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1454~1504] 조선 초기의 학자. 호는 한훤당(寒暄堂)이고,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육경(六經) 연구에 힘써 성리학 에 밝았고, 조광조, 김안국, 이장곤 등의 학자를 길러 내었다.
|
|
|
인물 : 인물 > 한국
[1454~1504] 조선 초기의 학자. 호는 한훤당(寒暄堂)이고,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육경(六經) 연구에 힘써 성리학에 밝았고, 조광조, 김안국, 이장곤 등의 학자를 길러 내었다. 김종직이 시문을 위주로 하는 데 대하여 그는 실천을 중히 여겼으며, 조선 시대 도학의 길을 열었다.
1498년의 무오사화 때 스승 김종직의 일파로 몰려 귀양갔다가 1504년의 갑자사화 때 사형당하였다.
중종 때 우의정의 벼슬을 내렸다.
저서에 《한훤당집》 《가범(家範)》 등이 있다.
1610년(광해군 2년)에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과 더불어 동방 5현으로 성균관 문묘에 배향되었다. 아산의 인산서원, 서흥의 화곡서원, 회천의 상현서원, 현풍의 도동서원, 순천의 옥천서원에 제향되어 있다
|
◈ 조회순
|
|
2020.01.20
|
|
|
【여행】
경북 도동서원(道東書院)은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 1454∼1504)의 도학과 덕행을 숭앙하기 위해 세운 사액(賜額) 서원으로, 1871년(고종 8) 서원철폐령 때 훼철 대상에서 제외된 47개 주요 서원 중의 하나다. 은행나무와 배롱나무 , 흙담장, 배움터인 중정당의 기둥과 기단 등 볼거리가 많다.
|
|
|
|
◈ 최근등록순
|
|
2020.01.20
|
|
|
【여행】
경북 도동서원(道東書院)은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 1454∼1504)의 도학과 덕행을 숭앙하기 위해 세운 사액(賜額) 서원으로, 1871년(고종 8) 서원철폐령 때 훼철 대상에서 제외된 47개 주요 서원 중의 하나다. 은행나무와 배롱나무 , 흙담장, 배움터인 중정당의 기둥과 기단 등 볼거리가 많다.
|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참조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