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한반도의 남서부에 자리잡고 있는 도. 동부는 경상 남북도, 남부는 전라 남도, 북부는 충청 남북도와 각각 이웃해 있고, 서부는 황해에 맞닿아 있다.
|
|
|
지역 : 지역 > 한국
한반도의 남서부에 자리잡고 있는 도. 동부는 경상 남북도, 남부는 전라 남도, 북부는 충청 남북도와 각각 이웃해 있고, 서부는 황해에 맞닿아 있다.
면적 : 8,042.95㎢
인구 : 206만 9,848명(1990년 11월)
행정 구분 : 6시 13군 12읍 147면 도청 소재지 : 전주시
도의 꽃 : 백일홍
도의 새 : 까치
도의 나무 : 은행나무
자연
지형은 노령 산맥과 소백 산맥이 남부와 동부로 치우쳐 있어 노령 산맥을 경계로 하여 서부 평야 지대와 동부 산악 지대의 둘로 크게 나뉜다. 서부 평야 지대는 황해 연안에서 노령 산맥 기슭에 이르기까지의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의 호남 평야를 가리킨다. 그리고 동부 산악 지대란 노령 산맥 과 소백 산맥 사이의 지역으로 진안 고원과 장계 분지, 장수 분지, 남원 분지, 오수 분지가 두루 포함된다.
만경강 은 노령 산맥의 서쪽 비탈에서 시작되는 고산천, 소양천, 전주천 등의 지류를 합쳐서 완주, 익산, 김제, 옥구를 거쳐 황해로 흘러든다. 그리고 동진강은 남부 평야 일대에 물을 대어 주고 있으나 수량이 많은 편은 아니며, 유역 면적도 넓지 않다.
해안은 평야지의 지반이 내려앉아 이루어진 침강 해안으로 비교적 복잡한 편이다. 그러나 군산 반도 나 진봉 반도의 해안선은 간척 사업으로 해안선이 직선 으로 바뀐 곳이 많으며, 변산 반도의 계화도 지역은 간척 사업으로 이루어진 땅이다. 또 황해상에는 여러 섬들이 흩어져 있다.
기후
기후는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서부 평야 지대는 남부 해안형이고, 동부 산악 지대는 남부 내륙형에 속한다. 평야에서 내륙 산지로 갈수록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크고, 연강수량이 많아진다.
산업
전라 북도는 한반도의 곡창 지대로서 경지율이 도 전체의 30%에 이르고 있어 충청 남도 다음으로 경지율이 높은 도이다. 총 경지 면적은 24만 610ha인데, 논이 18만 6,499ha, 밭이 5만 4,111ha이다. 또 농가 가구수는 18만 8,264 가구(1991년 10월)로 호당 경지 면적은 1.28ha이다. 토지 이용은 논 위주로 쌀이 주산물이 되고 있다. 그러나 동부 산지로 갈수록 밭농사 중심으로 바뀌는데, 고구마, 보리 등 식량 작물 과 고랭지 채소 등 원예 작물, 잎담배와 인삼 등 공예 작물 도 많이 생산된다. 도시 근교에서는 양돈, 양계 및 젖소 사육이 성하고, 산간 지대에서는 한우 사육과 양봉도 많이 하고 있다.
수산업은 황해의 고군산 군도를 중심으로 활기를 띠고 있으며, 군산항을 근거지로 삼아 조기, 갈치, 새우 등을 주로 잡고 있다. 그러나 수산 인구는 도 전 인구 의 2%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공업은 군산의 제지, 목재 등이 이전부터 알려져 있으나 전주에 공단, 이리에 수출 자유 지역, 군산에 공단이 계획되면서 새로이 활기를 띠고 있다. 공업의 내용별로는 전주 공단에서는 섬유, 제지, 식품 공업이 중심이 되고 있고, 이리 공단에서는 귀금속, 섬유, 피혁, 전자 공업, 군산 공단에서는 합판, 양조 공업이 중심이 되고 있다.
