬서원)

忠烈公 洪命耉(홍명구)

1650

1652

강원 김화

褒 忠 祠(포충사)

忠武公 金應河(김응하)

1665

1668

강원 철원

淸 聖 廟(청성조)

淸惠侯 白夷(백이)

1691

1701

황해 해주

황해(4)

太 師 祠(태사사)

壯節公 申崇謙(신숭겸)

고려때

1796

황해 평산

文會書院(문회서원)

文成公 李珥(이이)

미상

황해 배천

鳳陽書院(봉양서원)

文純公 朴世采(박세채)

1695

1696

황해 장연

老德書院(노덕서원)

文忠公 李恒福(이항복)

1627

1687

함경 북청

함경(1)

三 忠 祠(삼충사)

武鄕侯 諸葛亮(제갈량)

1603

1668

평안 영유

평안(5)

武 烈 祠(무열사)

尙書 石星(석성)

1593

1593

평안 평양

忠 愍 祠(충민사)

忠壯公 南以興(남이흥)

1681

1682

평안 안주

表 節 祠(표절사)

忠烈公 鄭蓍(정시)

순조때

평안 정주

酬 忠 祠(수충사)

西山大師 休靜(휴정)

미상

1784

평안 영변

☞ 백이: 중국 상나라의 신하로 주나라의 곡식을 먹지 않겠다 하고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로 연명하다가 굶어 죽음
☞ 제갈량 : 삼국지에 나오는 촉나라 재상으로 유비, 관운장, 장비와 함께 함
☞ 석성 : 임진왜란 때 중국 명나라 병부상서로 조선 원군을 파견하는 결정함
☞ 휴정 :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을 일으켜 승병장 서산대사임
⑫ 일제 강점기와 해방 후 서원
서원은 일제강점기 때 지역 유림들이 복원하기도 했으나 동시에 일제가 강제로 철폐한 것도 있었고, 결정적으로 한국전쟁 때 상당수가 파괴되었다. 이 때문에 남은 서원은 남한에 36곳, 북한에 11곳이 전부이다. 한국전쟁 이후 지역 유림들이 일부 복원한 서원들이 있지만 소수에 불과하다.
성균관은 과거제 폐지되면서 제향 기능을 유지하다 해방 후 전국 유림대회가 열렸고 사립대학으로 바뀌고 성균대 총장과 성균관장은 심산 김창숙(金昌淑,1879~1962)이 취임했다.
★서원, 500년 전 인문학을 탐하다.(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PrWWh3fIXLI&t=880s
\na-;출처: 민족문화대백과, 구글, 네이버, 연합뉴스, 문화재청, 역사넷, 유튜브, 문화유산채널,서원
★대한민국의 세계문화유산(14개)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경주역사 유적지구

고인돌 유적

조선왕릉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수원 화성

창덕궁

백제 역사 유적지구

남한산성

제주 화산과 용암동굴

한국의 산사

한국의 서원

http://www.heritage.go.kr/heri/html/HtmlPage.do?pg=/unesco/korHeritageInfo.jsp
 

 
※ 원문보기
남계 서원(藍溪書院) 도동 서원(道東書院) 도산 서원(陶山書院) 돈암 서원(遯巖書院) 무성 서원(武城書院) 병산 서원(屛山書院) 소수 서원(紹修書院) 옥산 서원(玉山書院) 필암 서원(筆巖書院) # 서원
【여행】 문화재·역사·전
• 200년 전 조선 여성 패션
• 서원(書院)에 대해 알아봅니다.
• 을사늑약(조약) 장소, 중명전(重眀殿)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여행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서원 (3)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