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이원익(李元翼)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이원익 (李元翼)
[1547~1634]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오리(梧里)이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1608년에 이이가 이루지 못한 대동법을 실시하여 불합리한 세금 제도를 고치는 등 한평생 국민의 살림 걱정을 하였으나, 그 자신은 가난하여 비가 오면 지붕이 새고 병이 들어도 약을 지어 먹을 돈이 없었다 한다. 청렴한 관리로 이름이 높아 많은 일화를 남겼으며, 특히 문장에 뛰어났다.
이원익 (李元翼) [1547~1634]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오리(梧里)이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당색으로는 동인(東人)이었으나 정여립의 옥사를 계기로 동인이 분당될 때 남인이 되었다 광해군 때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 학문적으로는 이황의 학맥을 계승하여 남인에 학통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윤휴, 허목, 이순신 등의 인척 저서로 《오리집》 《속오리집》 《오리일기》 등
◈ 지식지도 관계
이원익 (李元翼) 1547 1595 허목 (許穆) 1617 윤휴 (尹鑴) 대동법 (大同法) 1575 동인 (東人) 1591 남인 (南人) 1604 호성 공신 가사 (歌辭) 기호 학파 (畿湖學派) 북인 (北人) 사색 당파 (四色黨派) 영남 학파 주리론 (主理論) 주자학 (朱子學) 대북파 (大北派) 1575 서인 (西人) 1674 예송 논쟁 (禮訟論爭) 1608년 17세기 (17世紀) 1600년대 1680년 1575년 1501 이황 (李滉) 1536 이이 (李珥) 1545 이순신 (李舜臣) 1491 이언적 (李彦迪) 1501 조식 (曺植) 1504 신 사임당 (申師任堂) 1526 정탁 (鄭琢) 1533 윤두수 (尹斗壽) 1534 송익필 (宋翼弼) 1535 성혼 (成渾) 1536 정철 (鄭澈) 1538 김성일 (金誠一) 1542 류성룡 (柳成籠) 1542 이우 (李瑀) 1543 정구 (鄭逑) 1556 이항복 (李恒福) 1561 이덕형 (李德馨) 1563 정경세 (鄭經世) 1587 윤선도 (尹善道) 1610 윤선거 (尹宣擧) 1610 허적 (許積) 1622 유형원 (柳馨遠) 1762 정약용 (丁若鏞) 고공답주인가 난중일기 (亂中日記) 도산십이곡 성학집요 (聖學輯要) 율곡전서 (栗谷全書) 고공가 (雇工歌) 1908 이순신전 (李舜臣傳)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592 한산도 대첩 1597 정유재란 (丁酉再亂) 1574 도산 서원 (陶山書院) 1661 척주 동해비 거북선 ([龜船])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갑진만필 1절 甲辰漫筆 1節 총서 윤국형(尹國馨) (1)
◈ 조회순
2024.07.29
33. 평안남도 안주 칠불사를 찾아서
【문화】 개천읍(价川邑)을 등지고 안주(安州)로 향해서 떠나려 하니 뿌옇게 온 하늘이 가라앉아, 눈이 금시에 내릴듯하다. 먼 산이 구름 같기도 하고 바다에 뜬 섬 같기도 한데, 안개 속에 우뚝우뚝 솟은 뫼뿌리가 멀리 보인다. 개천역(价川驛)에서 안주(安州)로 가는 기차를 탔다. 만포선(滿浦線)과 이어지는 이 철도(鐵道)는 비교적 승객이 많다. 통학(通學)하는 학생들도 눈에 뜨인다. 광산전용철도(鑛山專用鐵道)가 신안주(新安州)에서 천동(泉洞)으로 달리는 것이 눈에 보인다.
2019.06.24
【학습】 조선 중기에 이원익(李元翼)이 지은 가사. 허전(許唆)이 지은 〈고공가 雇工歌〉에 화답한 가사이다. ‘고공답가(雇工答歌)’라고도 한다. 임진왜란을 겪은 뒤 명신이던 이원익이 지었다 하며, 순조 때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잡가 雜歌≫라는 노래책에 실려 전한다.
 
◈ 최근등록순
2024.07.29
33. 평안남도 안주 칠불사를 찾아서
【문화】 개천읍(价川邑)을 등지고 안주(安州)로 향해서 떠나려 하니 뿌옇게 온 하늘이 가라앉아, 눈이 금시에 내릴듯하다. 먼 산이 구름 같기도 하고 바다에 뜬 섬 같기도 한데, 안개 속에 우뚝우뚝 솟은 뫼뿌리가 멀리 보인다. 개천역(价川驛)에서 안주(安州)로 가는 기차를 탔다. 만포선(滿浦線)과 이어지는 이 철도(鐵道)는 비교적 승객이 많다. 통학(通學)하는 학생들도 눈에 뜨인다. 광산전용철도(鑛山專用鐵道)가 신안주(新安州)에서 천동(泉洞)으로 달리는 것이 눈에 보인다.
2019.06.24
【학습】 조선 중기에 이원익(李元翼)이 지은 가사. 허전(許唆)이 지은 〈고공가 雇工歌〉에 화답한 가사이다. ‘고공답가(雇工答歌)’라고도 한다. 임진왜란을 겪은 뒤 명신이던 이원익이 지었다 하며, 순조 때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잡가 雜歌≫라는 노래책에 실려 전한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이순신 (6) 백과 임진왜란 (6) 백과 조선 (6) 백과 정유재란 (5) 백과 가사 (4) 백과 류성룡 (4) 백과 이항복 (4) 백과 광해군 (3) 백과 권율 (3) 백과 명종 (3) 백과 선조 (3) 백과 유영경 (3) 백과 이덕형 (3) 백과 이이 (3) 백과 이황 (3) 백과 인조 반정 (3) 백과 허욱 (3) 1598년 (2) 백과 1627년 (2) 백과 1636년 (2) 백과 가야산 (2) 백과 가토 기요마사 (2) 백과 공납 (2) 백과 기자헌 (2) 백과 김상용 (2) 백과 김상헌 (2) 백과 김성일 (2) 백과 김시민 (2) 백과 김응남 (2) 도요토미 히데요시 (2) 백과 동인 (2) 백과 (2) 백과 병자호란 (2) 백과 북인 (2) 백과 성주군 (2) 백과 소북파 (2) 백과 송시열 (2) 백과 신경진 (2) 백과 신립 (2) 백과 심수경 (2) 백과 심희수 (2) 윤두수 (2) 백과 이괄의 난 (2) 백과 이명 (2) 이준경 (2) 백과 정묘호란 (2) 백과 정인홍 (2) 백과 정창연 (2) 백과 정철 (2) 백과 (2) 백과 최명길 (2) 백과 최흥원 (2) 백과 한백겸 (2) 백과 한응인 (2) 백과 허준 (2) 백과 홍섬 (2) 백과
◈ 참조 키워드
고공가 (2) 백과 최명길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당색 : 동인 (남인)
제자 : 허목, 윤휴
목록 참조
【원문】고공답주인가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