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가사∙개화가사
2019년 7월
2019년 7월 18일
춘면곡(春眠曲)
2019년 7월 17일
백구사
농부가
2019년 7월 16일
권주가
2019년 6월
2019년 6월 25일
교훈가
2019년 6월 24일
거사가
2019년 6월 23일
about 가사∙개화가사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가사(歌辭) 십이가사(十二歌詞) 춘면곡(春眠曲) # 평민 가사
【학습】
(2019.07.18. 14:19) 
◈ 춘면곡(春眠曲)
작자·연대 미상의 십이가사. 임을 여의고 괴로워하는 사나이가 기생집에 들러 춘흥에 탐닉함으로써 모든 괴로움을 잊어버리려는 심리를 표현한 작품으로, 육감적이고 퇴폐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목   차
[숨기기]
봄잠[계절적배경]을 늦게 깨여 대나무 창을 반쯤여니
뜰의꽃은 활짝 피어있고 가던 나비는 꽃 위를 머무는 듯
강기슭의 버들은우거져서 성긴 안개를 띠었구나.
창앞에 덜 익은 술을 두 세잔 먹은 후에
호탕한미친흥[취기가오름]을 부질없이 자아내어
백마타고 금채찍 들고(호사스런행장으로) 기생집(흥청망청 놀수있는 곳)을 찾아가니
꽃향기는 옷에 배고 달빛은 뜰에 가득한데[시각적, 청각적 이미지로 기생집의 분위기를 묘사함]
광객인듯 취객인 듯 흥에 겨워 머무는 듯
이리저리거닐다면서 기웃거리다가유정히[풍치있게] 섰노라니
푸른기와와 붉은 난간이 있는 높은집에 연두저고리와다홍치마를 입은 아름다운 여인이
비단으로 가린 창을 반쯤 열고고운 얼굴을 잠깐들어
웃는 듯 반기는 듯 요염한 자태로 머무는듯하구나.
은근한눈빛을 하고 녹기금을 비스듬히 안고
맑고 청아한 노래 한곡으로 봄흥취를자아내니
운우 양대상에 초몽이 다정하다[초나라양왕이 꿈속에서 선녀와 운우지정(남녀간의교접)을 나누던전설을 인용하고 있음]
사랑도 그지없고[끝이없고] 연분도깊을시고
이 사랑 이 연분 비길데가 전혀 없다[야유원의아름다운 여인과 사랑을 나눔]
두손목을 마주 잡고 평생을 약속함이
너는 죽어 꽃이 되고나는 죽어 나비가 되어
청춘이 다 지나가도록 떠나 살지 말자 하더니
인간이 말이많고 조물주도 시기하여[세상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두 사람의 사랑을 조물주조차 샘을 내어]
새로운정을 다 펴지 못하고 애달프지만이별이라
 
맑은 강에 놀던 원앙[화자와여인을 비유한 말] 울면서 떠나는 듯
거센 바람에놀란 벌과 나비[화자와여인을 자연물에 비유적으로 표현] 가다가 돌아오는 듯
석양은 다져 가고 멀리 갈 때 타는 말은 자주 울 때
비단으로 만든 적삼을 부여잡고 침울한 마음으로 이별한 후에
슬픈노래긴 한숨[여인과헤어진 슬픔과 안타까움]을 벗을 삼아 돌아오니
이제 임하여 생각하니 원수로다
간장[간과창자로 마음을 뜻함]이모두 썩으니[여인에대한 그리움으로 애가 탐] 목숨인들 보전하겠는가
몸에 병이드니 모든 일에 무심해져
서창[서재의창문]을굳게 닫고 허약하게[힘없이] 누워 있으니
꽃같은 얼굴에 달같은 모습은 눈앞에삼삼하고[아른거리고]
아름다운 여인이 거처하는 방이베갯머리에 떠오르는구나.
꽃떨기에 이슬이 맺히니[이별의슬픔을 자연물에 빗대어 표현] 이별의 눈물을 뿌리는 듯
버들막에 안개가끼니 이별의 맺힌한을 머금은 듯
사람 없는 빈산에 달이 비쳐 두견새이 피를 토하며울 때
슬프구나저 새소리 내 마음 같은 두견새라
 
