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 ~ 1864] 조선 고종 때의 지리학자. 호는 고산자(古山子)이다. 우리 나라의 정밀 지도를 제작하는 데 뜻을 두어, 30여 년 간 전국을 누비며 힘쓴 끝에 1861년에 《대동여지도》를 완성하였다.
|
- 목 록 -
|
|
|
|
2025년 4월
|
2025년 4월 13일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2015년 11월
|
2015년 11월 24일
|
|
문화재·역사·전
|
|
2015년 11월 23일
|
|
문화재·역사·전
|
|
2015년 11월 22일
|
|
문화재·역사·전
|
|
|
문화재·역사·전
|
|
|
|
|
|
▣ 시민 참여 (최근등록순)
- 하위디렉터리 포함
|
|
◈ 시민참여
|
◈ 보도자료
|
|
2025.04.13
|
|
|
【문화】
고산자 김정호가 만든 《대동여지도》/ 소재구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 학예연구관은 연구심이 남달라 퇴근 시간이 지나서도 밤늦게까지 남아 박물관 수장고에 있는 유물을 들여다보고 목록을 조사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유물은 대한제국 순종 황제가 1909년 지은 제실박물관(帝室博物館)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박물관, 이왕가박물관, 송석하 선생이 지은 남산 국립민족박물관의 소장품을 모두 합친 것으로 1946년에 덕수궁 석조전 건물에서 처음 개관하였다.
|
|
|
|
|
2015.11.24
|
|
|
【문화】
조선 시대 지도를 만들기 위한 거리를 어떻게 잴 수 있을까? 1441년(세종 23) 기리고차(記里鼓車.거리를 기록하는 북 달린 마차)라고 하는 수레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럼 거리를 측정하던 수레라는 기리고차는 어떻게 생겼고 어떤 원리로 거리를 잴까 하고 궁금해진다. 결론적으로 기리고차는 오늘날 개발된 정밀한 거리 측정 장치들과 비교해도 그 원리나 우수성에 있어 결코 뒤지지 않아 조상의 지혜와 슬기를 살펴볼 수 있다.
|
|
|
|
|
2015.11.23
|
|
|
【--】
이미 앞에서 "김정호는 누구인지" 와 그가 제작하고 간행한 조선지도의 걸작인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늘은 김정호가 제작한 청구도(靑邱圖), 동여도(東輿圖), 대동여지전도(大東輿地全圖)에 대해서 포스팅한다. 특히 대동여지도를 축소한 대동여지전도에는 대마도를 제주도처럼 조선 영역으로 표시하여 눈에 띈다.
|
|
|
|
|
2015.11.22
|
|
|
【--】
김정호는 누구인지에 대해 알아보았고 오늘은 대동여지도에 대해 포스팅한다. 일반 백성이 지도를 제작한다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할 일이다. 김정호의 걸작 대동여지도는 주변의 최한기, 신헌 등의 도움을 받아 만들었다고 본다.
|
|
|
|
|
2015.11.22
|
|
|
【--】
여행 가길 좋아한다. 가기 전에 우선 지도상에 어디쯤인지 위치와 거리 등을 먼저 알아본다. 그리고 지도를 프린팅 하거나 스마트폰의 앱 지도나 내비게이션을 이용해 찾아간다. 지도는 잘 알다시피 여행, 등산, 퀵서비스 처럼 생활의 편리함 뿐만 아니라 행정, 산업, 군사 목적 등 여러 부문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
▣ 동음이어
|
|
|
|
[1960 ~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2018년, 경남도지사 출마를 위해 사퇴한 김경수의 지역구 보궐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경남 김해시 을, 더불어민주당)
|
▣ 카달로그 작업
▣ 참조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