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놀이터
::
옹고집 타령(雍固執打令)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옹고집 타령 (雍固執打令)
판소리 열두 마당 중의 하나. 작자나 연대는 미상이다. 판소리 창본, 즉 사설로는 지금까지 전해지나 불리지는 않고 조선 시대 후기 송만재의 《관우희》나 정노식의 《조선 창극사》에만 그 기록이 실려 있다.
작품
:
작품 > 음악.무용
판소리 열두 마당
중의 하나. 작자나 연대는 미상이다. 판소리 창본, 즉 사설로는 지금까지 전해지나 불리지는 않고 조선 시대 후기
송만재
의 《
관우희
》나
정노식
의 《
조선 창극사
》에만 그 기록이 실려 있다.
심술궂고 인색하며 불효한 옹고집을 한 도승이 새사람이 되게 한다는 이야기를 사설로 엮은 것이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옹고집 타령
(雍固執打令)
판소리
고대 소설
(古代小說)
동편제
(東便制)
서편제
(西便制)
중고제
(中高制)
판소리계 소설
1940년
송만재
(宋晩載)
1899
정노식
(鄭魯湜)
고수관
(高壽寬)
김찬업
(金贊業)
정춘풍
(鄭春風)
주덕기
(朱德基)
김계철
(金啓喆)
신만엽
(申萬葉)
염계달
(廉季達)
모흥갑
(牟興甲)
1711
유진한
(柳振漢)
1772
권삼득
(權三得)
1801
송흥록
1819
이날치
(李捺致)
1835
박유전
(朴裕全)
1847
정창업
(丁昌業)
1906
박녹주
(朴錄珠)
1907
김연수
(金演洙)
1909
정광수
(丁珖秀)
1916
박초월
(朴初月)
1917
김소희
(金素姬)
1927
정권진
1939
조상현
(趙相賢)
19C중
박만순
(朴萬順)
19C초
송우룡
(宋雨龍)
19C초
김세종
(金世宗)
1922
조선 물산 장려회
1946
남조선노동당
1946
민주주의민족전선
옹고집전
관우희
(觀優戲)
1940
조선창극사
강릉 매화 타령
변강쇠타령
(----打令)
수궁가
(水宮歌)
심청가
(沈淸歌)
적벽가
(赤壁歌)
춘향가
(春香歌)
흥부가
(興夫歌)
무숙이타령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옹고집전
壅固執傳
고전 소설
(178)
◈ 조회순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판소리
2019.07.18
◈
옹고집타령(壅固執打令)
【학습】
판소리 계열 고대소설의 국문본, 판소리로 불리어질 때 ‘옹고집타령’이라고 한다.
3
|
옹고집 타령
,
판소리
◈ 최근등록순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판소리
2019.07.18
◈
옹고집타령(壅固執打令)
【학습】
판소리 계열 고대소설의 국문본, 판소리로 불리어질 때 ‘옹고집타령’이라고 한다.
3
|
옹고집 타령
,
판소리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고대 소설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
내메모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관련 의견 모두 보기
▫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옹고집전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