삼경에 못든 잠을[전전반측] 사경에 간신히 드니
마음속으로품고 있던 우리 님을 꿈 속에서 잠깐 보고
천 가지 시름 만 가지 한[이별의한을 의미] 못다말하고 부질 없는 꿈이 되니
아리따운 미인이 곁에 얼핏 앉아 있는듯
아아황홀하다 꿈을 생시로 삼고 싶구나
자지 않고 탄식하며 (잠자리를 걷어차고) 바삐 일어나바라보니
구름낀 산 첩첩히 천 리의 꿈을 가렸고
흰 달[화자의정서를 심화시키는 객관적 상관물]은 창창하여님을 향한 마음을 비춰 주는구나
아아 내 일이야 나도 모를일이로다
이리저리 그리워하면서 어찌그리 못 보는고
화자와 임을가로막는 장애물로 모든 것이 가라앉는 약수 삼천 리 멀다는 말이 이런데를 이르는 것이구나.
애인과의좋은 시절은 끊어지고 세월이 많이 흘러서
 
엊그제 꽃이 강언덕의 버드나무 가에 붉더니
그사이 세월이재빠르게 지나가 낙엽 떨어지는 소리가 나는구나
새벽 서리 지는달에 외기러기 슬피 울 때
반가운 님의 소식 행여 올까 바랐더니
아득한 구름밖에비 소리뿐이구나
지루하다 이 이별이 언제면 다시 만나 볼까
산머리에 조각달[화자의분신으로 임에게 가고 싶은 화자의 마음을 자연물을 통해 표현함] 되어님의 곁에 비치고 싶구나
돌 위의 오동되어 님의 무릎 베고 싶구나.
지붕 위의 아침 해에 제비되어 날고싶구나.
옥창 앵도화에 나비되어 날고 싶구나.
태산이평지되고 금강이 다 마르나[임에대한 그리움을 과장되게 표현]
평생 슬픈 회포 어디에 비교하겠는가
책 속에미인이 있음[공부를열심히 하면 아름다운 아내를 얻을 수 있음]은나도 잠깐 들었으니
마음을고쳐먹고 정신을 가다 듬어서
장부의 공명을 끝까지 이룬 후에
그때 임을 다시 만나 오래오래 살겠노라[임과의재회 기약, 회자정리].
 

 
 

1. 요점 정리

 
• 작자 : 미상
• 연대 : 미상(중종~선조 연간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
• 형식 : 십이가사의 하나로 평민 가사
• 성격 : 연모가, 애상적
• 구성 :
서사 : 봄날 야유원에 놀러가 여인을 만남
본사 1 : 여인과 사랑을 나눔
본사 2 : 여인과 이별하고 돌아옴
본사 3 : 이별의 슬픔
본사 4 : 여인에대한 생각으로 탄식함
본사 5 : 세월이 흘러도 여인을 기다림
본사 6 : 여인과 함께 있고 싶은 소망
결사 : 장부의 광명을 이룬 후 여인을다시 만나겠다고 다짐
• 주제 : 임을 여의고 괴로워하는 사나이의 심정을 그린 것 / 이별의 안타까움과임에 대한 그리움
• 표현 : 직유법과
• 특징 : 청각적,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임을 그리워하는 정서를 드러낸작품으로 4분의 7박자의 도드리장단에 계면조(슬프고 애타는 느낌을 주는음조) 가락을 취하고 있으며, 6~7종의 가집에 실려 전하고 다른 이별가와는달리 사랑하는 여인을 그리워하는 남성의 비가로 남녀 간의 사랑과 이별의슬픔을 진솔하게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음.
 
 

2. 내용 연구

1) 봄잠
2) 대나무 창문
3) 반쯤열다
4) 들에 핀 꽃
5) 꽃이 활짝 핀 모양을 나타낸다
6) 강기슭의버들
7) 우거진 모양
8) 흰 말타고 금채찍들고
9) 주색에 빠져흥청망청 놀수 있는곳
10) 꽃향기
11) 뜰안에 가득하다
12) 목적없이 이리저리 거닐면서 여기저기 기웃거림
13) 푸른 기와와붉은 난간
14) 연두저고리와 다홍치마라는 뜻으로, 젊은 여인의 고운옷차림을 말하는 것이다
15) 紗로 바른 창
16) 옥같이 아름다운미인의 얼굴
17) 여자의 요염한 자태
18) 여자의 정을 나타내는은근한 눈짓
19) 은근히
20) 녹기금인 듯하다. 녹기금은 현악기의일종이다.
21) 맑고 청아한 노래 한 곡
22) 초나라 회왕이 꿈속에서선녀를 만났다는 전설을 인용한 것으로, 남녀간의 사랑행위를 뜻하는것이다. 초혜왕(楚惠王)의 꿈으로 송옥(宋玉)의 '여신부(女神賦)'에나오는 말.즉 초혜왕이 양대(陽臺)에서무산지녀(巫山之女)와 정사(情事)를 맺었다는 고사에서온 말. 남녀간에 정교(情交)를 맺는 것을 '雲雨陽臺'라고 함.
23) 봄석달을 이르는 말
24) 새정을 다 펴지 못하여
25) 벌과 나비
26) 매여둔 말
27) 부녀자들이 입던 예복의 종류
28) 슬픔으로 마음이어둡고 침울함
29) 어색한 모양
30) 꽃같은 얼굴에 달같은 모습
31) 눈앞에 삼삼하고
32) 희게 꾸민 벽과 깁을 바른 창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가 거처하는 방을 이르는 것이다
33) 연잎
34) 이슬이 맺힌 것
35) 이별의 눈물
36) 사람이 없는적적한 산에 비치는 달
 
