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1745 ~ ?] 조선 정조 때의 화가. 호는 단원 (檀園), 단구(丹邱), 서호(西湖)이다.
|
|
▣ 참조 유튜브 (최근등록순)
- 하위디렉터리 포함
|
|
역사 > 한국역사
|
2020.06.05
|
|
|
KBS역사저널 그날
|
48:38 |
한 척의 나룻배가 강을 건너는 모습을 묘사한 김홍도의 ‘도강도’의 상단에는 김홍도가 영감을 받았다는 시가 쓰여 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6.17
|
|
|
KBS역사저널 그날
|
4:29 |
전주시의 경기전에는 태조 이성계의 어진이 있다. 태조의 어진은 당시 중국의 관례대로 양탄자를 배경으로 그려져 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6.16
|
|
|
KBS역사저널 그날
|
4:58 |
1795년 2월, 정조는 수원 화성의 준공을 앞두고 왕실의 큰 행사를 준비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6.16
|
|
|
KBS역사저널 그날
|
4:08 |
김홍도가 30대에 그린 것으로 알려진 「단원풍속화첩」 속에는 잘 알려진 그의 풍속화 25장이 들어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6.16
|
|
|
KBS역사저널 그날
|
5:45 |
경기도 화성의 용주사는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를 위해 지은 절이다. 이 절의 대웅전에는 1790년에 그려진 후불탱화가 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6.16
|
|
|
KBS역사저널 그날
|
4:03 |
조선시대 도화서는 왕실에 관련된 모든 그림을 그리는 공식기관이었다. 통상 서른 명 정도의 화원을 시험을 통해 뽑았는데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6.16
|
|
|
KBS역사저널 그날
|
2:12 |
경기도 안산시에서는 매년 10월에 단원미술제가 열린다. 김홍도는 어린 시절 안산에 머물며 강세황의 집에서 그림을 공부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6.11
|
|
|
KBS역사저널 그날
|
4:34 |
18세기 후반, 김홍도가 그린 서당 그림에는 의관을 갖춘 아이들 맞은편에 민저고리를 입은 평민의 아이들이 함께 글공부를 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7.11.23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4:30 |
단원 김홍도 2부 조선의 패션을 담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7.10.18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4:35 |
백의민족이라는 말 때문에 과거 조상들이 하얀 바지저고리, 흰 치마를 입고 생활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
|
음악 > 국악
|
2017.07.10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1:31:13 |
국립국악원 국악콘서트 다담(茶談): 사진과 명화사이(엄선용)
|
|
|
음악 > 국악
|
2016.03.03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1:07:07 |
천재 화가 김홍도, 신윤복이 그린 '춤추는 아이', '쌍검대무', '미인도' 옛 그림 속 인물들이 화폭을 벗어나 춤꾼들의 몸짓으로 되살아난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5.11.09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6:56 |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속에는 읽어낼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5.11.04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7:27 |
백의민족이라는 말 때문에 과거 조상들이 하얀 바지저고리, 흰 치마를 입고 생활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5.10.29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7:59 |
조선의 경관을 담은 산수화, 선비정신을 담은 사군자, 기록화 등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그림을 남긴 불세출의 화가 김홍도.
|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
▣ 동음이어
|
|
|
|
[1524 ~ 1557] 조선 전기에, 청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
▣ 카달로그 작업
▣ 참조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