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맹사성(孟思誠)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맹사성 (孟思誠)
[1360 ~ 1438] 고려 말, 조선 초의 이름난 재상. 호는 고불(古佛), 또는 동포(東浦)이고,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맹사성 (孟思誠) [1360 ~ 1438] 고려 말, 조선 초의 이름난 재상. 호는 고불(古佛), 또는 동포(東浦)이고,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1386년(고려 우왕 12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초기에 여러 벼슬을 거쳐 우의정·좌의정에까지 올랐다. 1430년에 《태종실록》을 엮는 일을 감독하고, 이듬해에는 《팔도지리지》를 지어 세종에게 바쳤다. 그는 황희와 함께 조선 초기의 문화 발전에 크게 이바지 또한 몸가짐이 깨끗하여 청백리로 기록되었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그의 집 앞에는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작품 강호사시가
◈ 지식지도 관계
맹사성 (孟思誠) 1360 (미정의) 맹희도 1316 최영 (崔瑩) 청백리 (淸白吏) 고전 문학 (古典文學) 김장 대한민국 사적 (史蹟) 시조 (時調) 연시조 (連時調) 아산시 (牙山市) 1363 황희 (黃喜) 1321 신돈 (辛旽) 1353 길재 (吉再) 이영 (李寧) 최만리 (崔萬理) 김순 (金洵) 1392 조선 태조 (太祖) 1397 황치신 (黃致身) 1402 정창손 (鄭昌孫) 1407 황수신 (黃守身) 1417 박팽년 (朴彭年) 1431 김종직 (金宗直) 1434 허종 (許琮) 1467 이현보 (李賢輔) 1486 김정 (金淨) 1491 이언적 (李彦迪) 1497 백인걸 (白仁傑) 1499 이준경 (李浚慶) 1501 이황 (李滉) 1509 김취문 (金就文) 1516 심수경 (沈守慶) 1539 최경창 (崔慶昌) 1542 류성룡 (柳成籠) 1547 이원익 (李元翼) 1548 김장생 (金長生) 1556 이항복 (李恒福) 1570 김상헌 (金尙憲) 1581 이시백 (李時白) 1599 이중경 (李重慶) 1603 강백년 (姜栢年) 1693 이정보 (李鼎輔) 1902 박열 (朴烈) 1907 김연수 (金演洙) 1911 박영준 (朴榮濬)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강호사시가 1432 팔도지리지 1425 경상도 지리지 1454 세종실록지리지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1909 최도통전 1352 조일신의 난 1388 위화도 회군 아산 맹씨 행단 방촌영당 (尨村影堂) (미정의) 태종실록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강호사시가 江湖四時歌 시조 맹사성 (467)
◈ 참조 원문/전문
공당문답 公堂問答 근/현대 소설 차상찬 (9) 공당문답 公堂問答 근/현대 수필 김동인 (2) 맹고불 맹정승 근/현대 소설 차상찬 (1)
◈ 조회순
2024.09.21
【문화】 맹사성이는 조선시대때 공신(功臣)인데. 맹사성이 어릴때는 부모도 없고 혈혈단신(孑孑單身)으로 서울 장안으로 돌아다닌게라. 그때 서울 장안에는 아주 점을 잘치는 봉사가 하나 있었어. 맹사성이 사방으로 댕기다 보니. 봉사집에도 댕기곤 했는데. 봉사가 눈으로 보지는 못 하지면 맹사성이 하는 말씨며, 하는 행동이 아주 이상하거든.
2024.09.21
【문화】 조선시대 때, 맹사성이 안동부사로 오게 되었어. 맹사성이 안동부사로 와 보니 이상하게도 안동지방에 눈병 환자가 많은 게라. 맹사성은 풍수지리에 밝아서 안동지형을 가만히 살펴보니 안동의 지세가 눈병이 많은 지세거든.
 
◈ 최근등록순
2024.09.21
【문화】 조선시대 때, 맹사성이 안동부사로 오게 되었어. 맹사성이 안동부사로 와 보니 이상하게도 안동지방에 눈병 환자가 많은 게라. 맹사성은 풍수지리에 밝아서 안동지형을 가만히 살펴보니 안동의 지세가 눈병이 많은 지세거든.
2024.09.21
【문화】 맹사성이는 조선시대때 공신(功臣)인데. 맹사성이 어릴때는 부모도 없고 혈혈단신(孑孑單身)으로 서울 장안으로 돌아다닌게라. 그때 서울 장안에는 아주 점을 잘치는 봉사가 하나 있었어. 맹사성이 사방으로 댕기다 보니. 봉사집에도 댕기곤 했는데. 봉사가 눈으로 보지는 못 하지면 맹사성이 하는 말씨며, 하는 행동이 아주 이상하거든.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강호사시가 (5) 백과 시조 (5) 백과 연시조 (5) 백과 청구영언 (4) 백과 도산십이곡 (3) 백과 박연 (3) 백과 영녕릉 (3) 백과 오륜가 (3) 백과 이황 (3) 백과 조선 태종 (3) 백과 최항 (3) 백과 황희 (3) 백과 가사 (2) 백과 견회요 (2) 고려 가요 (2) 백과 고산구곡가 (2) 백과 고전 문학 (2) 백과 공당문답 (2) 관습 도감 (2) 백과 류관 (2) 만흥 (2) 매화사 (2) 백과 비가 (2) 사설 시조 (2) 백과 성삼문 (2) 백과 세종실록지리지 (2) 백과 신숙주 (2) 백과 야담 (2) 백과 어부가 (2) 백과 어부사시사 (2) 백과 엇시조 (2) 백과 오우가 (2) 백과 이원 (2) 장영실 (2) 백과 조선 (2) 백과 조홍시가 (2) 백과 차상찬 (2) 백과 평시조 (2) 백과 향가 (2) 백과 호아곡 (2) 백과 훈민가 (2) 백과
◈ 참조 키워드
설화 (2) 백과 안동시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부 : 맹희도
친인척 : 최영 (처조부)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