교통· 관광
전라 북도에는 호남선, 전라선, 군산선 철도가 놓여 있고, 호남 고속 도로가 거쳐 가고 있는데, 전주, 이리, 남원 등지가 육상 교통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그리고 황해의 여러 섬과 충청 남도의 장항과는 배편으로 연락된다. 특히 군산과 어청도 간은 명령 항로로 되어 있다.
관광 자원으로는 내장산, 지리산, 덕유산 등의 국립 공원, 변산 반도 와 모악산 등의 도립 공원이 있다. 그리고 전주시 일대에서는 풍남문, 조경단, 경기전, 오목대, 한벽루 등이 유명하고, 동부 산악 지역에서는 무주군의 구천동, 덕유산, 적상 산성 등이 손꼽힌다. 진안군에는 금당사, 청황사, 마이산, 운일암, 반일암, 풍혈 냉천 등이 있다. 고창군의 읍성, 선운사, 동호 해수욕장, 향교 등이 있으며, 서북 해안에서는 선유도 해수욕장과 고군산 군도를 손꼽는다.
|
◈ 조회순
|
【풍경작가 김도형】
(0) | 2019.08.01
|
2025.02.25
|
|
|
【문화】
서울 용산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열린 "비격진천뢰" 강좌를 듣고 자료를 정리해 봅니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일본의 조총이라는 신무기에 놀라서 조선군이 혼비백산했다고 배웠다. 조선은 한양이 함락되는 등 임진왜란 개전 초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꾸준히 개발한 각종 화약무기를 적극 활용하여 반격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
|
|
|
2024.01.05
|
|
|
【향토】
덕치면 물우리 섬진강변에 세워진 월파정(月波亭)은 조선식 건축양식으로 정교한 조각과 우아한 선, 화려한 단청이 주변 경관과 잘 어우러져 선경(仙境)을 빚어놓고 있다. 특히 섬진강 맑은 물이 급류로 흐르다가 바위 사이를 감돌아 월파정 아래에 이르면 소(沼)가 되어 유유자적하며, 강기슭의 기암괴석과 천 년 묵은 낙락장송이 함께 조화를 이루어 마치 한 폭의 산수화를 연산하게 하고 있다.
|
|
|
|
2024.01.01
|
|
|
【향토】
이 재실은 임실읍 신정리 마을 입구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 입향조인 청주 한씨(淸州 韓氏) 韓빈의 재실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 기와집으로 현판이 2개, 주련이 4개 걸려있다.
|
|
|
|
2024.01.05
|
|
【향토】
삼국시대 때 임실군의 위상을 이해하는 데 산성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만경강에서 섬진강유역으로 진입하는 길목인 슬치 주변에 산성이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호남정맥 산줄기가 그다지 험준하지 않아 일찍부터 사람들의 왕래가 많았던 곳이 슬치이다.
|
|
|
|
2024.01.04
|
|
|
【향토】
인류가 불을 처음 이용하고 돌을 깨뜨려 만든 뗀석기와 나무나 뼈로 만든 도구를 사용한 시기를 구석기시대라고 한다. 인류의 역사에서 99% 이상을 차지한다. 임실군에 사람들이 처음 살기 시작한 것은 후기 구석기시대로 추정된다. 임실군 신평면 가덕리 하가유적에서 뗀석기와 몸돌, 슴베찌르개, 각추상석기, 나이프형석기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
|
|
|
2024.01.02
|
|
|
【향토】
이 재실은 오수면 오암리에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현대식 벽돌 양옥집이다. 지붕은 팔작 기와로 현판이 1개, 주련이 3개 걸려있다.
|
|
|
|
2024.01.05
|
|
|
【향토】
화락정은 오수면 주천리 마을 북쪽에 자리 잡고 있다. 주천리 노산아래에 자리 잡은 화락정은 현풍곽씨 문중에서 마을의 부노(父老)들이 서로 모여 저수지 위에 높고 시원한 땅을 골라서 물가 쪽에 돌을 쌓고 정자 하나를 세우고서 화락정(和樂亭)이라고 이름 하였다.
