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이항복(李恒福)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이항복 (李恒福)
[1556 ~ 1618] 조선 선조 때의 문신. 호는 백사(白沙), 필운(弼雲), 동강(東岡)이고, 시호는 문충 (文忠)이다.
이항복 (李恒福) [1556 ~ 1618] 조선 선조 때의 문신. 호는 백사(白沙), 필운(弼雲), 동강(東岡)이고, 시호는 문충 (文忠)이다. 1580년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1589년에 정여립의 모반 사건이 일어나자 예조 정랑으로서 이를 수습하여 평난공신이 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는 선조를 의주까지 모신 공으로 오성군에 봉해지고, 병조 판서로서 국난을 잘 처리하여 영의정이 되는 한편, 1602년에는 오성 부원군에 봉해졌다. 1617년에 당파 싸움이 일어나 인목 대비를 폐하자는 폐모론이 나오자, 이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북청으로 귀양가서 일생을 마쳤다. 그는 어려서부터 슬기롭고 재치 있는 장난을 즐겼다 하며, 한음 이덕형과는 각별히 친하여 그들 사이의 많은 일화가 전한다. 주요 저서 백사집》 《주소계의》 《사례훈몽》 등
◈ 지식지도 관계
이항복 (李恒福) 1556 (미정의) 이몽량 1585 이정남 (李井男) 1537 권율 (權慄) 1536 이이 (李珥) 1572 이명준 (李命俊) 오성과 한음 1590 평난공신 기호 학파 (畿湖學派) 부르봉가 여진족 (女眞族) 주자학 (朱子學) 1575 서인 (西人) 1368 (明) 양주시 (楊州市) 1617년 1602년 1589년 16세기 (16世紀) 17세기 (17世紀) 1600년대 1610년대 1580년대 1623년 1627년 1611년 1614년 1619년 1590년 1598년 1636 (淸) 1539 정여립 (鄭汝立) 1561 이덕형 (李德馨) 1584 인목 왕후 (仁穆王后) 1501 이황 (李滉) 1504 신 사임당 (申師任堂) 1515 노수신 (盧守愼) 1534 송익필 (宋翼弼) 1535 성혼 (成渾) 1536 정철 (鄭澈) 1538 김성일 (金誠一) 1539 이산해 (李山海) 1544 조헌 (趙憲) 1544 이발 (李潑) 1545 이순신 (李舜臣) 1547 이원익 (李元翼) 1554 김시민 (金時敏) 1567 선조 (宣祖) 1606 영창 대군 (永昌大君) 1608 광해군 (光海君) 동인도 회사 백사집 (白沙集) 계축일기 (癸丑日記) 성학집요 (聖學輯要) 1602 곤여만국전도 1589 기축옥사 (己丑獄事)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592 경주 전투 (慶州戰鬪) 1592 진주성 전투 1592 한산도 대첩 1593 행주 대첩 (幸州大捷) 1597 정유재란 (丁酉再亂)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통영 충렬묘비 統營 忠烈廟碑 기록물(기타) 송시열 (10) 논난후제장공적 論亂後諸將功蹟 고전 수필 이항복 (2)
◈ 참조 원문/전문
◈ 조회순
2020.05.06
【--】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1556-1618, 자 자상子常, 호 백사白沙·필운弼雲·동강東岡) 종가宗家 기증품을 최초로 공개하는 ‘시대를 짊어진 재상: 백사 이항복 종가 기증전’(2020.5.6.~9.13.)을 개최한다.【미술부】
2019.11.21
【--】 국립중앙박물관 배기동 관장은 “오늘날 우리나라를 둘러싼 국제 정세는 오성부원군과 같은 명재상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이처럼 귀한 큰 선물에 보답하고자 잘 연구하고 전시하여 많은 관람객들에게 선보이겠습니다.”라고 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항복 종가 기증 기념 전시를 내년 2020년 3월부터 7월까지 상설전시실 서화관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유물관리부】
 
◈ 최근등록순
2020.05.06
【--】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1556-1618, 자 자상子常, 호 백사白沙·필운弼雲·동강東岡) 종가宗家 기증품을 최초로 공개하는 ‘시대를 짊어진 재상: 백사 이항복 종가 기증전’(2020.5.6.~9.13.)을 개최한다.【미술부】
2019.11.21
【--】 국립중앙박물관 배기동 관장은 “오늘날 우리나라를 둘러싼 국제 정세는 오성부원군과 같은 명재상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이처럼 귀한 큰 선물에 보답하고자 잘 연구하고 전시하여 많은 관람객들에게 선보이겠습니다.”라고 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항복 종가 기증 기념 전시를 내년 2020년 3월부터 7월까지 상설전시실 서화관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유물관리부】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성혼 (7) 백과 이황 (7) 백과 임진왜란 (7) 백과 김장생 (6) 백과 이순신 (6) 백과 인조 반정 (6) 백과 광해군 (5) 백과 야담 (5) 백과 영창 대군 (5) 백과 이덕형 (5) 백과 계축옥사 (4) 백과 기자헌 (4) 백과 유영경 (4) 백과 이원익 (4) 백과 정묘호란 (4) 백과 조선 (4) 백과 1613년 (3) 백과 1954년 (3) 백과 권율 (3) 백과 김동인 (3) 백과 김명원 (3) 백과 김육 (3) 백과 김제남 (3) 백과 류성룡 (3) 백과 명종 (3) 백과 선조 (3) 백과 송시열 (3) 백과 수필 (3) 백과 유홍 (3) 백과 윤두수 (3) 백과 이괄의 난 (3) 백과 이귀 (3) 백과 이산해 (3) 백과 인목 왕후 (3) 백과 정철 (3) 백과 한응인 (3) 백과 허욱 (3) 1590년 (2) 백과 1623년 (2) 백과 1937년 (2) 백과 격몽요결 (2) 백과 경연일기 (2) 백과 국립 중앙 박물관 (2) 백과 기축옥사 (2) 백과 김귀영 (2) 김응남 (2) 노수신 (2) 백과 대북파 (2) 백과 병자호란 (2) 백과 설화 (2) 백과 성학집요 (2) 백과 소북파 (2) 백과 송익필 (2) 백과 신 사임당 (2) 백과 신경진 (2) 백과 심수경 (2) 백과 심희수 (2) 백과 심희수 (2) 윤근수 (2) 백과 율곡전서 (2) 백과 이명 (2) 이명선 (2) 백과 이이 (2) 백과 이이첨 (2) 백과 이정암 (2) 백과 이준경 (2) 백과 이헌국 (2) 정구 (2) 백과 정인홍 (2) 백과 주자학 (2) 백과 최흥원 (2) 백과 허준 (2) 백과 홍섬 (2) 백과
◈ 참조 키워드
이명선의 이야기 (2) 임진왜란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부 : 이몽량
자 : 이정남
친인척 : 권율(장인)
스승 : 이이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