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허전(許㙉)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허전 (許㙉)
[? ~ ?] 조선시대 선조조의 인물로 정확한 활동 사항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수광(李睟光:1563~1628)의 《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고공가〉는 당시 진사로 무과에 급제하였던 허전이 지은 것이다”라는 기록을 남겼다.
◈ 지식지도 관계
허전 (許㙉) 가사 (歌辭) 고공가 (雇工歌) 고공답주인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고공가 雇工歌 가사 허전(許唆) (72)
◈ 조회순
2019.06.24
【학습】 조선 중기에 이원익(李元翼)이 지은 가사. 허전(許唆)이 지은 〈고공가 雇工歌〉에 화답한 가사이다. ‘고공답가(雇工答歌)’라고도 한다. 임진왜란을 겪은 뒤 명신이던 이원익이 지었다 하며, 순조 때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잡가 雜歌≫라는 노래책에 실려 전한다.
2019.06.24
【학습】 조선 중기에 허전(許唆)이 지은 가사. 순조 때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잡가 雜歌≫라는 노래책에 실려 있다. 작품 전체는 110행이다. 이 작품은 임진왜란 직후에 선조가 지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왔으나, 이수광(李邈光)의 ≪지봉유설≫에 의하면 이는 잘못 전해진 것이고, 실제의 작자는 허전(許唆)이라고 한다.
 
◈ 최근등록순
2019.06.24
【학습】 조선 중기에 이원익(李元翼)이 지은 가사. 허전(許唆)이 지은 〈고공가 雇工歌〉에 화답한 가사이다. ‘고공답가(雇工答歌)’라고도 한다. 임진왜란을 겪은 뒤 명신이던 이원익이 지었다 하며, 순조 때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잡가 雜歌≫라는 노래책에 실려 전한다.
2019.06.24
【학습】 조선 중기에 허전(許唆)이 지은 가사. 순조 때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잡가 雜歌≫라는 노래책에 실려 있다. 작품 전체는 110행이다. 이 작품은 임진왜란 직후에 선조가 지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왔으나, 이수광(李邈光)의 ≪지봉유설≫에 의하면 이는 잘못 전해진 것이고, 실제의 작자는 허전(許唆)이라고 한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가사 (6) 백과 고공가 (3) 백과
◈ 참조 키워드
가사 (2) 백과 고공가 (2) 백과 고공답주인가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