|
|
|
|
2024.01.04
|
|
|
【향토】
삼계면 어은마을에 있는 화수당은 이 지역에 거주하는 청주한씨의 재실로 팔작 기와지붕에 정면 5칸 측명 2칸으로 1940에 지었다고 한다. 담장은 흙돌 담장인 조선식담장으로 되어 있다. 이곳에는 주련이 4개가 있고 안에는 현판 4개가 걸려 있다.
|
|
|
◈ 최근등록순
|
【풍경작가 김도형】
(0) | 2019.08.01
|
2025.02.25
|
|
|
【문화】
서울 용산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열린 "비격진천뢰" 강좌를 듣고 자료를 정리해 봅니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일본의 조총이라는 신무기에 놀라서 조선군이 혼비백산했다고 배웠다. 조선은 한양이 함락되는 등 임진왜란 개전 초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꾸준히 개발한 각종 화약무기를 적극 활용하여 반격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
|
|
|
2024.11.29
|
|
|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군산 선유도 해역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선유도 해역이 고대, 중세뿐 아니라 근세에도 서해 연안항로의 기착지로 활발하게 활용되었음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들을 발굴하였다.【국립해양유산연구소, 수중발굴과】
|
|
|
|
2024.11.19
|
|
|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은 11월 29일 오후 7시 30분과 30일 오후 4시에 국립무형유산원 대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다양한 아리랑 공연을 통해 ‘조화와 공존’의 메시지를 전하는 「WITH 무형유산」을 개최한다.【국립무형유산원】
|
|
|
|
2024.10.31
|
|
|
【문화】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규모가 크고, 모양과 생육상태도 뛰어나며, 지역의 역사를 같이 한 노거수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와 「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를 국가지정자연유산 천연기념물로 각각 지정한다.【동식물유산과】
|
|
|
|
2024.10.04
|
|
|
【문화】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10월 4일 오후 5시 김제 망해사(전북 김제시)에서 지난 6월 자연유산 명승으로 지정된 「김제 진봉산 망해사 일원」의 지정 기념행사를 개최한다.【명승전통조경과】
|
|
|
|
2024.09.30
|
|
|
【문화】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익산시(시장 정헌율)와 10월 1일 오후 2시에 고도(古都)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 도시인 익산의 방문객들에게 백제왕도 핵심유적의 역사·문화 정보를 통합적으로 소개하고, 지역 주민을 위한 쉼터로 활용될 복합문화공간인 「고도 한눈愛 익산 세계유산센터」의 개관식을 개최한다. 이어서 오후 3시에는 ‘한韓 문화의 발상지 익산, 가치정립과 활용방안’을 주제로 개관 기념 학술대회를 연다.【고도보존육성팀】
|
|
|
|
2024.09.25
|
|
|
【문화】
국가유산청 만인의총관리소(소장 임동훈)는 오는 26일 오후 3시 남원 만인의총(萬人義塚, 전북 남원시)에서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 당시 왜적에 맞서 싸우다 순절한 호국선열의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한 순의제향(殉義祭享)을 거행하며, 이에 앞서 오후 2시에는 ‘만인의총역사문화관’의 개관행사를 개최한다.【만인의총관리소】
|
|
|
|
2024.09.20
|
|
|
【문화】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10월 15일(화)과 22일(화), 29일(화) 오후 7시에 총 3회에 걸쳐 국립무형유산원 소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2024 하반기 책마루 인문학 강연>을 개최한다.【조사연구기록과】
|
|
|
|
2024.09.19
|
|
|
【문화】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이 주최하고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최영창)이 주관하는 「2024년 세계유산축전」이 9월 23일 고령 지산동 고분군(9.23.~10.6.)을 시작으로 오는 10월까지 백제역사유적지구(공주·부여·익산/9.27.~10.17.), 순천(선암사‧순천갯벌/10.1.~10.31.), 제주(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10.11.~10.22.)에서 순차적으로 열린다.【교육활용과】
