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1694 ~ 1776] 조선 제21대 왕(재위 1724~1776년). 숙종의 넷째 아들로 이름은 금(昑)이고, 호는 양성헌(養性軒)이다.
|
|
|
인물 : 인물 > 한국
[1694 ~ 1776] 조선 제21대 왕(재위 1724~1776년). 숙종의 넷째 아들로 이름은 금(昑)이고, 호는 양성헌(養性軒)이다.
경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자 당쟁을 없애기 위하여 탕평책을 쓰고, 인재를 고루 등용하였다. 한편 가혹한 형벌을 없애고 인권을 존중하였으며, 신문고 제도를 부활하여 백성들이 억울함을 직접 알리도록 하였다. 또한 사치와 낭비 생활을 고치고, 농업을 장려하여 백성들의 생활 안정에 힘쓰는 한편, 균역법을 실시하여 세금을 공평하게 거두도록 하고, 군사 훈련과 총을 만들게 하였다.
또 한편으로는 학문에도 힘써 《 속대전(續大典)》 《 해동악장》 《 동국문헌비고》 등의 많은 책을 편찬하게 하였다.
재위 기간 동안에 이인좌의 난과 사도 세자의 비극도 있었으나, 사회, 경제, 문화, 풍속 등 각 방면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 즉위 이전
→ 1694 숙종과 숙빈 최씨 사이에서 출생
→ 1699 연잉군에 봉해짐
→ 1720 경종 즉위
→ 1721 세제 책봉 - 노론의 건의를 경종과 인원왕후가 허락
→ 1721 노론은 연잉군의 대리청정을 추진
→ 1724 경종 승하
■ 즉위 이후
→ 1724 즉위
→ 1729 기유처분 → 본격적으로 탕평책 시작하여 정치가 안정되고, 왕권이 강화됨
→ 1731 노비종모법 시행 → 양인의 수 증가
→ 1744 국조 속오례의 편찬
→ 1746 속대전 편찬
→ 1750 균역법 시행 - 군역 부담 경감
→ 1776 승하 - 묘호 ‘영종’ → 1890 고종 대 ‘영조’로 고쳐 올림
3정승
• 최규서 (영의정), 이광좌 (좌의정), 유봉휘 (우의정)
• 이광좌 (영의정), 유봉휘 (좌의정), 조태억 (우의정)
• 이광좌 (영의정), 조태억 (좌의정), 정호 (우의정)
• 이광좌 (영의정), 정호 (좌의정), 민진원 (우의정)
• 정호 (영의정), 민진원 (좌의정), 이관명 (우의정)
• 정호 (영의정), 이관명 (좌의정), 홍치중 (우의정)
• 정호 (영의정), 홍치중 (좌의정), 조도빈 (우의정)
• 정호 (영의정), 홍치중 (좌의정), 이의현 (우의정)
• 이광좌 (영의정), 조태억 (좌의정), 홍치중 (우의정)
• 이광좌 (영의정), 조태억 (좌의정), 심수현 (우의정)
• 이광좌 (영의정), 홍치중 (좌의정), 오명항 (우의정)
• 이광좌 (영의정), 홍치중 (좌의정), 이태좌 (우의정)
• 홍치중 (영의정), 이태좌 (좌의정), 이집 (우의정)
• 홍치중 (영의정), 이집 (좌의정), 조문명 (우의정)
• 홍치중 (영의정), 조문명 (좌의정), 서명균 (우의정)
• 심수현 (영의정), 서명균 (좌의정), 김흥경 (우의정)
• 이의현 (영의정), 서명균 (좌의정), 김흥경 (우의정)
• 김흥경 (영의정), 서명균 (좌의정), 김재로 (우의정)
• 김흥경 (영의정), 김재로 (좌의정), 송인명 (우의정)
• 이광좌 (영의정), 김재로 (좌의정), 송인명 (우의정)
• 이광좌 (영의정), 김재로 (좌의정), 유척기 (우의정)
• 이광좌 (영의정), 김재로 (좌의정), 송인명 (우의정)
• 김재로 (영의정), 송인명 (좌의정), 조현명 (우의정)
• 김재로 (영의정), - (좌의정), 정석오 (우의정)
• 김재로 (영의정), 정석오 (좌의정), 민응수 (우의정)
• 김재로 (영의정), 조현명 (좌의정), - (우의정)
• 김재로 (영의정), 조현명 (좌의정), 김약로 (우의정)
• - (영의정), 조현명 (좌의정), 김약로 (우의정)
• 조현명 (영의정), 김약로 (좌의정), 정우량 (우의정)
• 김재로 (영의정), 김약로 (좌의정), 정우량 (우의정)
• 김재로 (영의정), 조현명 (좌의정), 이천보 (우의정)
• 김재로 (영의정), 이종성 (좌의정), 이천보 (우의정)
• 이종성 (영의정), 이천보 (좌의정), 김상로 (우의정)
• 김재로 (영의정), 이천보 (좌의정), 조재호 (우의정)
• 이천보 (영의정), 김상로 (좌의정), 조재호 (우의정)
• 이천보 (영의정), 김상로 (좌의정), 신만 (우의정)
• 유척기 (영의정), 김상로 (좌의정), 신만 (우의정)
• 유척기 (영의정), 신만 (좌의정), 이후 (우의정)
• 유척기 (영의정), 김상로 (좌의정), 신만 (우의정)
• 이천보 (영의정), 김상로 (좌의정), 신만 (우의정)
• 김상로 (영의정), 신만 (좌의정), 이후 (우의정)
• 김상로 (영의정), 이후 (좌의정), 민백상 (우의정)
• 이천보 (영의정), 이후 (좌의정), 민백상 (우의정)
• - (영의정), - (좌의정), 홍봉한 (우의정)
• - (영의정), 홍봉한 (좌의정), 정휘량 (우의정)
• 홍봉한 (영의정), 정휘량 (좌의정), 윤동도 (우의정)
• 신만 (영의정), 홍봉한 (좌의정), 윤동도 (우의정)
• 홍봉한 (영의정), 윤동도 (좌의정), 김상복 (우의정)
