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시대에 축조된 산성. 내성과 외성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높이 4m, 너비 4m이다. 내성의 평면은 타원형이며 성벽은 돌을 한 줄로 쌓은 단축 성벽이다. 사각추형으로 다듬은 성돌로 면과 선을 잘 맞추어 견고하게 쌓았다.
이 성벽은 조선시대에 고쳐 쌓았으므로 고구려식 축조형식은 성벽의 밑바닥 부분에서 일부 찾아볼 수 있다.
외성은 내성의 남쪽 벽을 북쪽 벽으로 삼고 내성에 붙여 쌓은 장방형 성으로, 1692년(숙종 18)에 쌓았다. 성첩은 위가 평평한 평가퀴이며 2~4m간격으로 사혈, 즉 활 쏘는 구멍을 하나씩 내었다.
내성에는 북문과 서문, 외성에는 동문과 서문이 있으며 또한 내성과 외성 사이를 통하는 문이 있다.
이 성은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의병장
정봉수(鄭鳳壽)가 수천 명의 의병을 지휘하여 압록강을 건너 침입해오는 후금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물리치고 승리한 곳으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