|
|
|
|
2024.08.26
|
|
|
【문화】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국립중앙과학관(관장 권석민), 전북 무주군(군수 황인홍)과 함께 8월 3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최북미술관 특별전시실(전북 무주군)에서 자연유산·자연사자원 공동학술조사 연구 성과 특별전시 「자연을 품은 도시, 자연특별시 무주」를 개최한다.【동식물유산과】
|
|
|
|
2024.08.07
|
|
|
【문화】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오랫동안 마을과 관아에서 지역의 역사를 같이 한 노거수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와 「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를 국가지정자연유산 천연기념물로 각각 지정 예고한다.【동식물유산과】
|
|
|
|
2024.07.17
|
|
|
【문화】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고창 문수사 대웅전(高敞 文殊寺 大雄殿)」과 「의성 고운사 가운루(義城 孤雲寺 駕雲樓)」를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하였다.【건축유산팀】
|
|
|
|
2024.07.02
|
|
|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은 오는 10월 20일까지 5차례(7.13./7.20./8.10./8.24./10.20.)에 걸쳐 토요일/일요일 오후 4시,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2024 <이수자뎐(傳)>’을 개최한다.【국립무형유산원】
|
|
|
|
2024.06.25
|
|
|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최인화)는 6월 26일 총 2회(오후 2시, 3시)에 걸쳐 완주 상운리 원상운 고분군의 3차 발굴조사 성과를 일반 국민에게 공개하는 ‘발굴현장 오픈 데이’ 행사를 개최한다.【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
|
|
|
|
2024.06.17
|
|
|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은 6월(6.28.∼29.)과 8월(8.30.∼31.) 총 4회에 걸쳐 국립무형유산원 대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무형유산에 기반한 실험적이고 예술적인 공연 <2024 무형유산 너나들이>를 선보인다.【국립무형유산원, 공연협력팀】
|
|
|
|
2024.06.14
|
|
|
【문화】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6월 14일 오전 10시 대전 KW컨벤션(대전 서구)에서 「백제의 사찰」을 주제로 2024년 백제왕도 핵심유적 학술대회를 개최한다.【역사문화권과】
|
|
|
|
2024.06.11
|
|
|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소장 임승경)는 6월 12일 오전 10시와 오후 3시에 익산 미륵사 중원 금당지 발굴조사의 성과를 국민에게 공개하는 현장 설명회를 개최한다.【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
|
|
|
|
2024.05.30
|
|
|
【문화】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의 허가를 받아 익산시(시장 정헌율)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소장 유지원)가 발굴조사 중인 익산토성(사적)에서 백제의 집수시설이 조사되었으며, 집수시설 안에서는 ‘칠피갑옷조각(편)’이 출토됨에 따라 30일 오후 2시 30분에 관련 전문가와 일반인에게 공개한다.【문화유산국, 역사문화권과】
|
|
|
|
2024.05.20
|
|
|
【문화】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국립박물관, 지자체(공주, 부여, 익산), (재)백제세계유산센터 등 8개 기관과 함께 5월 27일부터 6월 2일까지 일주일간 충남 공주시·부여군, 전북 익산시 일대에서 2024 「백제문화유산주간」을 개최한다.【문화유산국, 역사문화권과】
|
|
|
|
2024.05.09
|
|
|
【문화】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윤순호)은 5월 21일(화), 5월 28일(화), 6월 11일(화) 오후 7시에 총 3회에 걸쳐 국립무형유산원 소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2024 상반기 ‘책마루’ 문화프로그램 인문학 강연>을 개최한다.【국립무형유산원, 조사연구기록과】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 참조정보
▣ 분류정보 (상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