• 홍봉한 (영의정), 김상복 (좌의정), 김치인 (우의정)
• 홍봉한 (영의정), 김치인 (좌의정), 서지수 (우의정)
• 홍봉한 (영의정), 윤동도 (좌의정), 김치인 (우의정)
• 홍봉한 (영의정), 김치인 (좌의정), 김양택 (우의정)
• 윤동도 (영의정), 김치인 (좌의정), 김양택 (우의정)
• 서지수 (영의정), 한익모 (좌의정), 김상철 (우의정)
• 김치인 (영의정), 한익모 (좌의정), 김상철 (우의정)
• 김치인 (영의정), 김양택 (좌의정), 한익모 (우의정)
• 김치인 (영의정), 한익모 (좌의정), 이창의 (우의정)
• 홍봉한 (영의정), 한익모 (좌의정), 이창의 (우의정)
• 홍봉한 (영의정), 김양택 (좌의정), 김상철 (우의정)
• 홍봉한 (영의정), 김상복 (좌의정), 김상철 (우의정)
• 김치인 (영의정), 한익모 (좌의정), 김상철 (우의정)
• 김상복 (영의정), 신회 (좌의정), 한익모 (우의정)
• 김상복 (영의정), 한익모 (좌의정), 김상철 (우의정)
• 김상복 (영의정), - (좌의정), 신회 (우의정)
• 김상복 (영의정), 신회 (좌의정), 이창의 (우의정)
• 김상복 (영의정), 신회 (좌의정), 이은 (우의정)
• 김상복 (영의정), 신회 (좌의정), 이은 (우의정)
• 신회 (영의정), 이은 (좌의정), 이사관 (우의정)
• 김상복 (영의정), 김상철 (좌의정), 원인손 (우의정)
• 한익모 (영의정), 이창의 (좌의정), 이사관 (우의정)
• 김상복 (영의정), 김상철 (좌의정), 이사관 (우의정)
• 신회 (영의정), 이은 (좌의정), 원인손 (우의정)
• 한익모 (영의정), 이사관 (좌의정), 원인손 (우의정)
• 한익모 (영의정), 김상철 (좌의정), 원인손 (우의정)
• 김상복 (영의정), 김상철 (좌의정), 원인손 (우의정)
• 한익모 (영의정), 김상철 (좌의정), 원인손 (우의정)
• 김상복 (영의정), 김상철 (좌의정), 원인손 (우의정)
• 한익모 (영의정), 이은 (좌의정), 원인손 (우의정)
• 신회 (영의정), 김상철 (좌의정), 이사관 (우의정)
• 신회 (영의정), 이사관 (좌의정), 홍인한 (우의정)
• 한익모 (영의정), 홍인한 (좌의정), 이사관 (우의정)
• 김상철 (영의정), 이은 (좌의정), 이사관 (우의정)
• 김상철 (영의정), 신회 (좌의정), 이은 (우의정)
|
|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
|
|
[민화] 방구도
김두량(金斗樑) (1743년(영조 19))
(0)
|
◈ 참조 원문/전문
|
|
|
|
◈ 조회순
|
|
2024.02.22
|
|
|
【문화】
학술심포지엄 <영·정조 시대 서화 활용> 개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2024년 영조英祖(재위 1724-1776) 즉위 30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된 특별전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23.12.8.-‘24.3.10.) 연계 학술심포지엄 <영·정조 시대 서화 활용>을 개최한다.【미술부】
|
|
|
|
2023.12.07
|
|
|
【문화】
글과 그림으로 소통한 두 임금, 영조와 정조의 이야기 【미술부】
|
|
|
|
2019.12.18
|
|
|
【문화】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지병목)은 12월 문화행사로 오는 21일 토요일 낮 12시부터 조선왕조 여섯 임금의 어필과 이를 새긴 각석을 소개하고 겨울용 장갑도 증정하는 「여섯 임금, 열다섯 개의 어필각석을 찾아라」 행사를 개최한다.【기획운영과】
|
|
|
|
◈ 최근등록순
|
|
2024.02.22
|
|
|
【문화】
학술심포지엄 <영·정조 시대 서화 활용> 개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2024년 영조英祖(재위 1724-1776) 즉위 30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된 특별전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23.12.8.-‘24.3.10.) 연계 학술심포지엄 <영·정조 시대 서화 활용>을 개최한다.【미술부】
|
|
|
|
2023.12.07
|
|
|
【문화】
글과 그림으로 소통한 두 임금, 영조와 정조의 이야기 【미술부】
|
|
|
|
2019.12.18
|
|
|
【문화】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지병목)은 12월 문화행사로 오는 21일 토요일 낮 12시부터 조선왕조 여섯 임금의 어필과 이를 새긴 각석을 소개하고 겨울용 장갑도 증정하는 「여섯 임금, 열다섯 개의 어필각석을 찾아라」 행사를 개최한다.【기획운영과】
|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참조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