• 공산야월에 ~ 네 말같이 불여귀라 : 달밝은 밤에 슬피 우는 두견새에 자신의 외롭고 쓸쓸한 마음을 의탁해서표현한 것으로 감정이입으로 볼 수 있다.
37) 두견새를 이르는 말
38) 천가지의수심과 만가지의 원한
39) 부질없는 꿈을 의미함
 
• 천수만한못 다 일러 일장호접 흩어지니 : 상투적인 표현으로 꿈속에서 임을 만나지만 마음에 품은 말을 다하지못함
• 옥빈홍안 : 옥 같은 귀밑머리와 붉은 얼굴
• 무침허희 : 잠을 못 자고 탄식함
40) 아주 맑고밝게 비치는 달
41) 억수같이 내리는 비를 맡고가는 머나먼 길
• 약수삼천 리 멀단 말이 이런 때를 일러라 : '약수'는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 서쪽의 전설속의 강을 가리키는데, 길이가 3,000리나 디며 부력이 매우 약하여 기러기의 털도 가라앉는다고한다. 임과 자신 사이에는 약수가 있어 도저히 만날 가능성이 없음을표현하여 이별의 슬픔을 강조하기 위한 말로 단절감을 표현함
42) 좋은 언약, 미인과 만날 약속
43) 2월의 꽃이
44) 그 사이
45) 재빨라서 걷자을 수가 없음, 또는 걷잡을 수 없이 갑작스러움을 이르는말
46) 넓고 멀어서 아득한
• 지리타 : 지리하다
47) 산머리에 조각달 되어, 이 대목은송강 정철이 쓴 '속미인곡'의 마지막 문구를 모방한 것
48) 오동나무로 거문고와 같은 악기를 만들기 때문에 이르는 말
 
편월과오동은 화자의분신으로 임을 만나고 싶은 간절한 마음이 투영되어 있다.
• 공산의 잘새되어북창에 가 우니고저 : 잘새는자러 들어가는 새로 화자의 분신임
• 옥상조량에 제비되여 날고지고 : 조양은아침 햇볕 / 제비는 화자의 분신
• 옥창 앵도화에나비되어 날고지고 : 여인의 방 / 나비는 화자의 분신
49) 가을하리 : 견주리, 비교하리.
50) 책을 읽자하니 애인의 얼굴이 책위에 나타난다는말
51) 의기가 북받치어 한탄하고 분개하는 마음
52) 공을 세워널리 알려진 이름
 
 

3. 이해와 감상

임을 여의고 괴로워하는 사나이가 기생집에 들러 춘흥에 탐닉함으로써 모든 괴로움을 잊어버리려는 심리를 표현한 작품으로, 육감적이고, 퇴폐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모두 7마루(절)로 되어 있고, 노래할 때 속소리인 가성(假聲)을 많이 사용하며, 요성법은중심음에서 4도위의 음을 떨어주는 서도(西道)소리의 특징을 지니고있다. '청구영언', '고금가곡', '해동악부', '남훈태평가', '고금기사','가곡원류' 등에 실려 전해 오고 있으며, 이와 같이 저명한 가곡집에두루 실려 있는 것으로 보면, 이 가사는 퍽 널리 알려진 노래임을 알수 있다.
 
남녀간의 상사(相思)와 별한(別恨)을 내용으로하고 있는 평민 가사로, 6∼7종의 가집(歌集)에 실려 있고, 4분의 7박자 도들이 장단에 가락은 계면조(界面調)이며, 내용은 임을 여의고괴로워하는 사나이의 심정을 그린 것으로, 다소 퇴폐적이기는 하나 정감이넘치는 노래로 십이가사 중에서도 걸작으로 꼽힌다.
 
