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세검정(洗劍亭)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세검정 (洗劍亭)
서울 창의문(彰義門) 밖에 있던 정자다. 조선 영조 24년(1748년)에 세웠다. 그 이름은 인조반정 때 이귀·김유 등 이곳에 모여 광해군 폐위를 결의하고 칼날을 세웠다는 데서 유래했다. 1976년 11월 11일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 지식지도 관계
세검정 (洗劍亭) 문화재 (文化財) 누정 (樓亭) 북인 (北人) 붕당 정치 사색 당파 (四色黨派) 영국 공신 대북파 (大北派) 공서 (功西) 1575 서인 (西人) 1623 정사 공신 (靖社功臣) 1627 정묘호란 (丁卯胡亂) 종로구 (鍾路區) 1326 경포대 (鏡浦臺) 1644년 1623년 1557 이귀 (李貴) 1571 김류 (金瑬) 주화파 (主和派) 1534 송익필 (宋翼弼) 1535 성혼 (成渾) 1535 정인홍 (鄭仁弘) 1536 이이 (李珥) 1546 신립 (申砬) 1548 김여물 (金汝岉) 1560 이이첨 (李爾瞻) 1574 임해군 (臨海君) 1575 신경진 (申景禛) 1576 모문룡 (毛文龍) 1581 이시백 (李時白) 1584 인목 왕후 (仁穆王后) 1587 이괄 (李适) 1589 김경징 (金慶徵) 1601 김자점 (金自點) 1606 영창 대군 (永昌大君) 1608 광해군 (光海君) 1623 인조 (仁祖)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592 탄금대 전투 1644 심기원 옥사 경복궁 경회루 광한루 (廣寒樓) 부벽루 (浮碧樓) 의상대 (義湘臺) 촉석루 (矗石樓) 고석정 (孤石亭) 영남루 (嶺南樓) 환벽당 (環碧堂) 1275 죽서루 (竹西樓) 1448 제주 관덕정 (觀德亭) 1533 면앙정 (俛仰亭) 1560 식영정 (息影亭)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유세검정기 游洗劍亭記 고전 수필 다산 정약용 (5)
유숙필세검정도
[회화] 유숙필세검정도
유숙(劉淑) ()
(5)
◈ 조회순
2020.05.26
세검정(洗劍亭)과 차일암(遮日岩)
【여행】 세검정 삼거리의 석파랑(서예가 손재형 옛 가옥)에서 세검정로를 따라 올라가면 세검정(洗劍亭)이 나온다.
2020.06.23
북악 스카이 웨이(정릉~세검정) 걷다.
【여행】 성북구 정릉과 사직공원을 연결하는 드라이브 코스인 북악 스카이웨이는 자동차 전용 도로였다가 노무현 대통령 때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물론 군부대 지역이 있어 제한적이지만 정릉의 하늘 한마당에서 하늘 전망대를 거쳐 북악 팔각정을 지나 세검정쪽으로 내려왔다. 찻길 옆이지만 한번 걸어볼 만한 코스다.
2020.06.01
절단 복원된 홍지문(弘智門)
【여행】 북한산 갈 때 세검정 근처에 있는 큰 대문이 보이는데 홍지문(弘智門, 漢北門)이다. 조선 숙종 때 지어진 홍지문은 탕춘대성(蕩春臺城)의 성문이다. 일제 강점기 홍수로 유실된 것을 1977년 복원할 때 인왕산 쪽이 잘려서 복원되었다.
2020.05.13
인왕산 숲길(개미마을 → 세검정 삼거리)
【여행】 인왕산(仁王山)은 서울 서쪽에 있는 산으로 약 340m 높이의 산이다. 휴일이면 많은 분들이 찾는데 산행객이 많은 코스는 청운공원 코스(한양도성 성곽길), 사직공원 코스, 무악동 코스 등이지만 세검정 삼거리 코스도 있다. 산행객이 드문 세검정 산행 코스를 홍제 3동 개미마을에서 출발해 홍심 약수터를 거쳐 세검정 삼거리로 내려오는 산길(약 50분 소요)을 소개합니다. 주변에 석파랑, 홍지문, 세검정을 함께 볼 수 있으며 걷기에 부담이 적고 그늘진 숲길 코스라 추천합니다.
 
◈ 최근등록순
2020.06.23
북악 스카이 웨이(정릉~세검정) 걷다.
【여행】 성북구 정릉과 사직공원을 연결하는 드라이브 코스인 북악 스카이웨이는 자동차 전용 도로였다가 노무현 대통령 때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물론 군부대 지역이 있어 제한적이지만 정릉의 하늘 한마당에서 하늘 전망대를 거쳐 북악 팔각정을 지나 세검정쪽으로 내려왔다. 찻길 옆이지만 한번 걸어볼 만한 코스다.
2020.06.01
절단 복원된 홍지문(弘智門)
【여행】 북한산 갈 때 세검정 근처에 있는 큰 대문이 보이는데 홍지문(弘智門, 漢北門)이다. 조선 숙종 때 지어진 홍지문은 탕춘대성(蕩春臺城)의 성문이다. 일제 강점기 홍수로 유실된 것을 1977년 복원할 때 인왕산 쪽이 잘려서 복원되었다.
2020.05.26
세검정(洗劍亭)과 차일암(遮日岩)
【여행】 세검정 삼거리의 석파랑(서예가 손재형 옛 가옥)에서 세검정로를 따라 올라가면 세검정(洗劍亭)이 나온다.
2020.05.13
인왕산 숲길(개미마을 → 세검정 삼거리)
【여행】 인왕산(仁王山)은 서울 서쪽에 있는 산으로 약 340m 높이의 산이다. 휴일이면 많은 분들이 찾는데 산행객이 많은 코스는 청운공원 코스(한양도성 성곽길), 사직공원 코스, 무악동 코스 등이지만 세검정 삼거리 코스도 있다. 산행객이 드문 세검정 산행 코스를 홍제 3동 개미마을에서 출발해 홍심 약수터를 거쳐 세검정 삼거리로 내려오는 산길(약 50분 소요)을 소개합니다. 주변에 석파랑, 홍지문, 세검정을 함께 볼 수 있으며 걷기에 부담이 적고 그늘진 숲길 코스라 추천합니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탕춘대성 (2) 백과
◈ 참조 키워드
종로구 (3) 백과 석파랑 (2) 백과 홍지문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북한 자강도 만포시에 있는 조선후기 무신 박남여 관련 누정.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