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제연구소라는 시민단체에서 발간한 대한민국의 일제강점기 당시 친일반민족행위자들에 관한 인명사전. 2009년 11월 8일 공개되었으며, 총 3권으로 이루어져있다.
민문연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에서 선정한 구한말 이래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친일 인물들의 구체적인 반민족행위와 해방 이후 주요행적 등이 기록되었다. 총 4,776여 명이 수록되었다.
친일인명사전의 편찬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2001년부터였다. 친일문제 연구에 평생을 바친 재야사학자
임종국의 뜻을 이어 1991년에 설립된
민족문제연구소는 이후 10년간 사전 발간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을 해왔고, 마침내 2001년 120여 명의 학자들로 구성된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를 발족하면서 본격적인 사전 제작에 착수했다.
8년에 걸친 제작기간 동안 친일인명사전은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는데, 2004년에는 여야의 정치 투쟁 도구로 이용되는 바람에 대한민국 국회에서 민족문제연구소의 예산을 전액 삭감한 적도 있었다. 이를 알고 분노한 네티즌들이 국회 예산보다 더 많은 성금을 모아 전달하기도 했다.
2008년 4월 29일에는 발간에 앞서 친일인명사전의 수록대상자 명단을 발표하고 기자회견을 가졌다. 발표된 명단은 큰 논란을 야기했고, 편찬위원회는 5월부터 7월까지 2달간 이의신청을 접수하고, 이후 지속적인 논의 끝에 최종명단을 확정하고, 2009년 11월 8일에 완성된 사전을 공개했다. 숙대에서 발간 국민보고대회가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대관이 취소되어 대신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개최되었다.
민간 단체에서 발간한 사전이므로 국가 기관인 대한민국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에서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이나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보고서」와는 다르므로 유의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