 

4. 이해와 감상1

작자·연대 미상의 십이가사. 임을 여의고 괴로워하는 사나이가 기생집에 들러 춘흥에 탐닉함으로써 모든 괴로움을 잊어버리려는 심리를 표현한 작품으로, 육감적이고 퇴폐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가사 중 우수한 작품의 하나이다. 모두 7마루〔節〕로 되어 있다. 노래할 때 속소리〔假聲〕를 많이 사용하며, 요성법(搖聲法)은 중심음에서 4도 위의 음을 떨어주는 서도(西道)소리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퇴성법(退聲法)은 태주(太, F)에서 황종(黃, Eb)으로 하행할 때와 무역(無, Db)에서 임종(林, Bb)으로 하행할 때 태주와 무역을 퇴성하는 예가 많이 보이며, 전성법(轉聲法)은 시조·가곡과 같다.
조는 계면조(界面調)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마루마다 음악이 끝날 때는 4도 위로 상행하여 사라지는 듯 가볍게 종지한다.
노래의 반주는 없어도 무방하나 반주를 사용할 때는 노래부르는 대로 슬며시 따라 하는 수성(隨聲)가락으로 피리·대금·장구 등으로 편성하며 해금을 곁들이기도 한다. 장단은 4분의 6이며, 속도는 ♩=30 정도이다. 하규일(河圭一)에 의하여 전창되어 오늘에 이른다.
≪청구영언≫·≪협률대성 協律大成≫ 등에 사설이 전하며, ≪삼죽금보 三竹琴譜≫에 거문고보로, ≪일사금보 一蓑琴譜≫에 양금보로 전한다. 사설내용은 따뜻한 봄날에 한 바람둥이와 아리따운 아가씨와의 상사지념(相思之念)을 그린 것이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춘면(春眠)을 느짖깨여 죽창(竹窓)을 반개(半開)하니/정화(庭花)는 작작(灼灼)헌데 가는 나비들 머무는 듯/안류(岸柳)는 의의(依依)허여 성긴 내를 띄○세라/창전(窓前)에 들 고인 술을 이삼배 (二三盃) 먹은 후에……(후략).
 
≪참고문헌≫ 歌詞譜(李珠煥, 國立國樂院, 1966), 國樂總論(張師勛, 正音社, 1976), 河圭一·林基俊 傳唱 十二歌詞(張師勛, 서울大學校 出版部, 1980).(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심화 자료

십이가사 (十二歌詞)
 
중종(中宗)~선조(宣祖) 연간에 발생한 듯하나확실하지 않으며, 《가곡원류(歌曲源流)》에 실려 전한다. 《백구사(白鷗詞)》《죽지사(竹枝詞)》 《어부사(漁父詞)》 《행군악(行軍樂:길군악)》《황계사(黃鷄詞)》 《춘면곡(春眠曲)》 《상사별곡(相思別曲)> 《권주가(勸酒歌)》《처사가(處士歌)》 《양양가(襄陽歌)》 《수양산가(首陽山歌)> 《매화가(梅花歌)》 등 12편으로, 이 중 《어부사》만은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가 개작한것이고 나머지 11편은 모두 작자 ·연대 미상이다. 십이가사는하규일(河圭一) ·임기준(林基俊)에 의하여 그 유음(遺音)이 전창(傳唱)되었으며, 하규일은 조선 후기의 가단(歌壇)에 군림하였던 박효관(朴孝寬) ·안민영(安玟英)의문하를 거친 사람이다. 십이가사의 특징을 들면 다음과 같다.
 
① 시조와 마찬가지로 음계는 대개 계면조(界面調)로이루어지고 향제(鄕制)에 속한다. ② 십이잡가(十二雜歌)와 마찬가지로단조로운 가락의 되풀이가 많다. ③ 십이잡가와 다른 점은 내용보다도창조(唱調)에 있다. ④ 정격(正格)과 변격(變格)의 두 가지 형으로 나뉜다. ⑤ 가곡 남창(歌曲男唱)과는 달리 세청을 쓴다. ⑥ 《상사별곡》 《처사가》《양양가》는 5박자계에 속하고, 나머지는 굿거리장단의 변형인 4분의 6박자 도드리장단에 속하나, 《권주가》만은 일정한 박자와 장단이 없다. ⑦ 가곡창법보다 격조가 낮으므로 아악과 민속악의 중간에 위치한 음악으로볼 수 있다. (출처 동아대백과사전)
가사(歌辭) 십이가사(十二歌詞) 춘면곡(春眠曲) # 평민 가사
【학습】 가사∙개화가사
• 태평사(太平詞)
• 춘면곡(春眠曲)
• 처사가 (處士歌)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