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 참여 (최근등록순)
- 하위디렉터리 포함
|
|
◈ 시민참여
|
◈ 보도자료
|
|
2019.06.08
|
|
【학습】
고려 가요의 하나로 작자·연대 미상. 일명 <비두로기>라고도 한다.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실려 있다. 예종은 <버국새(伐谷鳥)>를 지어서 궁중에 있는 교방기생(敎坊妓生)들에게 부르게 하였는데, 예종이 지은 그 <버국새 노래>가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실려 있는 <비두로기 노래>일 것이라는 설이 있다.
|
|
|
|
|
2019.06.08
|
|
【학습】
지은이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가요. 《가시리》 《서경별곡》과 더불어 매우 뛰어난 고려 가요의 하나로 손꼽힌다.
|
|
|
|
|
2019.06.08
|
|
【학습】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제목과 내력만이 ≪고려사≫ 권71 악지 속악조(俗樂條)에 전하고, 같은 내용이 축약되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
|
|
|
|
2019.06.08
|
|
【학습】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원사(原詞)는 전하지 않으며, 노래의 유래와 이제현(李齊賢)의 한역시가 ≪고려사≫ 권71 악지(樂志)에 전하고,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
|
|
|
|
2019.06.08
|
|
【학습】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으나, 이제현(李齊賢)의 한역시와 작품이 지어진 경위가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전한다.
|
|
|
|
|
2019.06.08
|
|
【학습】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가요. 본래의 가사는 전하지 않고, 다만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 益齋亂藁≫소악부(小樂府)와 ≪고려사≫ 악지(樂志)에 노래의 내력과이제현의 한역시가 수록되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
|
|
|
|
2019.06.08
|
|
【학습】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려속요.
|
|
|
|
|
2019.06.08
|
|
【학습】
지은이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가요의 하나. 모두 6연 11절로 되어 있는 노래로 《악장가사》에 실려 전한다.
|
|
|
|
|
2019.06.08
|
|
【학습】
고려 의종 때 정서(鄭敍)가 지은 가요. 한글로 전하는 고려 가요 가운데서 지은이가 확실한 유일한 노래이며 「삼진작(三眞勺)」이라고도 한다.
|
|
|
|
|
2019.06.08
|
|
【학습】
고려 가요. 지은이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
|
|
|
2019.06.08
|
|
【학습】
작자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시대의 가요. 노래를 지어 부르게 된 내력만 《고려사》 악지에 전한다.
|
|
|
|
|
2019.06.08
|
|
【학습】
고려 가요의 하나. 고려 시대의 효자 문충이 지은 것으로 《목계가》라고도 한다. 가사는 전해지지 않으며, 다만 제목과 지은이, 내용의 유래만이 《고려사》의 《악지》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
|
|
|
|
2019.06.08
|
|
【학습】
지은이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시대의 가요. 가사가 전하는 고려 가요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의 하나이다.
|
|
|
|
|
2019.06.08
|
|
【학습】
고려 때의 속요. 《악장가사》에 실려 전한다.
|
|
|
|
|
2019.06.08
|
|
【학습】
지은이 및 지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때의 노래. 모두 4귀로 된 노래로, 《시용향악보》에 실려 전한다.
|
|
|
|
|
2019.06.08
|
|
【학습】
작자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가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안상금보》 등에 실려 전한다.
|
|
|
|
|
2019.06.08
|
|
【학습】
고려 가요의 하나. 지은이와 연대는 미상으로 《악장가사》와 《시용향악보》에 수록되어 있다.
|
|
|
|
|
2019.06.08
|
|
【학습】
지은이와 지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가요 .
|
|
|
|
|
2019.06.08
|
|
【학습】
예종이 1120년(예종15) 왕이 서경(西京:平壤)에 행차하여 팔관회(八關會)가 열렸을 때, 그 자리에 개국공신 김락(金樂)과 신숭겸(申崇謙)의 가상희(假像戱: 가면극)를 보고, 왕이 두 장군에 대한 추모의 정을이기지 못하여 지은 노래이다. 이두식(吏讀式) 표기로 된 향가(鄕歌) 형식의 노래로, 8구체(句體)를 4구씩 2분하여 지었다.
|
|
|
|
|
2019.06.08
|
|
【학습】
고려가요로 원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고려사》 <악지(樂志)>에 제목과 간단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고, 또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益齋亂藁)》 중 <소악부(小樂府)>에 한역시(漢譯詩)가 실려 있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
|
|
|
|
2019.06.08
|
|
【학습】
지은이와 지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시대의 노래. 《악장가사》에는 《가시리》란 제목으로 전편이, 《시용향악보》에는 《귀호곡》이란 제목으로 제1연만 실려 전한다.
|
|
|
|
|
2019.06.02
|
|
【학습】
고려시대의 작자, 연대 미상의 가요로 가사는 전하지 않고, '고려사'권71 삼국속악 고구려조에 그 내력만이 전한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