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놀이터
::
훈민가(訓民歌)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훈민가 (訓民歌)
조선 선조 때 정철이 지은 연시조. 「경민가(警民歌)」라고도 한다.【송강가사】
작품
:
작품 > 한국문학 > 시조
조선 선조 때
정철
이 지은 연시조. 「경민가(警民歌)」라고도 한다.
지은이가 선조 13년(1580년)에 강원도 관찰사로 가 있을 때, 백성들에게 도덕을 깨우치기 위하여 지은 것으로, 전16수로 이루어져 있다.
삼강 오륜을 바탕으로 하여 효도 와 우애 등 사람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도리를 읊은 내용이다.
《
송강가사
》에 실려 전한다.
[숨기기]
훈민가
(訓民歌)
조선 선조 때
정철
이 지은 연시조.
선조 13년(1580년)에 강원도 관찰사로 가 있을 때,
백성들에게 도덕을 깨우치기 위하여 지은 것으로,
전16수로 이루어져 있다.
《
송강가사
》에 실려 전한다.
◈ 지식지도
관계
훈민가
(訓民歌)
1580
연시조
(連時調)
1575
동인
(東人)
1575
서인
(西人)
가사 문학
(歌辭文學)
고전 문학
(古典文學)
시조
(時調)
어부가
(漁父歌)
한국 문학
(韓國文學)
1589년
1536
정철
(鄭澈)
1360
맹사성
(孟思誠)
1493
송순
(宋純)
1496
임억령
(林億齡)
1501
이황
(李滉)
1510
김인후
(金麟厚)
1513
유희춘
(柳希春)
1527
기대승
(奇大升)
1535
성혼
(成渾)
1536
이이
(李珥)
1561
박인로
(朴仁老)
1569
권필
(權韠)
1587
윤선도
(尹善道)
1595
정종명
(鄭宗溟)
1600
정양
(鄭瀁)
송강가사
(松江歌辭)
강호사시가
고산구곡가
고산유고
(孤山遺稿)
1580
관동별곡
(關東別曲)
도산십이곡
매화사
(梅花詞)
성산별곡
(星山別曲)
속미인곡
(續美人曲)
송강집
(松江集)
오륜가
(五倫歌)
오우가
(五友歌)
장진주사
(將進酒辭)
호아곡
(呼兒曲)
1588
사미인곡
(思美人曲)
1601
조홍시가
1651
어부사시사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훈민가
訓民歌
시조
정철
(226)
◈ 참조 원문/전문
송강가사(2)
松江歌辭下
총서
정철
(51)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시조
(4)
백과
윤선도
(4)
백과
정철
(4)
백과
관동별곡
(3)
백과
오륜가
(3)
백과
가사 문학
(2)
백과
강호사시가
(2)
백과
견회요
(2)
고산구곡가
(2)
백과
도산십이곡
(2)
백과
동인
(2)
백과
만흥
(2)
매화사
(2)
백과
비가
(2)
사미인곡
(2)
백과
성산별곡
(2)
백과
속미인곡
(2)
백과
어부가
(2)
백과
어부사시사
(2)
백과
오우가
(2)
백과
조홍시가
(2)
백과
호아곡
(2)
백과
◈ 참조 키워드
관동별곡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
내메모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관련 의견 모두 보기
▫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정철
작품 (
연시조
)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