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세악수(細樂手)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세악수 (細樂手)
조선 후기 군영과 민간에서 삼현육각 편성으로 연주 활동을 했던 군영 악대.
세악수 (細樂手) 조선 중기 이후의 군사 제도. 5영문(五營門)이라고도 한다. 임진왜란을 겪는 과정에서 국방의 허술함이 드러나자, 국방력을 강화시킬 목적으로 종래의 5위 제도를 개편한 것이다. 훈련 도감, 어영청, 총융청, 금위영, 수어청의 다섯 군영을 말한다.
◈ 지식지도 관계
세악수 (細樂手) 대금 (大芩) 삼현 육각 어영청 (御營廳) 5군영 (五軍營) 장구 ([杖鼓]) 취타 (吹打) 피리 해금 (奚琴) 1457 5위 (五衛) 1626 수어청 (守禦廳) 1682 금위영 (禁衛營) 관악기 (管樂器) 국악 (國樂) 당피리 (唐----) 불교 음악 세피리 (細----) 속오군 아악 (雅樂) 염불 종교 음악 향피리 (鄕----) 해금산조 (奚琴散調) 1793년 1795년 1682년 1683년 1624년 1626년 1649 효종 (孝宗) 1776 조선 정조 (正祖) 훈련 도감 (訓練都監) 1624 총융청 (摠戎廳) 1793 장용영 (壯勇營) 5위 도총부 장용위 (壯勇衛) 1881 무위영 (武衛營) 1881 장어영 (壯禦營) 길군악 (--軍樂) 여민락 (與民樂) 영산회상 대금 산조 (----散調) 봉산 탈춤 십이가사 (十二歌詞)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649 조선 효종의 북벌 계획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남한 산성 (南漢山城) 양주 별산대 놀이 1624 수어장대 (미정의) 경기읍영 (미정의) 군악 (중복) 굿거리 (미정의) 긴염불 (미정의) 길타령 (미정의) 반염불 (미정의) 별우조타령 (중복) (중복) 시나위 (미정의) 용호영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금위영 (6) 백과 훈련 도감 (6) 백과 수어청 (4) 백과 어영청 (4) 백과 총융청 (4) 백과 갑오개혁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